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살아가기 -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송제숙 지음, 황성원 옮김 / 동녘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전에도 한 번 빌렸다가 다 못 읽고 반납했나, 아니면 그냥 슥 훑고만 왔다. 드디어 자세를 고쳐 앉고 읽는데 학술적 용어가 많아서 읽는 도중 꽤 버퍼링이 걸렸다. '정동'이나 '레짐' 같은 용어가 나올 때마다 작아졌다. 딴에는 글을 읽고 글을 쓰는 입장인데도 기본적인 개념에도 취약하다니, 하는 자괴감이 들었다. 동시에 연구자들의 용어는 이늘 이렇게 어느 정도의 장벽이 있는 채로 대중에게 전달되어야 하나 하는 의문이 들었다. 연구자들만 보라고 만든 책은 아니었을 테니, 그건 저자나 번역자나 출판사에서 신경 썼어야 할 부분이라고 본다.
[혼자 살아가기]는 30대 초반~30대 후반의 비혼 여성 16명을 심층 인터뷰한 내용과 저자의 연구 내용이 어우러진 책이다. 역시나 심층 인터뷰가 재미있었다. 일부 인터뷰이가 하는 말은, 마치 나의 미래를 보여주는 것처럼 생생해서 정신이 퍼뜩 드는 기분까지 들었다. 저임금 불안정 노동을 하면서 비싼 전세금을 마련할 만큼의 생활수준에 다다르지 못해 허덕이는, 그러면서 진보적(책 속에서는 '좌파적'이라는 말로 나왔다)인 성향을 지닌 사람들.
학생운동도, 노조운동도 하지 않았다. 대학 저학년일 때 집회 참가가 처음이었고 첫 직장에서 사회운동에 대해 조금 감을 잡은 내가, 감히 '좌파'니 '진보'니 자처할 순 없겠지만, 주거 환경이나 생활 태도가 유사해서 많이 공감하며 읽었다. 그나마 다행인 건 내가 이제 막 30대에 들어선 비교적 젊은 축이라는 것이고(100세 시대에 솔직히 40대도 젊은 게 아닌가 생각한다) 적어도 현재 하는 일이 불안정 노동은 아니라는 것 두 가지다.
더 높은 수준의 감정 노동을 수반하는 일을 하면서도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채 임금 후려치기를 당하고, 여성 혼자 '독립'해서 나가 산다는 것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편견과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사실 희망은 찾기 힘들었다. 말 그대로 현실을 담담히 읊는 느낌이었달까.
기억에 남는 부분은, 여성운동 의제에서 '비혼 여성'은 여전히 꼴찌로 밀려나 있다는 것이었다. 기혼 여성의 출산, 육아, 이후 경력단절 문제가 그나마 사회적으로 꾸준히 이야기되는 '주류 이슈'라면, 비혼 여성의 삶은 그만큼 시급하고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것과, 결혼이라는 제도를 거치지 않고 홀로 되는 것 모두 '선택'의 문제인데도 평등한 위치에서 다뤄지지 않는 데서 오는 답답함을 느꼈다.
앞으로도 도시 빈민이자 비혼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일 가능성이 높아서 그런지 나도 비혼 여성에 대한 진전된 정책이 나왔으면 하고 바랐다. 공동체 같은 거 필요없으니 단 10평이라도 합리적인 가격에 마련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 여자 혼자 사는 것이 약점이 되지 않는 사회 분위기. 1인 세대가 늘어가고 특히 비혼 여성이 늘어가는 추세가 있으니, 대출 제도에서 불이익을 입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기대했던 것만큼 흥미로운 책은 아니었으나, 오랜만에 사회과학서를 완독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