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쪽

 

 책도 알면 더 잘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독서를 하지 않는 사람은 책을 하찮게 생각하고 멀리한다. 멀리하기 대문에 책의 사용이 더 어려워진다. 일단 책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책과의 거리를 좁혀야 한다. 손 닿는 곳에 두고, 혹은 이동할 때는 들고 다니다가 자투리 시간이 생기면 곧바로 책장을 열면 된다. 무엇보다도 책을 가까이 두고, 읽다 보면 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신념을 갖자. 그것이 첫걸음이다.

 

 

 29쪽

 

 책의 역할 가운데 중요한 한 가지는 우리의 무지를 일깨워준다는 점이다.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는 가운데 편안하게 읽기 시작하자. 거의 눈에 비춘다, 혹은 집어넣는다고 생각해도 좋다.

 

 

 

 35쪽

 

 요즘 어디든 인구가 한 10만 명만 모여 사는 곳이면 대형 할인점이 몇 개씩 생기는 것을 보면서 '아, 물건값이 조금만 싸도 사람들이 모이는데, 영혼과 관련된 정보의 값을 몇 배는 더 싸게 얻을 수 있는 서점은 공간도 협소하고, 그나마 있는 곳도 파리를 날리는구나' 하면서 속이 답답해지는 것을 느낀다. 그러면서 경제가, 펀드가 어떻고, 국민소득이 어떻고 하는 걸 보면 갈 길이 멀었다는 것을 절감한다. 그러면서 책은 우리 영혼의 유기농 채소인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48쪽

 

 현실적으로 그러다면 옛날과 달리 형형색색의 책이 다 나오는 현대에는 과연 몇 권의 책을 읽어야 진정한 의미의 독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중략) 잠정적으로 현대인이라면 한 달에 4권, 일주일에 1권꼴로는 책을 읽어야 적어도 정보 습득의 전체 양적 측면에서 남에게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1년에 50권 정도의 책을 읽는 셈인데 이렇게 적어도 한 20년은 읽어서 1000권 정도는 읽었다고 해야, 수량에 있어서는 일정 요건을 충족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57쪽

 

  서재는 책의 거소이고, 사유의 집이며, 영혼의 안식처다. 책이 몇 권 꽂혀 있지 않은, 비록 책꽂이 하나뿐인 서재라도 그 가운데서 우리는 꿈을 먹고, 영혼의 위안을 구하고, 내일을 설계할 수가 있다, 우리의 자세 여하에 따라서. 사고 여하에 따라서. 그러므로 도서관과 서재를 가꾸는 것은 다름 아닌 책 읽는 이의 과제다.

 

 

 65쪽

 

 책의 세계는 강박과 잘 통하는 세계다. 책을 쓴 사람들은 어떤 의미에서 다 정도를 벗어난 사람들이다. (중략) 그런데도 귀중한 시간과 재화를 책에 투자하는 것이다.

 

 

 99쪽

 

 책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책과 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겸허한 마음가짐만 있으면 된다. 책 속에서 글을 쓴 사람의 진수를 발견하려는 또 다른 사람은 겸허해야 한다. 그리고 조금은 현명해야 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면 책읽기는 극히 이기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 겸허함과 현명함은 책의 사용을 제대로 가능케 하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