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성적 충동 - 인간의 비이성적 심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J. 쉴러 지음, 김태훈 옮김, 장보형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전에도 한 번 이런 글을 남긴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대학교 1학년 때 경제학 원론을 들으면서 인간이 합리적이면서 이기적이라는 가정이 정말로 옳은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많이 들었다. 경제학은 모든 가정은 상기 구절을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에 그 가정에 대한 의구심은 다른 경제학 미시나 거시 경제학 그 어디에도 없었던 것 같다. 

   상기 책은 기존 경제학이 가지고 있는 가정에 대한 의구심을 야성적 충동이라는 인간의 비합리성을 자신감, 그리고 상승효과, 공정성, 부패와 악의, 화폐 착각, 이야기로 세분화하여 현재의 자본주의 위기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읽는 내내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 하면서 거품시기에 많이 듣게 되는 한국의 묻지마 투자가 그 모든 것을 내보이는 것임을 알게되어 기분이 조~금 거시기 했다. 

   사실 이 책의 내용은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책 뒤의 미주가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상당히 많이 어려웠다. 각종 모델이름이나 지수이름 그리고 그것은 연원 이런 것들을 잘 알지 못하는 나에게 미주 읽는 것은 정말로 고역이면서, 이번 기회에 정말로 경제학을 한 번 독학 해볼까하는 다짐을 하게 만든 책이다. 특히, 이 책의 해제를 쓴 장보형의 경우, 서브 크라임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책의 내용보다 해제가 뛰어났고 생각케 만든 사람인데 이번에도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어쨋든, 경제학 공부는 정말로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