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람에게 투자한다 - 워렌 버펫의 투자 인생
마키노 요 지음, 신동기 옮김 / 시아출판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일개 말단 회사원에 지나지 않는 주제에 투자의 신인 워렌 버핏을 논한다라는 것은 주제 넘는 짓이라 생각됨에도 너무나 많은 책들이 그를 찬양조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서 왠지 모르게 반감이 든다. 사실, "오마하의 현인" 이자 살아있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이론의 수제자이자 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인 워렌 버핏에 대한 책들 대부분이 그의 내재가치 중심이론과 더불어서 장기투자로 인한 복리의 마법을 만든 사람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처럼 상기 책도 그런 범주에 별로 벗어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읽으면서 별로 색다른 내용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경영자의 모럴해저드와 스톡 옵션의 비용처리건에 대한 것은 결국 그의 말인 "경영자는 오너처럼 행동해야 한다"와 "이사회의 독립성과 의결권 강화"로 집약될 수 있을 것이고 전자의 경우는 경영자의 자질을 보고서 버크셔 해더웨이의 자회사로 만든 가이코나 시즈캔디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질레트와 코카콜라의 회장을 경영실적 부진으로 물러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런 것을 보았을 때 현재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는 이사들의 독립성과 의결권이 있는 것인지 사장의 눈치만 보거나 혹은 오너 일가의 눈치만 보다 모든 책임은 아랫사람에게 물리는 이런 독특한 한국적 환경에서 주주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영이 가능할 것인지 참으로 답답하기만 하다. 특히, 자사주로 매입한 것이 시장가로 주고서 그 시장가가 반토막이 난 시점에서 현 경영진의 무능함에 화가 조금은 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일본 경영서가 그렇듯이 상기 책은 워렌버핏에 대해 초보적인 지식을 갖길 원하는 사람에게는 좋을지 몰라도 이미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내용의 얕음과 동시에 방향성이 내재해 있지않고 특히 서구식 책들과 달리 자기 얘기가 아닌 경우에는 정확한 각주나 혹은 미주를 달아주어야 함에도 전혀 없는 것이 부족하다고 본다. 아니면, 번역자가 빼먹은 것인지...

    그럼에도 이 책에는 본문상에서 나타나는 경영용어를 조금만 단락으로 만들어서 설명하고 있는 점은 높이 평가받을 만 하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