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아테네인들은 수준 높은 그리스 비극을 비롯하여 풍부한 문화생활을 누렸다. 그리고 아테네의 통치자인 페리클레스는 정치의 중심을 문화예술의 육성에 두었다. 페리클레스는 문화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국민이 없도록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심지어는 공연을 관람한 이들이 관람료를 내는 것이 아니라, 관람료를 받을 정도였다. 공연을 관람하느라 일하지 못한 것에 대한 벌충이었다. 아테네인들은 돈을 벌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었다. 아테네인들은 풍부한 문화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돈을 벌었다. 아테네는 그런 문화적인 힘을 바탕으로 역사적으로 유례가 없는 황금기를 맞게 된다.

 

“우리는 한 해에 세금을 300조 원 내고 있습니다. 정말 천문학적인 금액을 국가에 바치고 있죠. 그런데 정작 국민들은 좋은 뮤지컬이나 미술작품 한번 구경하러 가기가 어렵습니다. 엄청난 물질적 부를 바치면서도 국민의 삶의 질은 그만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어요. 무엇인가 잘못된 거죠.”


품격 높은 문화생활을 저렴하게 누리는 방법!

 

‘먹고 살기도 바쁜데 무슨 얼어 죽을 문화생활이냐’는 말이 관용어처럼 쓰이는 세상이다. 하지만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남는 시간을 활용해서 문화생활을 누리는 최고의 방법이 있다.

 

“그건 바로 고전을 읽는 것입니다. 저는 한 번에 책을 20, 30권씩 주문해서 읽습니다. 밤새워 가며 읽어요. 그런데 서른 권 중에 ‘정말 이 책 잘 만났다’라는 생각이 드는 책이 한 권이라도 있으면 아주 행복한 독서를 한 것입니다. 그런데 고전은 천 권의 책을 구입해도 만나기 어려운 책이에요. 천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고전 한 권을 읽으면 비용도 절약될뿐더러, 훨씬 더 위대한 효용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얼마나 경제적인 선택인가요.”

 

수천만 원의 가치를 능가하는 고전. 이러한 고전 강독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제는 많은 이들이 고전 읽기를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영상이나 가벼운 취미 서적 읽기에 길들어 있는 현대인에게 고전은 여전히 낯설다. 마음먹고 구입해도 조금 읽다가 책장의 진열품이 되어버리기 일쑤다.

 

“조급함을 버리세요. 고전에 담긴 지혜를 인간이 알기까지 천 년의 세월이 걸렸어요. 천 년의 세월이 걸려서 확보한 정신적인 알갱이를 어떻게 하루에 다 소화해낼 수 있겠어요. 이 지혜의 정수를 욕심내지 말고 꾸준하게 매일 한 페이지씩만 읽어나가세요. 그렇게 6개월, 1년이 지나면 어느덧 고전 한 권을 다 통독하게 될 거예요. 고전 읽는 방법은 다른 게 없습니다. 고전은 머리가 좋아서 읽는 게 아니에요. 인내력, 즉 엉덩이가 좋아야 합니다. 처음에는 힘들어도 습관이 들면 어렵지 않아요.”

 

“경제학과를 나온 사람이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읽지 않고,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읽지 않는 것은 무척 안타까운 일입니다. 예컨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원서를 완독한 경제학도가 전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고 하더군요. 그 말을 듣고 제가 한번 도전해봤습니다. 영어로 천 페이지가량 되는데, 절반 이후가 무척 쉽더군요. 앞의 대목이 산이면 중간 이후는 평지였어요. 그런데 산을 넘지 못하고 포기한 이가 많았던 거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유익한 역사 상식들이 풍부하게 담긴 아주 재미있는 책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정말 대단한 민족이었습니다. 19세기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문화적인 수준과 밀도가 주변국 중에서 가장 높았어요.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디에나 서당이 있었죠. 논어, 중용, 대학 같은 어려운 책들을 읽었고, 선비들은 한시로 대화를 나눴어요. 그리고 한글이라는 위대한 문자도 가지게 되었죠. 그 이후로 문맹률이 급격히 감소했어요.”

 

 

출처 : http://ch.yes24.com/Article/View/19289?pid=1304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