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탄생 - 현상과 실재, 인식과 진리, 인간과 자연에 던지는 첫 질문과 첫 깨달음의 현장
콘스탄틴 J. 밤바카스 지음, 이재영 옮김 / 알마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사람들이 철학하면 소크라테스를 떠올립니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너무나 보편적인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철학이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소크라테스의 정신은 하나의 분수령이 됩니다. 아이작 뉴턴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는 거인입니다. 그 거인의 어께위로 플라톤이 오르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다시 플라톤의 어께에 오릅니다. 따라서 고대 그리스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소크라테스의 위상은 하나이면서 동시에 전체입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를 최초의 철학자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가 중요한 철학자이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철학사에 있어 최초의 철학자는 놀랍게도 탈레스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탈레스는 최초의 자연철학자입니다. 만약 철학이라는 것을 현대적인 개념으로 바라봤을 때 자신을 ‘철학자’로 불렀던 피타고라스가 최초의 철학자입니다.

우리가『철학의 탄생』에 주목하는 이유는 앞서 말한 의문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탈레스, 피타고라스 같은 철학의 비주류들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이들 자연철학자들 즉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은 그동안 우리와 함께 호흡하지 못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들의 주장이 비합리적이라는 한계에 부딪치면서 공허한 울림으로 끝나고 맙니다. 보다 실천적인 해결책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로 그럴까요? 가령, 플라톤이 이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을 불, 흙, 공기, 물, 우주로 보았습니다. 이를 기하학상의 정다면체로 했는데 이들을 각각 정4면체, 정6면체, 정8면체, 정12면체, 정20면체로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피타고라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피라미드에서 불이, 주사위로부터 흙이, 정8면체에서는 공기가, 정 12면체에서는 우주가, 정20면체에서는 물이 생겨난다고 했습니다.

또한 칼 포퍼가 인간 사상의 전 역사를 통틀어 가장 대담하고 가장 혁명적이며 가장 인상적인 관념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던 것은 아낙시만드로스의 우주관입니다. 그는 지구가 떨어져 추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물 위에 떠 있어야 한다는 탈레스의 주장을 반박합니다. 그리고는 등방적(等方的) 대칭이라는 원리를 비판적으로 적용하여 “지구는 아무런 받침대도 없이 우주에 떠 있다.”고 말합니다.

이처럼 자연철학자들에 대한 탐구는 고대 그리스 정신이 탄생하는 비밀을 밝혀줍니다. 그들을 자연철학자라고 부르는 것은 이전까지 신화의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현상으로 사유하면서 진리를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비록 오늘날처럼 실험으로 증명될 수 없었으나 그들의 사유는 합리적인 사고와 직관을 결합하여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고자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