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Rat Roads
Garden Of Delights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독일 뮌헨(Munich) 출신의 밴드들은 Amon Düül 정도를 제외하고는 그 음악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방 ― 대표적으로 뒤셀도르프(Düsseldorf) ― 밴드들만큼의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Guru Guru, Embryo, Gila 등 수많은 뮌헨 밴드들은 당대 및 후대 크라우트록신에 지대한 영향을 남겼을 뿐 아니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골수 매니아들로부터 컬트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Out of Focus 역시 그 음악성에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던 뮌헨 출신의 밴드이다.


 69년 말에 결성된 Out of Focus는 Ihre Kinder의 매니저에게 발탁되어 Kuckuck 레이블에서 70년 첫 앨범 [Wake Up](3001 RCD 별1개)을 발매한다. 이후 71년에 동명 앨범(2001 RCD 별1개)과 72년 더블 LP의 대작 3집 [Four Letter Monday Afternoon]을 발표하고는, 상업적인 이유로 결국 Kuckuck 레이블에서 쫓겨나고 새 레이블을 찾지 못한 채 75년경 해체되고 만다. 그러나 뒤늦게 음악성을 인정받은 이들의 앨범은 90년대 들어 활발하게 재발매된다. 레이블을 찾지 못해 발매되지 못했던 72년에 녹음된 [Not Too Late]와 LP의 시간적 한계로 인해 3집에 실리지 못했던 곡들로 이루어진 본작 [Rat Roads]를 포함해서 말이다.


 [Rat Roads]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먼저 3집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3집 [Four Letter Monday Afternoon]은 러닝 타임이 90' 36"(보너스 트랙 제외)에 이르는 잼 형식의 음반인데, 놀랍게도 무려 11명의 연주자들 ― 기본적인 구성 외에 색소폰, 플룻, 트럼펫, 트롬본 등 관악기 주자들을 포함한 ― 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3개의 트랙으로 나누어진 Huchen 55라는 48분짜리 대곡은, 이 11명의 연주자들이 동시에 여기저기서 즉흥 연주를 하는, 거의 황당하기까지 한 음악으로 유명하다. 그렇다고 캔터베리 신이나 프리 재즈를 떠올려서는 안 된다. 악기 구성상 빅밴드 재즈의 냄새가 짙게 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은 (때때로 놀라울 정도로) 치밀한 곡구성과 수준급의 연주를 진지한 자세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더블 LP를 채우고도 모자랐던 Out of Focus의 창조력이 본작 [Rat Roads]에서 고스란히 재현된다. 본작은 이들의 3집 레코딩 당시 남았던(!) 음원들을 Garden of Delights 레이블에서 2002년에 세계 최초로 CD화한 음반이다(카탈로그 번호 CD-064. LP는 다른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3집에서 보여주었던 실험성은 다소 줄어들었지만 ― 정확히 말하자면, 고르고 골라서 좀더 좋은 곡들로 3집을 발표했던 거겠지만 ― 여전히 열정과 창의력으로 가득 찬 연주를 들을 수 있는 음반이다. 재즈와 싸이키델릭의 혼합물에 약간의 블루스와 캔터베리가 가미된 정도랄까.


 보컬곡이 두 곡(#1, #6) 수록되어 있는데, 블루지한 보컬을 즐길 수 있는 기분 좋은 곡들이다. 프로그레시브 리스너가 아니더라도 흥겹게 감상할 만한 수준이다. 나머지 트랙들은 약간 난해하면서도 흥미진진한 연주를 들려주는데, 특히 #7 Climax는 그 제목대로 정말 본작의 절정이라 할 수 있다. 예측불허의 실험적인 구성이 돋보이며, 재즈적인 요소를 차용한 크라우트록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곡이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Annexus Quam이나 Missus Beastly가 시도했던 크라우트록과 같은 노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자는 아방가르드 재즈, 후자는 스페이스록에 치우친 음악을 보여주는 반면, Out of Focus는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절묘하게 잡아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3집 [Four Letter Monday Afternoon]의 그림자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지만, 미공개 음원이라는 점에서 콜렉터 및 매니아들의 관심을 충분히 받을 만한 음반이다. 물론 재즈록이나 브라스록에 관심이 많은 프로그레시브 리스너로부터도 환영받을 만한 음반이다. 크라우트록 입문자들에게 제일 먼저 추천할 만한 음반까지는 아니지만, 크라우트록을 계속 듣다 보면 언젠가는, 비록 반드시 이 음반은 아니더라도, 이들의 음악을 들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좋은 음악을 먼지 가득한 세월의 잠으로부터 해방시켜 햇빛을 볼 수 있게 해준 Garden of Delights에 다시 한 번 감사를.(2005년 7월, 필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Weltschmerz
Garden Of Delights / 1994년 1월
평점 :
품절


 헤르만 헤세의 동명 소설에서 밴드명을 따온 싯다르타(Siddhartha)의 유일작 [Weltschmerz](직역 world pain)는 1975년 자주 제작으로 400장만이 만들어졌을 뿐인 희귀작이다(2001 record collector dreams에 별 4개 랭크). 이를 전에 소개한 바 있는 독일 Garden of Delights 레이블에서 97년에 세계 최초로 CD로 복각(카탈로그 번호 CD-013)한 것이 바로 본작이다. 희귀성뿐 아니라 음악적으로도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1971년 5명의 대학생들을 주축으로 결성된(본작에는 3명의 객원 멤버가 더 참여했다) 싯다르타는 밴드명대로 구도자적인 음악을 들려주고 있는데, 특히 초기 핑크 플로이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실험적인 요소가 두드러지지 않고, 극적인 곡 구성이나 진행 등에서 오히려 영미권의 아트록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따라서 엄밀한 의미로는 크라우트록이라 부르기는 어렵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바이올린의 사용이 두드러지는데 이것이 비장한 분위기의 형성에 일조하고 있다.

 

 트랙들을 살펴보면, 앨범의 문을 여는 #1 Looking in the past는 여성 보컬(객원 멤버1)의 풍부한 음색과 오르간 및 기타의 현란한 합주가 돋보이는 곡으로, 은근한 중독성을 풍기는 곡이다. 휘몰아치는 오르간과 기타, 슬픔에 잠긴 피아노 등 부분부분 매력적인 연주가 많은 트랙이기도 하다. 좀더 길게 만들어 완벽한 대곡 형식으로 갔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 조금 아쉽다. #2 Tanz im Schnee(번역 Dance in the snow)는 푸가 형식을 띤 기타 중심의 연주곡으로, 매끄러운 연주를 들려주지만 그다지 특별한 인상을 남기지는 않는다.

 

 #3 Times of delight는 조금 자세하게 살펴보자. 먼저 오르간의 주도 하에 몽환적인 도입부를 거쳐, 애수에 찬 바이올린 연주가 등장하고, 이어서 내뱉는듯한 보컬의 주제부가 드러났다가, 다시 바이올린의 애잔한 간주가 이어지며, 여기에 광기에 찬 기타와 바이올린의 울부짖음이 곡의 절정을 알린다. 그리고는 도입부의 오르간 주제가 반복되며 여운을 남기는 마무리. 전형적이라면 전형적일 수도 있는 구성이지만, 연주는 전혀 흠잡을 데가 없고, 주제 전달에 있어 감정 표현도 훌륭한, 본작의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 곡이다. 7' 09"라는 시간이 전혀 짧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훌륭한 아트록 소곡이다.

 

 #4 Weit Weg(번역 Far way)는 잔잔한 기타 및 플룻(객원 멤버2) 연주가 포크적인 분위기를 내는가 싶다가, 느닷없이 튜바(객원 멤버3) 솔로가 등장하기도 하는 독특한 곡이다. 또 유일한 독일어 가사의 곡이기도 하다. 시간이 무려 12' 18"에 이르는데, 불필요하게 곡을 늘려놓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끝으로 #5 Gift of the fool은 오르간과 바이올린이 만들어내는 불길한 분위기와 몽환적인 기타 연주, 어딘가 조소적으로 느껴지는 보컬이 인상적인 곡이다.

 

 전반적으로, 이들의 진면모를 파악하기에는 러닝 타임이 너무 짧아서 아쉬운 감이 많이 남는 음반이다. 이들이 밴드를 계속 해서 음반을 더 냈다면, 그래서 이들이 음악적으로 발전 혹은 변모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 당시에는 단 한 장의 음반을 남기고 사라지는 좋은 밴드가 너무도 많았다. 싯다르타 역시 멤버들의 대학 공부와 취업 등으로 본작 한 장만을 남기고 77년 말에 해산되었다. 이런 밴드들의 음반 중에는 후세에 이르러서야 진가를 인정받게 되는 명반이 있는가 하면, 평균 이하의 범작 혹은 그저 그런 아류작도 많았다. 본작은 전자에 속하는 명반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시대의 수많은 음반들 중에서 그리고 크라우트록이라는 장르의 시각에서 볼 때, 본작이 불세출의 걸작이라고까지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매우 뛰어난 프로그레시브록 음반인 것은 사실이다.(05-07-14 필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trapados en el Cielo
M2U Records / 1977년 7월
평점 :
품절


 

 비교적 생소한 아르헨티나라는 곳의 음악은 생각만큼 이질적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그것은 본작 [Atrapados en en cielo](번역하면 ‘하늘 안에 갇히어’라고 한다)이 아르헨티나의 지역색을 담은 트레디셔널 포크가 아니라 다소 팝적인 포크 음악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아름다운 화음과 멜로디가 세계 어느 곳에 사는 사람에게라도 충분히 감흥을 불러 일으킬만한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본작은 포크 듀오 Pastoral의 통산 4집으로, 커버와 타이틀이 암시하듯 독재 정권에 대한 비판을 은유적으로 담고 있으며, 그것을 잔잔한 연주와 목가적인 감성으로 풀어내고 있는 매우 정제되고 아름다운 포크 음반이다. 특히 타이틀곡인 #1이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데, 신시사이저 오케스트레이션 위로 애잔한 기타가 흐르고, 이어서 듣는 즉시 청자를 사로잡아버리는 듀오의 미성이 돋보이는 곡이다. 가사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독재 정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가사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들어도 결코 잊을 수 없으리만큼 아름다운 목소리와 멜로디가 인상적인 곡이다.

 그 외 다른 곡들도 예쁜 포크 음악을 들려주고 있는데, 한 곡을 더 꼽자면 Erasquin Miguel Angel의 보컬(라이너 노트에 의하면)과 어쿠스틱 기타만으로 이루어진 #3 Gime Nenita(번역하면 ‘Nenita를 애도하며’라고 하는데 사람 이름인 듯싶다)를 들 수 있다. 그의 부서질 것처럼 섬세하고 절제된 보컬은 청자를 차분하게 애잔함 속으로 침잠시키는 미묘한 힘이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패키징이 조금 조잡하다는 사실이다. M2U 초창기에 나왔기 때문에(M2U-0003)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겠지만,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Die-cut 커버가 원본대로 재현된 것을 제외하면, 부클렛은 컷팅부터가 일(一)자로 똑바르지 않으며 스페인어 가사와 그 영어 번역은 활자와 배치가 제멋대로인데다가 오타가 많고 번역도 형편없다. 뭣보다 제대로 된 트랙리스트와 크레딧이 제공되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M2U가 아니면, 어떻게 이런 음반을 접할 수 있었겠는가. 게다가 최근에는 (특히 M2U-2001 이후부터는 정말로) 완벽한 패키징을 보여주고 있으니 말이다. 항상 좋은 음악을 발굴해주는 M2U에 다시 한 번 고마움을 전하며, 앞으로도 이런 아름다운 음반을 더 많이 발매해줬으면 하고 희망해본다. (2005-7-10)


*링크:
 구글링으로 찾은 본작의 가사(서유럽어로 인코딩해서 보세요)
 http://www.rock.com.ar/discos/0/909.s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Analogy
Garden Of Delights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본작에 대해 강한 구매욕을 느꼈던 이유는, 다름 아닌 멤버들의 누드 커버사진 때문이었다. 커버사진 한 장이 음악 전체보다도 훨씬 중요한 경우가 분명 있는 법이다. 예를 들면, Roxy Music의 [Country Life]처럼. 그런데 알고 보니, 본작은 2001 Record Collector Dreams에 별 6개로 랭크될 만큼 그 희귀성으로 주목받는 음반이었다. 그래서 23600원이라는 만만치 않은 가격을 무릅쓰고 구매를 강행했고, 결과는… 뭐 그럭저럭 괜찮았다.


 Garden of Delights에서 의욕적으로 재발매하고 있는 독일권 올드록 시리즈(크라우트록을 포함한)의 일부(카탈로그 번호 CD-059)인 본작은, 솔직히 말해 골수 크라우트록 매니아인 필자의 취향에는 조금 맞지가 않았다. mp3를 먼저 구해서 들어보지 않은 게 실수랄까. 그야 몇 년 전에 아무 것도 모르고 샀던 [The Other Sides of Agitation Free](CD-032) 같은 음반보다야 훨씬 들을만한 수준이니 다행이긴 하다. 애초에 이 시리즈는 음악성보다는 희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니 위험부담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음악이 아주 나쁘냐 하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일단 파워풀한 여성 보컬(프로그레시브 신에서는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구매 포인트가 된다)이 인상적이다. 밴드의 리더 Martin Thurn의 여자친구였던 보컬 Jutta Nienhaus는 53년생으로, 본작이 72년에 나왔으니까 당시 20세밖에 안 되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힘 있고 특이한 보컬을 들려준다. 파워풀한 면은 Fusion Orchestra 시절의 Jill Saward와, 마녀를 연상시키는 주술적이고 몽환적인 면모는 Circus 2000의 Sylviana Aliotta와 비교를 할 수 있겠으나, 완전 자기 멋대로(…) 노래를 한다는 점에서는, 사실 어느 보컬과도 비교를 불허하는 독특한 보컬이다.


 악기 구성은 보컬/드럼/베이스/기타/키보드의 5인 구성으로 특기할만한 점은 없고, 드럼을 제외하면 연주력도 괜찮은 편이다. 전반적으로 보컬의 주도 하에 어두운 분위기의 사운드를 들려주는데 특히 기타와 함께 싸이키델릭한 분위기를 조장하는 해먼드 오르간의 음색은 꽤 매력적이다. 타이틀곡인 #5에서는 스페이스록적인 분위기도 살짝 나긴 하는데, 완전 뿅가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심포닉 밴드 Earth & Fire와 비교를 많이 하는 것 같은데, 필자는 못 들어봤으므로 이들과의 비교는 패스.


 Garden of Delights 시리즈는 매우 상세한 부클렛으로 유명한데, 본작 역시 32페이지(앞뒤커버 2페이지, 독어 및 영역본 라이너 노트가 각각 8페이지, 디스코그래피와 발매정보 2페이지, 음반 및 밴드 멤버 사진이 무려! 10페이지, 카탈로그 2페이지)의 방대한 부클렛이 제공되며, 그 퀄리티도 매우 좋은 편이다. 부클렛에 보면 밴드에 얽힌 재미난 사연이 많이 나와 있는데, 압권이었던 것은 커버 사진의 파란 띠 부분에 원래는 또 한 명의 밴드 멤버 사진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 멤버는 군대를 가는 바람에 앨범 발매 당시 라인업에서 빠지게 된 거라고 하는데 불쌍해서 웃을 수도 없고, 조금 난감했다. 그런데도 전역 후에 다시 밴드로 돌아갔다고 하는 걸 보면 멤버간 유대는 꽤 좋았나 보다.


 자, 이제 정리하자면, 본작은 희귀한 프로그레시브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실망하지 않을 음반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커버도 좋고(…), 음악도 일정 수준 이상이고, 부클렛도 상세하고, 음질도 (당연히) 좋다. 뭣보다 이런 희귀반을 이렇게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콜렉터들에게는 더없는 기쁨인 거다. 성의없이 재발매되는 다른 희귀반들에 비하면 상당히 괜찮은 음반이다.(05-7-7)



*덧: 참고로 Comet(Akarma)에서도 00년에 본작을 재발매했는데, 부클렛에 의하면 이는 밴드 멤버들의 승인을 얻지 않은 bootleg이라고 한다. 보너스 트랙은 더 많지만 음질이 안 좋다는 소문도 있고 하니, 기왕 살 거라면 Comet판보다는 조금 비싸지만 본 Garden of Delights판을 구매하길 추천한다.


*링크(필자 취향에 맞는 별점 추가):

Roxy Music - [Country Life] ★★★★★

 http://phono.co.kr/goodsView.do?goodsNo=528929

 

Agitation Free - [The Other Sides of …] ★★

 http://phono.co.kr/goodsView.do?goodsNo=571313

 

Fusion Orchestra - [Skeleon in Armor] ★★★☆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29709 (창고)

 

Circus 2000 - [An Escape from A Box] ★★★★

 http://phono.co.kr/goodsView.do?goodsNo=575606

 

Earth & Fire

 http://hmusic.co.kr/Search_Detail.php?s_field=artist&s_key=Earth+%26+Fire (향)

 

Garden of Delights 공식 사이트

 http://diregarden.com

 

Hans Pokora의 1001~4001 Records Collector Dreams

 http://metavox.co.kr/shop/goodalign/good_align.php?Adjoin=&refcatcd=68 (메타복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마] 요즘 무슨 음악 듣고 계세요?
Si On Avait Besoin D'une Cinquieme Saison (제5의 계절이 필요하다면)
Harmonium (아르모니움) 노래 / Polydor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프랑스계 캐나다 밴드인 Harmonium의 2집 [Si On Avait Besoin d'une Cinquième Saison]은 올해초 국내에서도 정식 발매된다는 소식이 나돌며 아트록 리스너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던 음반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을 그렸다는 점에서 필자는 처음에는 Ciclos(시완에서 라이센스한)를 떠올렸으나 그 예상은 전혀 빗나갔고, 그것은 행운이었다. 본작은 난해함이나 복잡성으로 무장한 음악이 아니라, 동화적인 커버만큼이나 목가적이고 아름다운 음반이었기 때문이다.


포크 트리오로 출발하여 1974년에 발표한 1집과 완벽한 프로그레시브록인 1976년의 3집 사이에 포크적인 요소와 동시에 프로그레시브록의 요소를 갖춘 본작이 위치한다. 특이하게도 악기 구성에 드럼은 완전히 빠져있는데(#2에서 하이햇과 베이스 드럼이 등장하는 게 전부다) 그럼에도 관악기와 기타가 풍성한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다. 다양한 관악기(플룻, 색소폰, 클라리넷, 피콜로 등)의 절묘한 배치와 어쿠스틱 기타와 베이스가 목가적인 분위기를 이루는 동시에 멜로트론과 키보드들(또다른 캐나다 밴드 Et CeteraOndes Martenot라는 moog의 전신격인 오래된 신디사이저를 연주해줬다고 한다)이 심포닉 프로그레시브록적인 사운드를 들려준다. Serge Fiori의 낭만적인 보컬도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이다.


어느 곡 하나 버릴 게 없으리만큼 훌륭하지만, 단 한 곡을 선택해야 한다면 역시 #3이 가장 명곡이 아닐까 싶다. ‘가을, 많은 것들의 떠남’이라는 부제답게 쓸쓸함이 물밀 듯 밀려오는 10'25"에 달하는 대곡이다. 그럼에도 싸구려 감성이나 자폐성에 기대지 않고 차분하면서도 호소력 있는 보컬과 떨리는 듯한 어쿠스틱과 심포닉 사운드만으로 10여분이 채워져 있다. 특히 6'46"부터 반복되는 기타와 키보드 위에 베이스, 코러스, 멜로트론이 차례로 덧씌워지며 절정을 향해가는 2분여간의 연주는 가슴을 파고들어 중독성까지 띨 정도로 멋진 부분이다.


본작의 가사는 형이상학적인 내용이라는 이야기가 있다만, 불어를 모르는 관계로 이해할 수 없어 유감이다. 그러나 가사를 알아듣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음악 속에서 아름다움과 감동을 느끼는 것을 보면, 역시 음악은 만국 공통의 언어라는 생각도 잠깐 해본다. 정말로, 아름다운 음반이다.(2005-7-1)



덧: Harmonium은 5년 동안 3장의 스튜디오 앨범과 1장의 라이브 앨범만을 남기고 해산해버렸는데, 그 이유는 자신들이 만들 수 있는 최선의 음악을 이 4장의 음반에 다 쏟아부었기 때문이라고 했다고 한다. 놀라운 자신감이 아닐 수 없다. 이중 이들의 3집 [L'Heptade]의 밴쿠버에서의 실황 앨범인 [En Tournee]를, 작년에 M2U가 세계 최초로 복각하여 발매했는데 이 음반 또한 명반이라는 소문(?)이 있다.


링크(쉬프트 클릭하세요):

Los Canarios - [Ciclos] http://www.phono.co.kr/goodsView.do?goodsNo=506807

Harmonium - [En Tournee] http://www.phono.co.kr/goodsView.do?goodsNo=570483

Ondes Martenot 설명 http://blog.naver.com/homewalk80/1400133317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