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들의 중국사
사식 지음, 김영수 옮김 / 돌베개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경우, 개국을 하면 성군이요 망국의 군주는 무능하다라는 기존의 생각을 뒤집어서 사료 중심으로 세제절로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을 뒤엎는 책이다. 사실 중국사에 등장하는 200여명의 황제들 중심의 역사는 전체적인 조망을 하기가 힘들다라는 전제아래 사초의 경우 왜곡현상이 많이 벌어짐을 저자는 주장하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성군 혹은 개조의 황제들의 솔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생각이 나는 것은 유비의 삼고초려는 제갈양이 출사표에서 처음 언급되는 것으로 실제로 유비는 하지 않았음을 설명하는 것과 아두가 생각만큼 어리석은 황제가 아님을 밝히는 대목이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 익숙한 대부분의 독자들의 상식을 이만큼 강끄리 부수는 드문 대목이다. 그리고, 홍무제 주원장의 초상화를 이마가 튀어나오고 이빨이 툭 튀어나온 것과 황제의 관을 쓴 초상화를 대조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료라는 것이 얼마나 부정확한 것인지에 대해서 실소를 금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대로 황제가 쓸모없는 물건이고 이로 인해서 많은 난세와 죄 없는 수 많은 인명의 피해가 있었지만, 황제를 제하고 중국의 과거사를 이해할 수가 있을지는 조금은 의문이 든다. 민중사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도 있지만, 황제를 뻬고서 이해를 한다라는 것이 과연 가능할는지...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으로 본 것은 직장에서 중간관리자로 일하고 있는 상황에서 리더상에 대한 또 다른 고찰을 준 점이라고 본다. 황제처럼 그리 큰 권한이 없지만, 부하직원들과의 관계 및 업무진행 방식에 대해서 한 번 쯤 생각할 수 있게끔 해준 점이다. 특히, 권한이 있을 수록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함을 비록 조작된 것이라고 저자가 설명하는 정관의 치를 완성한 당태종 이세민과 자신만이 똑똑하다고 생각하여 많은 사람을 도살한 수 황제 양광을 보면서 기업에서의 조그만한 관리자에 지나지 않지만, 경청하는 습관을 꼭 가져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