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
엘리엇 애런슨.캐럴 태브리스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행복한 부부의 조건은 무엇일까? 심리학자인 존 고트먼에 의하면 ‘마법의 비율’이 5대 1이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들은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비율이 5대 1 이상이라는 것이다. 만약 이 비율이 5대 1 이하이라면 결혼 생활은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면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해『거짓말의 진화』는 자기정당화의 심리 때문이라고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틀렸다는 증거를 직면하면서도 자신의 견해나 행동 방침을 바꾸기보다는 훨씬 더 완강하게 자신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자기고양편향에 의해 형성된다. 남을 속이기 위한 의식적 거짓말과 자신을 속이기 위한 무의식적 자기정당화 사이에는 매혹적인 회색 영역이 존재한다. 이곳을 순찰하는 것은 미덥지 못하고 자기기준으로 판단하는 역사가, 곧 기억이다. 기억은 종종 과거 사건의 윤곽을 흐리게 하고, 진실을 왜곡하게 된다.

가령, 남편과 아내들에게 가사를 몇 퍼센트나 부담하는지 물어보면 아내들은 최소한 90퍼센트라고 한다. 반면에 남편들은 40퍼센트라고 한다. 연구 결과 배우자가 서로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느끼고 쉽지만 그보다도 부부가 각기 자신의 공헌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흔히 우리는 자기정당화를 거짓말이나 변명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데 정작 그렇지 않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자기정당화의 위험성을 고발하고 있다. 그들은 죄를 지은 사람이 잘못이라고 알고 있는 것을  대중이 사실로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것( 나는 그 여자와 섹스를 하지 않았다)과 자신이 옳은 일을 했다고 자신을 설득하는 것은 대단히 다르다고 한다. 대중을 설득할 때는 자신이 위험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나 자신을 설득할 때는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자기정당화의 사례들을 마주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리에게 불편한 진실을 말해주고 있다. 즉 우리가 자아와 사리(私利)에 연연할 수밖에 없는 나약한 인간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우리에게 ‘마법의 비율’이 있어 안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긍정적인 마법의 비율이란 자기정당화를 포기하는 것이다. 이유인즉 우리에게 통찰과 자기 수용이 진실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