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 신화를 벗다 - 워렌 버핏 경영의 비밀
제임스 올러클린 지음, 조성숙 옮김 / 이콘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버핏에 관해서 두번째로 읽어보았던 책이다. 사실, 책 제목이 워렌 버핏의 성공에 이면에 가련진 무슨 비밀을 알려주나 싶었는데 끝까지 읽어보니 오히려, 워렌 버핏의 신화를 한층 더 강화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 책의 경우,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 인 워렌 버핏을 단순히 가치투자의 귀재인 전략가로서의 모습과 동시에 방계에 수많은 계열사를 가진 경영자로서의 워렌 버핏을 그리고 있다. 사실, 이 경영자로서 그린 워렌 버핏의 모습은 경영의 투명화를 외치는 일반적인 경영의 가설을 한창 무시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투자자로서 워렌 버핏은 독점적인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코카콜라와 질레트에 상당한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외이사를 겸직하여 해당 회사의 CEO를 경질시킬 수 있는 강력한 힘을 보여준다. 이는 해당 글로벌 기업회사의 경영  투명성 및 해당 주주의 이익을 중시하는 행위로 볼 수 있겠지만, 정작 자신의 방계회사를 관리할 때의 워렌 버핏은 책에서는 긍정적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재벌 회장과 뭐가 다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독선적인 인물이라고 본다. 물론, 책에서는 해당 기업의 자율권을 보장해주며, 운영비용을 상회하는 잉여헌금만 오마하로 보내면 아무것도 간섭하지 않는 경영자 그리고, 전략이라는 것을 쓸데없이 만들지 않고 어떻한 사태가 벌어졌을 때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융통성을 중시하는 인물로 그려져지지만, 워렌버핏의 경우, 해당 방계 회사를 100% 완전히 소유하고 있는데 이런 상항에서 과연 그가 "오너의 매뉴얼"에 따라 공평하고 공정하게 경영한다라고 저자가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참 휼륭하다고 말하리라고 이런 모습을 그릴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쓸데없는 평가이며 그의 모습은 어쩌면 과대포장 및 거품이 많이 껴있는 연예인의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그 인기가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에 불과하다. 워렌버핏이 보여준 가이코의 잉여자금으로 투자활동을 했던 것은 불법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며, 외국인들이 한국의 경영 투명성을 강조하면서 방계사의 금융자산을 함부로 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정반대로 행한 결과가 지금의 워렌 버핏을 있게 했고 그런 워렌 버핏을 투자의 구루라고 여기는 미국을 보면 참으로 이중적이며 가소롭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그러한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식 식민지인 한국의 일반 회사원으로 살아가는 것이 참으로 슬픈 것이 아쉽다.

   그리고, 조강지처를 나두고 다른 여자와 사는 그를 나는 이해하지 못하겠다.

    어쨋든, 나도 조금의 돈을 벌어서 두 딸과 아내와 편히 쉽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지만, 어떻게 할 수 있을까하고 고민을 하면서, 투자로 고민하는 그의 위치가 한편으로 부럽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