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권력의 이동
론 처노 지음, 노혜숙 옮김 / 플래닛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금융 체계를 금융소비자, 금융중개인, 금융투자자의 커다란 세 개의 카데고리를 통해서 각 카테고리가 상대적 권력의 이동을 역사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지금같이 주주자본주의 및 소액투자자의 권력심화에 이르는 과정에서 유명한 중개인 로스차일드,J.P. 모건, 워버그 가문등을 간략하게 후기에 소개하고 있다.

    그러는 와중에서 일본과 독일의 은행시스템에 간략한 설명과 그들 시스템이 가진 비효율성을 지금 미국 시스템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물론 저자는 작금의 미국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지만, 정보의 공개를 통한 도매금융만 하면서 폐쇄적으로 변해간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스템으로 인해 장기적인 안목의 사업을 벌일 수도 없으며, 또한 돈을 투자하는 사람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닌 군중심리에 의해서 진행됨을 설명하지 않고 있으며, 이 시스템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었던 나라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 민중들의 고난과 아픔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있다. 헐값에 외환은행과 한미은행을 팔아버린 이 나라의 파렴치한들은 대대로 잘 사는데 그 조치로 아픔을 겪은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관심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식 자본주의 우월성으로 움직여 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너무 짜증나며, 갈수록 승자독식사회가 되어가고 있음에 무기력함을 느낀다.

이 무력감의 경우, 88만원 세대에서 더욱 더 크게 느끼리라 생각되지만, 앞으로 한국에서도 진취적인 기업이 더 이상 나올 수 없게 된 것 같아서 이명박이 말하는 7% 경제성장은 한 편의 사기극임을 절실히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