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 당신의 미래는 오늘 무엇을 공부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시형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 및 독서법에 관련된 신간은 되도록이면 빠짐없이 읽으려고 노력하는데 그런 책들을 대하면 늘 느끼는 건데 공부와 독서도 그 사람이 살아온 경험적 질료의 바탕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시형의 상기 책 내용은 읽으면서 그렇구나 하는 수긍정도이지 마음에는 썩 들지는 않았다.  그 이유중의 하나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이 18시간이 된다라는 저자의 주장 - 와~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전부 활용할 수 있다는 이 굉장한 말 - 이 18시간씩 일해야 하는 나에게 딴나라 세상을 알려주는 것 같아 그의 주장에 대해 시큰둥 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책의 참신한 면이라 하면, 뇌과학과 공부 및 독서법을 연계해서 효율적인 뇌사용을 통해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주장한 점이라 생각된다. 각종의 뇌와 관련된 용어 및 전두엽과 측두엽의 역활등 평소에 접근하지 못한 뇌과학적인 접근법이 기존의 독서법과는 달랐다. 

    일반적인 뇌활용에 대해서는 평균값은 있을지 모르겠지만, 살아온 경험적 질료의 다양성으로 인해 받아들이는 뇌회로의 다양성이 있지 않을까하는 의심이 들기도 했다. 왜냐하면 공부 및 독서법은 개개인마다 다르고 다른 사람한테 유용한 방식이 자기 한테는 맞지가 않은 수가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의 경우, 일반적인 활용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겠지만, 궁극적으로 자기한테 맞는 공부법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자기가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한다. 

   이 책의 서두에서 공부를 하면서 목적의식이 뚜렷해야한다라는 이야기와 출력없는 입력은 무의미하다라는 말은 아무 목적 없이 이것 저것 집적거리는 나에게 지금까지 해오고 있는 독서법을 돌아보게 된 동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