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커스 리딩 - 1권의 똑똑한 책읽기가 100권을 이긴다
박성후 지음 / 한언출판사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너무 다독 및 난독하는 나로서는 포커스 리딩이라 하여 좀 더 체계적인 독서법을 줄 수 있을까 하여 집어 들었다. 읽다가 관둘려고 했지만, 그래도 저자의 생각이 어떤지 하여 끝까지 읽었지만, 괜히 읽었다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에 이 책을 읽어갈 때 저자가 주장하는 방법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나아가서 문학에 적용될까 의심이 갔는데 책의 중간 쯔음에 이 방법은 경제경영과 자기 계발서에만 해당된다고 발을 살짝 뒤로 하고 있는 순간부터 읽을게 못된다라는 단정을 하게 되었다. 저자가 인용하는 한 가족의 독서량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스킵과 스캔 위주의 독서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 말이다.
저자는 책을 읽을 때 핵심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물론 그 중요성이 있지만, 그 핵심단어를 전개해가는 책 저자의 논리의 전개를 봐야 하지 않을까 한다. 결론만 먼저 읽고서 그 결론이 도출된 본론의 내용을 빠트리는 것은 글쎄 저자가 비판하고 있는 요약본만 보는 것과 뭐가 다른 것인지 정말로 모르겠다. 그리고, 경제경영과 자기계발서만 읽을때 필요한 독서법에 왜 돈을 투자하고 강의를 듣는 것인지 와 닿지는 않는다.
사실, 경제경영과 자기 계발서의 경우, 인문학과 사회과학과 비교하였을 때 일단 책 글자가 크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굳이 포커스 리딩을 하지 않아도 쉽게 빠르게 읽게 마련이다. 근데 무슨 스킵과 스캔을 한단 말인가? 자기 계발서 100권을 이런식으로 읽으면 저자가 말한 것처럼 변할까? 잘 모르겠다. 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매년 새로운 계발서가 출판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