말에 구원받는다는 것 - 삶을 파괴하는 말들에 지지 않기
아라이 유키 지음, 배형은 옮김 / ㅁ(미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생의 강추로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정주행했다. 매 화가 다 좋았는데, 주인공이 우울증에 걸린 상황을 볼 때 눈물이 계속 나서 힘들었다. 재경험. 재인식. 애도. 필요했던 과정이라고 애써서 생각하지만. 가끔 참기 힘든 마음은 내가 나를 이상하고 아픈 애라고 스스로 여겼다는 거다. 나에게 문제가 있다고. 좀처럼 빠져나오기 힘들었다. 학습된 성격과 무기력의 결과겠지.



별 뜻 없이 했을 말들만 귀에서 울려 퍼지고 가슴에 남아서 나를 할퀴더라. 뒤늦게 지속적으로 상처받고 말았다. 여전히 상처는 벌어져 있는 모양. 내 마음을 나는 보호할 줄을 몰랐다. 귀를 막을 줄을 몰랐다. 그래. 어쩌면 나는 앞으로 내가 해서는 안 될 말들을 배웠을지도 모르겠다. 배웠어야 했던 거다.


올해 읽으면서 가장 많이 운 책은 이 책.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보다 80배는 정교한 방식으로 소수자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제재 받지 않은 혐오의 말들이 만나 화학작용을 일으킬 때 세상에 어떤 지옥이 펼쳐지는 지를 세밀하게 알려준다. (동시에 가능성도)



- (30) 언어에는 내리 쌓이는 성질이 있다.


나는 이 문장을 나의 방식으로 그러나 아라이 유키의 의도에 가깝게 이해할 수 있다고 느낀다. 그러니까 마지막 잘못 빼든 젠가 같은 거지. 내 존재를 빼서 그 위에 하나하나 올려두는 말들. 기우뚱하다가 와르르 무너져 내릴 때까지. 내가 들었던. 내게 쌓이고 쌓인 못된 말들. 나를 통제하기 위해 했던 말. 내가 나를 포기시키기 위해 했던 말. 내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못 들은 척 나는 아닌 척 했던 말이. 나를 내가 공격하는 말로 바로 바뀌는 순간. 그래 어쩌면 이건 자기 비판적인 성격의 내 경우일 테고, 대부분은 타인들을 공격해도 되는 (때로는 물리적으로까지) 정당화의 근거로 사용되는. 말은 사회적이다. 말은 맥락적이다. 말은 권력적이다. 말은. 그래서 누군가를 살리고. 가차없이 누군가를 죽인다. 그러니까. 말은 닿는다. 글은 닿는다. 닿는다. 닿는 단다. 어떤 마음을 품고 써야 하는 건지. 어떤 건 왜 혼자 만의 일기장에 써야 하는지 까지도.


(30) A 선배가 겪은 ‘마음의 병’에 대해서도 “나약하다”, “어리광부린다”, “게으름 피울 뿐이다”라고 평하곤 한다. A 선배도 ‘마음의 병’으로 휴직한 동료들에 대해 비슷한 말을 했다. 하지만 그런 말이 쌓이고 쌓여 이번에는 본인이 그 ‘압력’에 짓눌리게 되었다. 바쁘고 피곤하면 “힘든 건 나도 마찬가지야”라고 불평 한마디 흘리고 싶어진다. 욕하고 싶을 때도 있다. 나 역시 그런 감정과 아무 연 없이 살고 있지 않다. 

하지만 ‘살기 괴로운’ 정도를 서로 비교해봤자 결코 편해지지않는다. 도리어 ‘입을 다물리는 압력’이 높아질 뿐이다. 이런 ‘압력’을 높여서는 안 된다. ‘살기 괴로운 사람이 불쌍하기 때문’이 아니다‘불쌍하다’는 감상은 ‘나는 그런 문제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발상이다. 그 압력을 높여서는 안 되는 이유는 ‘자신이 죽지 않기 위해서’다.


드라마를 보는 내내 좋았던 것은. 몰랐던 세계를 알아가는 느낌들보다는 (증상에 대한 연출이 정말 대단하다) 내가 나를 통해 어렵게 닿게 된 인식이 사람들이 공감하며 생각해 볼 수 있을 만한 콘텐츠로 만들어져서 유통되고 있구나 하는 것에 대한 감사함이었다. 어딘가에서 짓이겨 망쳐지고 있는 언어들이 어딘가에서는 보듬어지고 다독여지고 있구나. 하는 안도감. 아라이 유키 책을 읽을 때와 비슷한 마음이 들었다. 안도감.


그렇다고 하더라도 내가 아팠던 것은 아팠던 거였고, 힘들었던 것은 힘들었던 거라서.

그때에는 안 보이던 것들이 이제는 보이니까. 음.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하고 싶은 걸까. 내 마음은.


분명한 건. 누가 나를 어떻게 보는가가 그다지 상관 없어졌다는 것이다.

내가 나를 보는 방식이 바뀌었으니까. 아직은 좀 아슬아슬한가.

그런데 과정에서 벼려지게 된 생각과 글들이. (나 스스로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매번 내 놓고 나서는 생각보다는 후유증이 남는 나름의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것들이었나 보다.

여전히 어떤 동의를 구하는 것만 같은 내 연약한 마음이 좀 서글퍼서 좀 뒤척였다.


그래 나는 나약하다. 내가 여린 것은 사실이고. 그렇기 때문에 강하고 독한 부분도 있다. 그것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힘내고 싶은지, 더 용기 내고 싶은지, 혹시 누군가를 비난하고 싶은 것인지까지도.

스스로에게 물어보았다.

- 아니, 난 그냥 일상을 잘 지내고 싶어.


사랑받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사랑받기 위해서 쓰는 것이다. 글은.

모든 글은 부치지 않은 편지다. 그것은 언어가 그러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의식적으로는 모두가 안다. 그러므로. 취향으로 에두를 필요가 없다.

발신인 자신이 모른다고 주장해도. 수신인은 알아차린다.

오배송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그 문장은 내게 도달했다.

그리고 언어는 내리 쌓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조심해야 하는 거다. 스스로에게도 타인에게도.


엄마, 사랑해. 전화를 끊고.

누구의 사랑을 받고 싶은지. 어디에 서 있고 싶은지를 묻는다.

당연히 나는 내 편이며, 나를 사랑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옆에 서 있고 싶다. 이젠 서운하거나 미안한 마음이 들지 않는다. 내가 나를 살고 있다는 뜻인 것 같다. 좋아하는 사람들과 수다를 떨고 맛있는 것을 먹어야겠다. 그래야겠다.



"우리 모두는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있는 경계인들이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엔딩멘트-

언어에는 ‘내리쌓이는’ 성질이 있다. 입 밖으로 나온 언어는 개인 안에도, 사회 안에도 내리쌓인다. 그러한 언어가 축적되어 우리가 지닌 가치관의 기반을 만들어간다. ‘배려 없는 말’이야 예전에도 있었지만 소셜 미디어의 영향으로 ‘말의 축적’과 ‘가치관 형성’속도가 폭발적으로 빨라졌다. 심지어 그 폭발을 누구나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이 무섭다.
‘누군가를 입 다물게 하기 위한 말’이 내리 쌓이면 ‘입을 다물게 하는 압력’도 반드시 높아질 것이다. ‘삶의 괴로움을 떠안은 사람’이 "도와줘"라고 말하지 못하게 만드는 압력이다. - P30

오해의 우려를 무릅쓰고 말하자면 장애인들은 전쟁을 찬미하도록 강요당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발적’으로 찬미했다. 정확히 말하면 ‘자발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도록 만들어졌다.’ ‘내 생각이 그러하다고 표명한 순간에만 세상으로부터 괴롭힘당하지 않고 조금이나마 편해질 수 있는’ 삶을 살아야 했다. 이는 노골적으로 무언가를 ‘강제‘당하는 일보다 훨씬 무섭다. 강권적이고 억압적인 사회에는 몇 가지 단계가 있다. 우선 누군가에게 ‘쓸모없다는 낙인’을 찍는 데 망설임이 없어진다. 다음에는 낙인 찍힌 사람들을 박해하고 배제하고 입 다물게한다. 입을 다물린 뒤 이번에는 거꾸로 말하게 한다. ‘이렇게 말하면 동료로 받아줄 수도 있다‘는 태도를 취하며 ‘강제’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자발적’으로 말하게 만든다. ‘강제로 말하게 한 사람’의 책임은 이런 식으로 사라지고 ‘자발적으로 말한 사람’만이 상처받는다. - P101

누군가에게 ‘쓸모없다‘는 낙인을 찍는 사람은 남에게 ‘쓸모없다는 낙인’을 찍음으로써 ‘나는 무언가에 쓸모가 있다‘고 착각하곤 한다. 특히 그 ‘무언가‘가 막연히 커다란 것이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국가’, ‘세계’, ‘인류’ 등 말이다). 제6화에서 언급한 사가미하라(장애인 시설 살상) 사건의 범인에게서도 같은 문제가 파악된다. ‘누군가에게 쓸모 있는 것’이 ‘쓸모없는 사람을 찾아내 비난하는 것’을 뜻한다면 나는 절대로 어떤 쓸모도 있고 싶지 않다. - P102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11-23 23:5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사랑한다고 포도만 주는 사람한텐 그래도 노라고 말하는 쟝이 되길.

공쟝쟝 2023-11-24 06:54   좋아요 4 | URL
여성들이 사회 속에서 싫어요, 안돼요, no라고 조금 더 수월하게 말할 수 있도록 노력해온 따뜻하고 멋진 잠자냥🐈‍⬛님~ 사과에 땅콩 잼을 발라서 먹으면 맛있어요. 포도만 주던 엄마는 좀 바보.

독서괭 2023-11-28 13: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보다 80배는 정교한 방식으로,,라니, 궁금해지는 책이군요.
˝모든 글은 부치지 않은 편지다. 그것은 언어가 그러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요기에 밑줄 쫙 긋고요.
저도 이 드라마가 누구나 정신질환을 겪을 수 있는 경계에 있다고 잘 보여주고 있어서 좋더라고요. 아직 박보영의 우울증 극복기는 못 봤는데, 얼른 보고 싶네요.
잘하고 있는 쟝쟝님!!♥

공쟝쟝 2023-11-29 17:54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잘 해내고 있는 독서괭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