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과 육식 - 사육동물과 인간의 불편한 동거
리처드 W. 불리엣 지음, 임옥희 옮김 / 알마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이 말은 조지 오웰의『동물농장』의 일곱 계명 중에 나온다. 하지만 예외적인 동물이 있다. 바로 인간이다. 인간은 동물이기를 거부한다. 그러면서 지구의 절대적인 주인이라고 말한다. 인간은 동물을 사육하고 동시에 육식을 한다.

그러나 시시각각 육식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몇 가지 충격적인 사실들이 밝혀졌다. 광우병(狂牛病)이 그렇고 조류 인플루엔자(AI)가 그렇다. 육식에 대한 두려움이 지구를 숨 막히게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후대책이라는 것이 놀랍게도 잔인하다. 발생농장은 물론 반경 몇 미터이내의 동물들이 매장을 당한다.

수많은 동물들의 떼죽음을 보면서 인간의 철저한 이기적인 행동에 대해 더 이상 간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앞서 보았듯 인간은 생존을 위협하는 동물에 대해 비윤리적으로 처벌하고 있다. 더구나 죄의식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동물을 살해하는 것을 정당화하는데 급급하고 있다.

과연 인간에게 무엇이 문제일까? 좀 더 부연하자면 인간이 동물에게서 멀어진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물음에 답하는 책이『사육과 육식』이다. 이 책에서 저자인 불리엣은 인간과 동물의 불편한 관계를 역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가 제시하고 있는 패러다임은 다름 아닌 사육이다. 그는 사육을 중심으로 전기사육시대, 사육시대, 그리고 후기사육시대로 구분하고 있다.

먼저 전기사육시대에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경계선이 불분명하여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넘나들 수 있는 샤면을 숭배했다. 동물을 숭배하고 상상 속에서 동물과 함께 했다. 그러나 사육시대에 들어오면서 ‘동물의 왕국’에 이르렀다. 여기서 동물의 왕국이라는 표현은 사회적으로 복잡한 인간 사회의 출현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인간 이해관계에 따라 동물을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후기사육시대에는 동물이 제공하는 제품을 풍부하게 소비하게 되었다.

이처럼 저자는 사육화의 역사적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변화의 핵심에는 사육동물이 유용한 동물이라는 것이다. 그는 동물의 유용성을 물질적 용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물질적 용도 중에서도 1차적 용도인 고기(meat)를 중요시하고 있다. 예전에는 2차적 용도 즉 양털이나 노동을 얻기 위해 사육화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는 고기 때문에 사육화가 비롯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저자는 사육화에 따른 인간과 동물의 심리적 거리감으로 현대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사육시대에는 동물과 접촉하면서 죽음을 직접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후기사육시대에는 동물과 분리되면서 죽음을 볼 수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동물을 대하는 인간의 시각과 행동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그것은 양심의 가책이었다. 결국 사육화가 산업적으로 소비되면서 동물에 대한 양심은 그만큼 멀어져버렸다. 그리고 종(種) 차별주의를 내세우며 공격한다.

가령, 저자는 당나귀를 예를 들고 있다. 이 책에서 그는 사육화가 되는 과정에서 당나귀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제시하고 있다. 전기사육시대에는 당나귀는 신성한 동물이었다. 그러나 사육시대에는 정력의 상징으로 바뀐다. 더 나아가 후기사육시대에는 가장 멍청한 동물이 되어버렸다. 이것을 토대로 예전의 멀쩡한 소를 오늘날 광우(狂牛)라고 말하는 것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세상에 미친 소(牛)라니!

일찍이 피터 싱어는『동물 해방』에서 ‘유인원 계획’(Great Ape Project)을 말한바 있다. 이 계획을 간단하게 말하면 인간과 다른 동물간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기본적인 권리를 보다 많은 존재(인간이 아닌 동물)에게 부여하려는 것이다.

후기사육시대에 인간의 고통은 곧 동물의 고통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동물이 진정으로 해방된다고 한다면 인간 또한 진정으로 해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인간과 동물의 불편한 관계를 다시 생각해봐야 할 때이다. 이 책을 통해 동물에 대한 윤리적인 느낌을 한 번쯤 생각해 보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5-31 1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