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고통이 치유될 가능성이 없다는 점*과 *신중한 고려 끝에 인생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이들* 사이의 간격.

나는 존엄사에 퍽 진지한 편인데, 결국 어떻게 죽을 것인가…는 잘 상상이 안되고… 그 간격. 그러니까 어떻게 잘 살까… 에 대한 물음인 것 같고. 가까스로 ‘살아 남았다’는 감각은 좀 알 것 같은 걸로 봐서는, 아무튼 생존, 잔존?에 (수치스럽게도) 성공해버렸으므로… (모든 천재는 27살 전에 요절하며 적어도 35살 전에는 삶을 다쓰고 죽던데…응?).. 그롬… 이젠 ‘잘’살아야 하는 미션이 있는 것 같은 데… 그럼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거야? 라는 걸 계속 물어봐야 할 것 같고…

어쨌든 이걸(죽음 혹은 삶) 선택으로 둘 수 있는 나라의 국민으로 사는 것은 어떤 기분일 지는 모르겠는 데… 이 나라에 태어나서 겨우 잔존 중인 나는 그것을 선택할 수 있다는 상상력마저도 의미심장한 결단처럼 느껴져…

왜 더 많은 것을 알고 배우고 보고 느껴야 하는 지, 더 넓은 세상이 있다는 것을 왜 알아야 하는 지, 그런 세계를 열어주는 계기로 작용하는 사람들을 왜 귀하게 대해야 하는 지. 조금 알 것 같고. 일단 난 좀 쫄보니까 글로 배운다. ㅋㅋㅋ



2016년 한 해만 안락사로 생을 마감한 사람의 수는 6,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전체 사망 원인의 약 4.5%에 이를 정도다.
예전에는 안락사가 주로 신체적 질환을 앓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이제는 정신 질환을 앓거나 수명 연장이 무의미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경우에 안락사를 허용항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얼마 전에는 알코올 중독으로 8년간 괴로운 시간을 보냈던 40대 남성과, 어린 시절 성적 학대를 받아 평생을 트라우마 속에서 고통스러워했던 20대 여성이 안락사를 선택했고 의료진은 이를 수용했다. 하지만 네덜란드에서 안락사가 결코 쉽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안락사가 허용되기 위해서는 의사가 환자의 요구가 자발적인 것이고 충분히 숙고한 후 내린 결정이며 *환자의 고통이 치유될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거듭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불치병이나 심한 고통에 시달리지 않더라도 죽음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죽을 권리를 선택할 수 있는 ‘조력 자살법’ 또한 검토 중이다. 네덜란드 보건 및 범부부 장관도 "*신중한 고려 끝에 인생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이들*이 엄격하고 사려 깊은 기준에 따라 존엄한 방식으로 인생을 끝낼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며 조력자살 합법화 법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을 정도다. 더 이상 삶을 살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삶을 끝낼 수 있는 권리 또한 인정해주자는 것이다. - P26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7-18 20: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7-18 20: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7-18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7-18 20: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22-07-18 22:2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인간으로서 존엄을 지키며 살 권리가 있는 만큼 존엄을 지키며 죽을 권리 또한 있다고 생각하므로 안락사 도입에 찬성합니다. 물론 그 결정과정은 아주 엄격해야겠지만요. 하지만 아직도 유교적 영향력이 강한 우리나라에서 아마도 쉽지는 않으리라 생각돼서 아마 제가 저런 혜택을 보지는 못하겠구나 싶지만요. 그렇다고 이민을 갈수는 없고.....ㅠ.ㅠ

공쟝쟝 2022-07-18 22:28   좋아요 1 | URL
2000만원 정도 있으면 스위스 가셔서 하실 수 있어요!! 저는 적금을 들었다가 삶(경험)을 위해 깰 예정 ㅋㅋㅋㅋㅋㅋㅋ

2022-07-18 23: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7-18 23: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persona 2022-07-19 01:3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요즘 호스피스 간호사가 쓴 글을 읽는데 안락사의 정의나 사람들이 생각하는 연명치료의 범위가 다 제각각이라는 부분 읽고 있어요. 그래서 더 너무 서두르지 말고 신중하게 논의후에 법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싶어져요.
아마 안락사를 선택할지 말지의 계기를 갖는 것도 누구에게나 오는 선택의 기로가 아니어서 네덜란드에서 살아도 운이 좋으면 체감을 못하고 살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ㅎㅎ
그런데 암스테르담 하면 왜 그런지 도나 타트의 골드핀치 약쟁이 주인공이 최종적으로 암스테르담에 간 게 생각이 나요. 성질나서 완독은 못했어요. ㅋㅋㅋ

공쟝쟝 2022-07-19 15:15   좋아요 3 | URL
맞아요. 누구에게나 오는 선택의 기로가 아니라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어쨌든, 삶이 유한하다는 걸 똑바로 보니까. 죽음 종종 생각. 하게 돼고... 도나 타트? 잉 모르는 거 나왔다 ㅋㅋㅋㅋ 펄손아님 더위조심!!

persona 2022-07-19 15:21   좋아요 2 | URL
아 저거 소설이에요. 주인공이 주변 사람들 온 우주가 도와주는데도 정신 못차리고 자꾸 마약에 손을 대서 다 못 읽겠다라고요. ㅋㅋㅋ 쟝쟝님도 더위 조심하세요. 그래도 아직은 창문 다 열어놓으면 살만한데 무더위땐 어떡하나 아득하네요 ㅋㅋㅋ

yamoo 2022-07-19 09: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락사는 개인이 요구할 경우 인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공쟝쟝 2022-07-19 15:16   좋아요 0 | URL
그러게 말입니다. 그 선명한 <개인> 이라는 것이 한국사회에 있나 싶어가지고요 ^^ 일단 저 부터가 ㅋㅋㅋ 그래도 제가 저를 잘 다듬고 만들면 인정해야한다는 입장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 책을 읽습니다.

건수하 2022-07-19 09: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의도 자체에는 동의하는데.. 악용 가능성을 바로 생각하게 되어 두려워요.
스스로 선택하기 전에 많이 고민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결정은 존중했으면 해요.

2000을 모으는 장기 플랜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공쟝쟝 2022-07-19 15:19   좋아요 1 | URL
일단 저는 장기 플랜을 ㅋㅋㅋ 대충 걸어두고 (하지만 곧 적금깨서 여행갑니다) 차차 생각해보는 것이 좋겠다 싶은 사람 입니다만 ^^!!
수하님 처럼 아직 한국에서 도입되기는 시기상조라는 생각은 해요... 논의 만큼은 충분히 이뤄지는 게 좋지 않은가. 법 만들자고 해야지 논의가 될 것 같기도 하고요... 무상급식 처럼요. 그러나..... 현실은...... ㅋㅋㅋ 할말하않입니당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