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비를 팔다 - 우상파괴자 히친스의 마더 테레사 비판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음, 김정환 옮김 / 모멘토 / 2008년 1월
평점 :
저자인 크리스토퍼 히친스의 경우, 이 책을 보기 전에 아마존에서 그의 책 "God is not Great"에 대한 리뷰를 보고서 한 번 읽어봐야 겠다고 마음먹던 차에 앞서 책의 번역본과 상기책을 우연히 구매하게 되었다.
이 책은 이미지화 된 마더 테레사를 그의 행동과 말로서 평가를 하고 있으며, 또한 책의 마지막에 본인이 언급했듯이 얽매이지 않는 정신으로 무엇을 생각하는 것이 아닌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적적한 비틀기와 유머로서 보여주고 있다.
본명이 아그네스 보야지우인 마더 테레사의 삶에서 아주 많이 목격되는 모순들과 그 모순속에서 본인의 행동들을 침묵과 "용서하세요"라는 말 속에 숨어버리는 마더 테레사는 성자의 반열에 올라갈 자격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이 책을 읽는 내내 들었다. 그러면서도, 장 보드리야르의 시물라시옹이라는 단어가 머리를 스쳐지나갔다. 구체적인 리얼리티가 아닌 대중매체가 만들어낸 이미지로 자신의 모순을 가리는 마더 테레사, 온갖 부정한 방법으로 모여진 돈을 되돌려주지 않는 마더 테레사, 자신의 종교적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당한 의약품 투입을 거절하는 그 수녀가 정말로 내가 알고 있던 그 사람이었던가?
한편으로, 내가 익히 알고 있다고 한 그 사실이 어쩌면 정말로 모르는 것이며, 구체적인 사실과 증거로서 되집어 봐야겠다라는 다짐을 하게 된다. 사실 조중동이 이나라의 여론과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이 상황에서 구체적인 것은 없고 화려하게 포장된 말들의 세상에서 어떻게 판단을 해야만 하는 가에 대한 답을 저자가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되며, 내용은 짧지만, 많은 것을 생각나게 하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더불어서, 번역을 하면서 각종 위트를 우리식으로 옮기고 각종 각주를 열심히 달아준 번역자의 노고가 인상적이며, 종교적 용어에 익숙지 않은 사람이 보기에는 분량은 작더라도 어려운 책이 될 수 있었던 것을 쉽게 해준 그의 노력에 독자로서 감사를 드린다.
책의 제목인 The Missionary Position이 성(聖)과 성(性)의 두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것처럼 세상은 정말로 저자가 지적한 것처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이렇게 달라질 수 있음에 다시 한 번 내 삶에 대해서 반성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