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이 사랑한 천재들 - 클림트에서 프로이트까지 도시가 사랑한 천재들 1
조성관 지음 / 열대림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 번쯤 여행을 하고 싶어 한다. 답답한 일상을 벗어날 수도 있고 낯선 곳에서 마주치는 희열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여행이 우리에게 주는 특별한 선물일 것이다.


이 책은 제목에 나와 있듯 빈을 사랑한 천재들의 이야기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빈이라는 예술의 도시가 내게로 성큼 다가왔다. 더구나 클림트, 모차르트 등 6명의 천재들을 만날 수 있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빈을 가리켜 ‘2000년에 걸쳐 국가를 초월한 수도’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만큼 빈은 예술과 낭만의 무대였다. 이 무대에서 6명의 천재들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밖에도 많은 천재들이 빈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빈을 사랑했던 천재들은 오히려 빈으로부터 사랑받지 못했다. 음악의 신동 모차르트는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그의 묘지는 쓸쓸하였다. 사람들은 천재의 도전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니체는『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에서 천재의 고뇌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술의 천재는 즐거움을 주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가 극히 높은 단계에 있으면 그 예술을 감상해 줄 사람이 없게 된다.”고 했다.


가령, 클림트의 <키스>가 근래에 주목받은 작품이 되었다. 당시에는 몽환적 에로티즘이라고 해서 터부시되었는데 오늘날 황금빛 유혹은 강렬하다. <키스>에 그려진 여인의 관능미가 적지 않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결국 예술을 위한 열정은 천재를 고독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6명의 천재들이 남긴 예술은 오늘날 고독하지 않다. 1995년『타임』지가 ‘지난 1000년의 가장 위대한 음악으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이다. 그리고 청력 장애로 절망했던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은 어떤가? 죽음을 예술로 바꾼 주옥같은 작품이었다.


이 책을 통해 빈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었다. 만약 해외여행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여행지 1호가 빈이 될 것이다. 저자말대로 피아커(마차)를 타고 포석이 깔린 중세의 좁은 골목길을 지나가고 싶어졌다. 말발굽의 편자가 화강암 포석과 맞부딪쳐내는 “또각또각”하는 소리가 매우 그리워졌다.


빈의 낭만에 대한 시선을 돌려 서울을 보면 숨이 막힌다. 지금으로서는 천재들은 서울을 사랑하지 않을 것이다. 건축가인 아돌프 로스 말대로 ‘문화적으로 낮은 민족일수록 장식과 치장에 더 헤프다’라는 경고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우리 사는 서울에도 세기의 천재들이 머물다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