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의 나라
이케가미 에이코 지음, 남명수 옮김 / 지식노마드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는『국화와 칼』에서 일본인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컸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그러나 또한(but also)'이라는 표현 때문이었다.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일본인들은 누가 참으로 용감하다고 하면서도 겁쟁이다, 라며 덧붙여 말하게 되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녀 또한 일본인들에 대해 싸움(칼)을 좋아하면서도 아름다움(국화)를 사랑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왜 그들은 싸움을 좋아하게 되었을까? 이러한 궁금증에 대하여『사무라이의 나라』는 일본 정신의 실체를 파헤치고 있다. 저자의 견해를 따라가다 보면 그동안 상상 속에 있던 사무라이(さむらい)의 뜻이 명확해진다. 좀 더 말하면 이중적으로 다가온다. 하나는 종자(從者)라는 개념으로 귀족을 시중드는 남자들을 말한다. 또 하나는 무사(武士)라는 개념으로 전투가 직업인 성격이 거친 자들을 말한다.

사무라이의 역사를 보면 헤이안 시대의 우아한 귀족 문화 속에서 낮은 신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세에 이르러 일본 정치의 주역이 된 것은 그들이 ‘무장한 영주(토지 소유자)’로서 성공했기 때문이다. 즉 12세기 후반 사무라이에 의한 최초의 준 중앙 정부가 성립되었다. 가마쿠라 막부에서 도쿠가와 막부까지 사무라이는 신분이 상승하면서 엘리트 계층이 되었다. 메이지 유신 때 대도(帶刀: 폭력을 행사하는 군사신분을 상징)를 금지당했고 집단의 특권도 부정되었지만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사무라이의 권력 구조를 보면 주군에 대한 무사의 강렬한 충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막스 베버는『경제와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의 ‘보호자- 피보호자’ 관계에서 일본은 ‘가신 봉건제’라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사무라이 집단은 하나의 이에(家)아레 결합되었는데 이는 군신기능과 경제기능을 함께 가지는 혈족 관계의 조직체였다. 이에의 핵심인 혈족과 가신이라는 부하들이 주종관계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도쿠가와 시대에는 주종관계가 재설정되는데 폭력보다는 자기 수양을, 군신 관계에서 조직으로, 능력에서 신분으로 바뀌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무라이들이 어떻게 태어나고 현실적인 고난들과 싸워나갔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사무라이가 어떤 존재인가? 라는 질문과 마주칠 수밖에 없다. 무사에 깃든 살인과 파괴의 어두운 그림자들이 오랫동안 우리들에게 야만이라는 심리적인 보복으로 증오해왔다. 하지만 사무라이의 심연을 들여다볼수록 일본 정신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사무라이의 실체는 명예형 개인주의에 있다. 사무라이 문화는 명예로운 무사가 되기 위해 자기 자신을 통제해야 했다. 그 뒤 일본 역사에서 사무라이를 길들이는 사회 정치적 과정은 개인적인 자기의식을 공공의 사회 목표와 책임에 조화시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