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오후 외출, 지하철 안에서 읽은 단편은 『밤눈』이란 제목을 달고 있었는데, 와- 이 몇장 안되는 단편에 포스트잇을 덕지덕지 붙였다. 지하철 안에서 그 단편 한편을 시작하고 끝냈는데, 전문을 다 옮겨오고 싶은 그런 글이었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긴다면 꼭 읽어보라고 선물하고 싶은 그런 단편이랄까. 

 

 

 

 

 

 

 

이제는 나이 들어 버린 여자가, 과거의 남자를 회상한다. 그 남자와 사랑했던 기억을 추억한다.  

   
  정이란 것이 그런 겁디다. 아무리 단속을 해도 모기장에 모기 들어오듯이, 세 벌 네 벌 진흙 처바른 벼락박에 물 새듯이 그렇게 생깁디다. 말했듯이 손구락 하나 안 잡았는디, 새벽에 그 사람 갈 때까지 잠도 안 잤는디, 세상에, 한 지붕 아래 한방에 누웠다는 이유로, 날밤을 같이 샜다는 똑 그것 때문에 그 사람이 남 같지가 안 합디다. (p.49)    
   

그러니까 정이란 그런 것. 아무리 단속을 해도 모기장에 모기 들어오듯 하는 그런 것. 손구락 하나 잡지 않아도 한 공간에 함께 날밤을 새웠다는 이유로 그가 특별해지는 그런 것. 아 젠장. 새벽에 이 글을 쓰고 있노라니 진짜 죽을맛이다. 밤은 자꾸 깊어가고 있으니까. 나는 이 공간에 홀로 있으니까. 아무리 열 손가락 활짝 펴봤자 손구락 하나 누가 잡아주질 않고 있으니까. 아니, 손구락 긴장 할 일도 없으니까. 하아- 

그러니까 사랑이란 그런 것. 밤을 나누는 것이 특별해지는 것, 걸음을 나누는 것이 특별해 지는 것.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특별해 지는 것.

   
  그 사람이 하던 말이 그렇게나 좋았단 말이요. 밤새 나를 껴안고 조근조근 하던 그 말들. 그 여고생을 못 잊어 낙엽 진 길을 몇 날 며칠을 걸었다는 그 말. 내 눈을 들여다보며 눈동자 색깔이 어떻고, 머리카락 만지며 채석강 노을빛이 어땠더라고 속닥이던 말. 술만 취하면 마누라를 패고 기억도 못 하는 사내가 있었는디 탁발 온 스님 말이 남편은 전생에 소였고 마누라는 주인이었다, 그때 맞은 매를 되갚으려고 그러니 홍두깨는 버리고 커다란 싸리빗자루를 만들어놓으면 싸릿대 하나씩 한 대로 쳐서 몇 번 만에 업보가 풀릴 것이다, 했다는데 우리는 서로 아끼고 사랑만 하니 전생에서도 애타게 좋아만 하다가 죽었을 것이다, 내 손을 만지며 하던 그런 말이 그렇게 좋았단 말이요. 그렇게 재미나고 정답던 말을 인자 누가 또 할란고.. (p.51)   
   

  

그때 그가 하던 말들이 무엇이든 상관없을 것이다. 밤새 나를 껴안고 조근조근 하던 그 말들은, 그러니까 이 얘기여도 좋고 저 얘기여도 좋았을 것이다. 그가 무슨 얘기를 하든 그게 무슨 상관이람. 나를 껴안고 조근조근 말하는데. 엄지 발톱 만한 바퀴벌레를 때려잡아 죽인 이야기여도 좋았을 것이고, 밤을 새며 일을 하느라 눈알이 빨개졌었다는 이야기여도 좋았을 것이다. 조근조근 들려주는 그의 말을 들으며 여자는 그에게 취해버렸을테지. 얘기하는 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다가, 얘기하는 그의 눈동자를 마냥 바라보다가 그냥 그렇게 그 밤들을 보내보렸겠지. 그 밤들이 그렇게 그녀에게 켜켜이 쌓였겠지.

 

   
 

둘 다 음악을 좋아했는데, 밤에 잘 때는 어떤것 안 듣고 주로 [아들을 낳기 위한 발라드], 이런 것만 들었소, 우리는. 

[아들린을 위한 발라드]라는 피아노곡을 떠올린 나는 헤헤 웃었고 그는 깔깔댔다. (p.51)

 
   

  

하하하하 아들을 낳기 위한 발라드. 그렇다면 딸을 낳기 위해서는 무엇을 들어야 할까? 하하하하  

 

헤어진 사람, 헤어진 사랑. 그러나 그 사랑을 성공한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나는 우리 사랑이 성공한 사랑이라고 생각하고 있소. 헤어졌지마는 실패한 것이 아니다 이 말이요. 연애를 해봉께, 같이 사는 것이나 헤어지는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닙디다. 마음이 폭폭하다가도 그 사람을 생각하믄 너그러워지고 괜히 웃음이 싱끗싱끗 기어나온단 말이요. 곁에 있다면 서로 보듬고 이야기하고 그런 재미도 있겄지만 떠오르기만 해도 괜히 웃음이 나오지는 않지 않겄서라우. 아, 곁에 있는디 뭐 하러 생각하고 보고 싶고 하겄소. 그러니 결혼해서 해로한 것만큼이나 우리 사랑도 성공한 것 아니겄소. (p.61) 

 
   

떠올리면 괜히 웃음이 나는 것, 아아, 그걸 대체 어쩌면 좋아. 생각하다 보면 괜히 히죽히죽 웃게 되고, 혼자서 걷다가도 실실 쪼개고 있고. 만약 그를 떠올리며 걷고 있는 나를 다른 사람들이 봤다면 손가락질 했겠지. 정신이 살짝 나간 여자사람인가, 하고.  히죽히죽 실실 히죽히죽 실실. 그것은 사랑의 주문 같은 것. 싱끗싱끗 기어나오는 웃음은 사랑의 증거같은 것. 

만약 내가 그에게 "당신을 떠올리면 싱끗싱끗 웃음이 기어나와요." 라고 한다든가, "당신을 떠올리면 자꾸 실실 쪼개게 되요."라고 한다든가, "당신을 떠올리면 자꾸 히죽히죽 거려요." 라고 한다면, 그는 그것이 무슨 뜻인지 되묻지 않아 줬으면 좋겠다. 그것을 그것 자체로 사랑한다는 고백임을 받아들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실, 그렇게 말했는데, 그게 사랑이 아니고 대체 뭐겠어?  

밤눈은 짧고 여름밤은 길다. 밤눈은 따뜻했고 이 여름, 이 새벽에 부는 바람은 시원하다. 밤눈은 여름에 읽어도 좋고 겨울에 읽어도 좋을 소설, 밤눈은 낮에 읽어도 밤에 읽어도 좋을 소설. 

쓰고 나니 가슴이 두근두근, 자꾸만 밤이 깊어가고 있다. 도무지 이 밤을 잡을 수가 없다.


댓글(3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웽스북스 2010-07-11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나 뿌듯. 밤눈은 정말 다락방님이 좋아할 줄 알았어요
누구는 성석제랑 비교하기도 한다는데, 나는 성석제랑은 비교할 수도 없다고 생각해요- (내가 성석제를 안좋아해서? ㅎ)

다락방 2010-07-11 18:58   좋아요 0 | URL
밤눈도 좋고 바로 뒤에 있는 단편 [올라인네코]도 좋았어요! 올라인네코도 엄청 재미있어요! 이 작가의 이 단편들을 읽는데 정말로 사는 이야기를 듣는 것 처럼 내내 좋았어요. 다 읽었어요. 정말 좋은 소설집이었어요! 충분히 뿌듯해하셔도 되요! 전 이 책 여기저기 선물도 할 예정입니다!

니나 2010-07-11 20:08   좋아요 0 | URL
제가 밑줄 긋기 한거 보신거예요!!! 발 담그기 ㅋㅋㅋㅋㅋ 물론 웬디가 저에게 추천해주고 무려 빌려준 책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락방 2010-07-11 20:35   좋아요 0 | URL
이 책을 언제읽을까 정해놓지 않았었는데, 니나님의 밤눈 밑줄긋기보고 완전 삘받아서 읽은거에요! 양쪽 발 다 담그셔도 되요, 니나님!
올라인 네코 완전 좋죠? 저 그것도 좋아서 정말 기절할 뻔 했어요!! >.<

stillyours 2010-07-11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난 지난 겨울에 읽었어요. <밤눈>을 읽으면서 몇 번이고 울컥했답니다.
내가 접은 페이지와 다락방님의 페이지가 겹쳐요.
겨울이 따뜻할 수 있구나, 싶게 만들었던 소설.
겨울이 오면 또 읽어야지 했는데- 여름에 봐도 폭폭한 구절들이군요!

다락방 2010-07-11 18:59   좋아요 0 | URL
맞아요. 이 소설은 겨울에 읽어도 참 스산하면서 따뜻하기도 한 그런 묘하게 매력있는 소설이었을 거에요. 그런데 여름에 읽어도 아주 좋더라구요. 밤눈이라는 제목만으로는 겨울밖에 생각나질 않지만, 아, 여름밤에도 이 소설은 정말 딱이란 말입니다!

정말 마음에 드는 소설이었어요. 한창훈의 소설을 조금 더 찾아 읽어보고 싶다는 마음까지 생겨버렸다니까요.

비로그인 2010-07-11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혼도 안한 처녀가 이런 거 읽고 감동에 젖는다........

잉~~ㅠㅠ

다락방 2010-07-11 18:59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 그러게요. 결혼도 안한 처녀가 나이 든 여자의 추억 같은거에 괜시리 가슴 찡해지고 말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소설의 힘인거지요.
:)

비로그인 2010-07-11 15: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조건 보관함으로 고고, 월급 들어오는 월말엔 바로 장바구니로 고고, 땡스투는 물론 다락방님께!
다락방님께서 소개해 주신 저 몇 구절만으로도 콧잔등이 괜히 시큰해지네요. 근데 입가는 또 씽긋 웃고 있어요 ㅎㅎ

다락방 2010-07-11 19:01   좋아요 0 | URL
좋아하실 거에요, girlever님.
정말 좋아하실 거에요. [밤눈]과 [올라인네코]는 정말 재미있어요. 아주 맛있게 읽혀요. 입에 척척 달라붙는다는 표현은 바로 이런 때 쓰는 것 같아요. 단편들이 모두 좋아요. 바다를 배경으로 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주 정겹게 읽힙니다.
읽으시면 분명 좋아하실 거에요!

moonnight 2010-07-11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앗. 저도 읽어볼래요. 다락방님이 느꼈던 두근두근. 그거 저도 느껴보고 싶어요오오오오...........(절규;;;)

다락방 2010-07-11 19:02   좋아요 0 | URL
문나잇님. 정말 좋은 소설이에요! 저는 국내에 좋아하는 작가가 별로 없는데, 한창훈의 글을 좀 더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그가 전해주는 이야기들은 살아있고 따뜻하고 또한 스산하면서 외롭기도 하고 콧잔등이 시큰해지기도 하고 구수하기도 해요. 문나잇님, 여름밤, 잠이 오질 않는 밤에 읽어보세요.

니나 2010-07-11 2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밤눈이랑 올라인 네코 너무 좋았어요
올라인 네코는 다 옮겨적어야 될 거 같아서 밑줄긋기에는 그저 마지막 부분만 ㅎㅎ

다락방 2010-07-11 20:35   좋아요 0 | URL
용철이 무척 마음에 들어요, 무척.
역시 남자는 저돌적이어야 해요! ㅎㅎ

레와 2010-07-12 0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미경 만큼 좋아요?? ㅋㅋ

좋은 책 추천, 고마와요 다락방~^^

다락방 2010-07-12 09:27   좋아요 0 | URL
이 책 정말 좋아요, 레와님. 특히 [올라인 네코]는 읽으면 반하게 될걸요, 레와님? 용철이 멋져요. ㅋㅋㅋㅋㅋ 정미경과는 아주 달라요, 정말 달라요. 그런데 진짜 좋아요. 이 책은 별 다섯이에요. 나 정미경의 책은 별 넷 줬음 ㅋㅋ

무해한모리군 2010-07-12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는 이 공간에 이리 오래 함께 있었으니 얼마나 정이 들었겠어요 ㅎ
정다운 우리.
봄날의 곰같이 사랑스런 다락방님.

다락방 2010-07-12 09:57   좋아요 0 | URL
저는 봄날의 돼지같단 말입니다! ㅎㅎ

보석 2010-07-12 09: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열 손구락 중에 한 개는 제가 잡아드리겠습니다..ㅋ
발췌한 부분 읽고 있으니 어쩐지 근질근질해지네요.

다락방 2010-07-12 10:01   좋아요 0 | URL
아! 제 손구락을 잡아준다 하시니 넓적다리가 떨립니다. ㅎㅎ

춘희 2010-07-12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너무 좋군요. 한창훈과 성석제는 정말 다르죠. 한창훈은 더 무게가 깊어요. 정말 좋아요. 저런 문장을 쓸려면 뭘 먹어여 할가요.

다락방 2010-07-12 15:32   좋아요 0 | URL
저는 성석제의 글을 좋다고 생각한적이 별로 없었는데(저한테는 뭔가 와닿지를 않더군요. 제 친구들은 많이들 좋아하던데요. 심지어 제 여동생도.) 한창훈의 글은 달랐어요. 이 단편 [봄눈]을 읽고 완전 인상깊어서 페이퍼를 썼는데, 바로 뒤의 단편 [올 라인 네코]도 최고였어요, 최고.

읽어보세요, 춘희님. 후회하지 않으실거에요.

2010-07-12 15: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다락방 2010-07-12 15:33   좋아요 0 | URL
네, 읽으세요, 읽으세요.
[봄눈]뒤의 [올라인네코]까지 다 읽으시고 우리 함께 서로의 넓적다리를 긁어주도록 해요. ㅎㅎ

귓가에서 조근조근 들려오는 말들, 이라는 표현 자체가 어쩐지 사랑을 부르지 않습니까?

자하(紫霞) 2010-07-12 1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원래는 성석제의 글 좋아했는데 이번 책은 좀 별로...
다락방님 글 읽으니 연애 시작할 때의 그 두근거림 있잖아요 그게 생각나네요.

다락방 2010-07-13 08:29   좋아요 0 | URL
사실 [봄눈]자체는 좀 쓸쓸한 글인데 그 쓸쓸함을 말하기 까지 저런 설레이는 과정을 잘 표현해놨더라구요. 그 설레임은 [봄눈]뒤의 단편[올라인 네코] 에서 만나보실 수 있을거에요. 안심이 되고 따뜻해지는 단편이죠. 헤헷 :)

새초롬너구리 2010-07-13 2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라리 두근두근해서 잠못잤으면 좋겠어요. 좀전에 모기물렸더니 으악, 살의를 느껴요 ㅡ.ㅡ*

다락방 2010-07-14 09:07   좋아요 0 | URL
저는 어제 맥주집에서 종아리에 모기 물렸어요. 아, 정말 신경질나요! ㅠㅠ

헤스티아 2010-08-26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저 이 책 읽고 있는 중이예요. 글쎄.. 빨리 읽지 않고 아껴서 읽고 싶은 책인것 같아요. 전 원래 책 천천히 읽는 편이 아니고 몰아서 ~~ 읽거든요. 안읽는 날은 10페이지도 안읽으면서 오늘 읽어야겠다 싶으면 2권도 좋고 3권도 좋고.. 앉은자리에서 책만 읽는 편인데.. 이책은 그렇지가 않네요.
밤눈을 읽고 나서 일단 책을 덮게 되더라구요. 그냥.. 새로운 이야기를 읽지 않고 밤눈 이야기를 생각하고 싶어졌어요. 그런데 그 다음 "올 라인 네코" 와 "바람이 전하는 말" 까지.. 너무 좋아요.
바람이 전하는 말을 보면서 라면과 회가 너무 땅기는 바람에 참느라.. 근데 왠지 오늘 저녁에 라면먹을것 같아요. ㅋㅋ
암튼 이제 단편 2개 남았는데 책이 끝나간다는게 아쉽네요. ^-^ 항상 다락방님의 추천은 뭔가 다른것 같아요.
알라딘 MD로 일하셔야 하는데 ㅋㅋ 그럼 이만 ^^

다락방 2010-08-27 11:44   좋아요 0 | URL
라면 드셨어요, 헤스티아님?

와, 헤스티아님. 처음에 오셔서 제게 댓글 남겨주셨을 때도 고마웠는데, 이번 댓글도 역시 엄청 감동이에요. 제 추천이 뭔가 다르다니, 알라딘 MD로 일해야 한다니, 와- 고마워요 ㅠㅠ 감동감동 ㅠㅠ 알라딘이 이런 저를 MD 로 좀 데려가 줬으면 좋겠네요. 그런데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헤스티아님 뿐인가 봐요. 흑흑.

이 책 정말 좋죠, 정말?
이 책은 한글을 읽을 줄 아는 누구나가 읽어도 다 좋다고 할 만한 그런 책인것 같아요. 정말 좋아요. 헤스티아님도 아껴읽고 싶으셨다니 좋습니다!!

헤스티아 2010-08-26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쓰고 다른 댓글을 쭉 읽어보는데 역시.. 다락방님도 올라인네코를 좋아하셨군요. ㅎㅎ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다는 생각에 외롭지가 않네요 ^-^

다락방 2010-08-27 11:44   좋아요 0 | URL
밤눈 읽고 완전 쑝 가가지고 페이퍼 썼는데 올라인네코도 대박이더라구요! ㅎㅎ

나랑 같은 책을 읽고 같은 감정을 느낀다는 건 꽤 소중한 경험인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