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집을 사러 다닐때 나름대로 조건으로 잡은 것이 햇볕이 잘 드는 구조와 앞이 트인 구조였다. 그래서 지금 살고 있는 곳은 비록 아파트이지만 베란다 창문으로 내다보이는 광경은 그나마 대자연의 푸르름을 느낄수 있는 곳이다. 한 부분만 놓고 본다면 대관령의 목장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비록 밭작물이지만 6층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소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는 목장을 그려볼수도 있고 해바라기가 끝없이 펼쳐진 초원을 그리기에도 손색이 없다.
봄이 지나 낮이 길어지면서 새로운 생활 공간으로 자리잡은 것이 베란다이다. 퇴근후 책 한권을 들고 노을이 서서히 깔리기 시작하는 하늘이 훤히 내다보이는 곳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은 또 다른 삶의 즐거움이다. 중학교 시절 배운 소설 <큰 바위 얼굴>의 주인공이 그러하듯 나 또한 노을을 바라보며 글을 읽고 있다. (다만 해가 떨어지는 모습은 아쉽게도 옆 건물에 가려지고 만다.) 예전에 낚시 다닐때 가지고 다니던 긴 등받이 의자를 설치하고 탁자 비슷한 것도 하나 구하여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을 하였다.
한낮의 빨래의 하늘거림 속에서 읽는 책의 맛도 좋고 저녁 노을 속에서 잠이 들었다 한밤중에 깨어나는 경험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 일찍 잠이 깬 새벽녘의 몽롱한 안개 속에서 읽는 책도 묘미가 있다.
이 곳은 특히 안개가 심하다. 평균 열흘에 한번 정도로 자욱한 안개가 새벽녘에 온 천지를 뒤덮곤 한다. 출근하는 날의 안개는 출근의 적과도 같지만 휴일 새벽의 안개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마음의 울림을 담아내곤 한다. 얼마전에도 새벽녘에 잠이 깨어 바라보니 안개가 자욱하다. 책을 들고 베란다로 나가 아침 햇살에 안개가 완전히 사라질때까지 책을 읽었다. 이것이 도원경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풋~ 하고 웃으며 들어왔다.


베란다에서 보이는 밭이다. 얼마전 할머니들이 무엇인가를 심기 시작하더니 어느덧 푸르른 들판을 만들어 버렸다.

이곳은 안개가 심하다. 앞을 가늠할수 없을 정도의 안개가 자주 낀다. 휴일날의 안개는 또 다른 신비함으로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