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일약국 갑시다 - 무일푼 약사출신 CEO의 독창적 경영 노하우, 나는 4.5평 가게에서 비즈니스의 모든 것을 배웠다!
김성오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나는 딸아이들이 3살 그리고 두 달이라서 별로 자녀들에 대한 교육에 지금까지는 관심이 없어서 메가스터디와 엠베스트가 무슨 회사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회사의경영도서 목록에 나와 있기 때문에 반강제적으로 처음 읽게 되었지만, 요근래에 읽게 된 책중에서 바로 단시간내에 읽게 된 몇 안되는 책 중의 하나가 되었다.
저자가 마산에서 4.5평의 작은 약국을 개설하면서 격었던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들 그리고 고객서비스를 통해서 남들과 다른 경쟁력을 확보하는 과정은 한편의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들었으며 영남산업을 인수하여 경영자로서 다시 자신을 바꾸어 가는 과정 그리고 편한 메가스터니 부사장 자리를 박차고 나와서 중학생 온라인 사이트인 엠베스트를 정상궤도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보여준 저자만의경영노하우는 한구절 한구절마다 가슴에 와닿았다. 사실, 지금 근무하고 있는 직장이 유통업체라서 그런지 몰라도 더더욱 동감이 가는 구절이 많았다.
이 책에서 저자가 크게 강조하는 부문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경쟁력이고 또 다른 하나는 회사를 움직이는 인력에 대한 배려이다.
저자는 이 책의 처음에서 객관적인 경쟁력이 없으면 주관적인 경쟁력이라도 있어야 하고 그러한 경쟁력을 가질 수 없게 하는 제일 큰 장애물이 고정관념이라고 주장한다. "살기 위한 몸부림"을 쳐야 하는 나 같은 말단 회사원의 경우에 그 고정관념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조직의 관성 혹은 매너리즘에 빠져 무사 안일주의로 흐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하쟎고 사소한 일에 만성이 되어서 새로운 뭔가를 시도하지 않고 흘러가는 시간의 바다에 몸을 맡기고 있는 지금의 나에게 저자의 다음과 같은 말은 나의 나태함을 일깨우는 촌철살인 같은 구절이었다.
"하잖게 보여지는 일이라도 상관하지 않았다. 작고 소소한 행동들이 하나 둘 늘어나다보니 그것이 어느새 나의 경쟁력으로 쌓여 갔다. ....나는 손님들에게 '확실한 마무리'를 해주려고 노력했다.(p57)"
"나는 블루오션이라는 것을 믿지 않는다. 세상에 블루오션은 없다. 많은 사람들이 '돈이 되는 일'에 벌떼처럼 모여들어 그 일의 희소성은 사라진다. 곧바로 레드오션이 되는 것이다. 게다가 자금력이 막대한 강자들이 칼자루를 쥐면, 중,소업체들은 규모나 자금면에서 밀릴 수 밖에없다. 이처럼 치열한 경쟁에 자꾸 노출이 되고, 도태되다보면 경쟁의 '경'자만 들어도 예민해져 신경이 곤두서게 된다.(p174)"
치열한 경쟁의 레드오션에서 나만의 경쟁력이 있는지 새삼 반추하다 보니 아무런 경쟁력이 없음에 많은 자괴감이 든다.
이 책의 한 장이 부제가 "고객에 앞서 직원부터 감동시켜라"이다. 이 장을 처음부터 읽게 되면 왜 저자가 자신의 "부의 90퍼센트를 사람을 통해서 받았다고 자신있게 이야기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게 된다. 이 장의 여백에다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의 상황을 써놓고 비교해보니 많은 암담함이 몰려오지만, 어쩌면 그러한 암담함이 있기에 개선의 여지도 많지 않을까 하는 긍정적인 생각이 들다가도 변화를 거부하는 "체인지 몬스터"들이 너무 많음에 절망을 하게 된다. 이 장에서 감동을 받은 부분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우수한 인재에 대한 김성오 대표의 신념 - "나는 다른 회사의 능력있는 인재를 부러워하기보다는 내 식구를 더 큰 인재로 키울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p98) "- 이다. 이건희가 천재 1명이 10만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고 하여 해외로 우수한 인재를 뽑는데 혈안이 된 현재이 상황에서 김성오 대표의 생각은 너무 나이브하거나 이상적이라고 매도당할 수도 있게지지만,내부직원에 대한 신뢰와 능력개발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그의 모습은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 다니는 회사는 직원들을 1회용 소모품으로 여기고 있는 상황에서 이 말을 들으니 한편으로 엠베스트에 다니는 직원들이 부러웠다.
둘째는, 엠베스트의 네 가지 금기사항을 설명하는 구절이다. 즉, "첫째, 아닌 것을 맞다고 말하지 말 것. 둘째, 맞는 것을 아니라고 하지 말 것. 셋째, 작은 것을 크게 과장하여 말하지 말 것. 넷째, 큰 것을 축소하여 말하지 말 것. 어렵고 복잡하게 말했지만, 한마디로 '정직'하라는 것이다 (p122)" 어쩌면, 김성오대표가 많은 고객들의 지지와 성원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닌 것은 아라고 말하는 단순한 그 실천이지 않았을까? 거기서 신뢰와 믿음이 생기며, 사람의 마음을 얻었기에 돈이 자연스럽게 따라온 것이고 직원들로부터 받은 신뢰 역시 본인 스스로가 상기의 내용을 실천하기에 자연스럽게 직원들이 따라오며, 그 직원들이 더 적극적으로 일을 하게 되어 온라인 최강자자가 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김성오 대표은 상기의 철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면서, 자신만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끊임없이 변해왔기에 사람을 남기는 큰 장사꾼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도 사람을 낳는 장사꾼이 될 수 있으려나? 어쩌면 사소하고 하쟎은 것의 실천을 내일 당장이라도 시행해야 겠다. 김성오 대표처럼 될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