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배웠다(I've Learned)
오마르 워싱턴(Omer Washington)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나를 사랑하게 만들 수 없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사랑 받을 만한 사람이 되는 것 뿐이다.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의 선택이다.
내가 아무리 마음을 쏟아 다른 사람을 돌보아도
그들은 때로 보답도 반응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신뢰를 쌓는 데는 여러 해가 걸려도,
무너지는 것은 순식간이라는 것을 배웠다.
I've learned that you cannot make someone love you.
All you can do is be someone who can be loved.
The rest is up to them.
I've learned that no matter how much I care,
some people just don't care back.
I've learned that it takes years to build up trust
and only seconds to destroy it.

인생은 무엇을 손에 쥐고 있는가에 달린 것이 아니라,
믿을 만한 사람이 누구인가에 달려있음을 나는 배웠다.
우리의 매력이라는 것은 15분을 넘지 못하고,
그 다음은 무엇을 알고 있느냐가 문제임도 나는 배웠다.
다른 사람의 최대치에 나 자신을 비교하기보다는
내 자신의 최대치에 나를 비교해야 한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I've learned that it's not what you have in your life,
but who you have in your life that counts.
I've learned that you can get by on charm for about fifteen minutes,
after that, you'd better know something.
I've learned that you shouldn't compare yourself
to the best others can do, but to the best you can do.

그리고 또 나는 배웠다.
인생은 무슨 사건이 일어났는가에 달린 것이 아니라,
일어난 사건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무엇을 아무리 얇게 베어낸다 해도 거기에는 언제나
양면이 있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나는 배웠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사랑의 말을 남겨 놓아야 한다는 것을.
어느 순간이 우리의 마지막의 만남이 될 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I've learned that it's not what happens to people,
it's what they do about it.
I've learned that no matter how thin you slice it, there are always two sides.
I've learned that you should always leave loved ones with loving words.
It may be the last time you'll see them.
I've learned that you can keep going long after you think you can't.

해야 할 일을 하면서도 그 결과에 대해서는
마음을 비우는 자들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영웅임을 나는 배웠다.
사랑을 가슴 속에 넘치게 담고 있으면서도
이를 나타낼 줄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음을 나는 배웠다.
I've learned that heroes are the people who do what has to be done
when it needs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consequences.
I've learned that there are people, who love you dearly,
but just don't know how to show it.

나에게도 분노할 권리는 있으나
타인에 대해 몰인정하고 잔인하게 대할 권리는 없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우리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진정한 우정은 끊임없이 두터워진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그리고 사랑도 이와 같다는 것을.
내가 바라는 방식대로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해서
나의 모든 것을 다해 당신을 사랑하지 않아도 좋다는 것이 아님을 나는 배웠다.
또 나는 배웠다.
아무리 좋은 친구라고 해도 때때로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하고,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들을 용서해야 한다는 것을.
I've learned that sometimes when I'm angry I have the right to be angry
but that doesn't give me the right to be cruel.
I've learned that true friendship continues to grow even
over the longest distance same goes for true love.
I've learned that no matter how good a friend is,
they're going to hurt you every once in a while and
you must forgive them for that.

그리고 타인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고
내가 내 자신을 때로 용서해야 한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아무리 내 마음이 아프다고 하더라도
이 세상은 내 슬픔 때문에 운행을 중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우리 둘이 서로 다툰다고 해서 서로가 사랑하지 않는 게 아님을.
그리고 우리 둘이 서로 다투지 않는다고 해서
서로 사랑하는 게 아니라는 것도 나는 배웠다.
I've learned that it isn't always enough to be forgive by others,
sometimes you have to learn to forgive yourself.
I've learned that no matter how bad your heart is broken,
the world doesn't stop for your grief.
I've learned that just because two people argue,
it doesn't mean they don't love each other and just
because they don't argue, it doesn't mean they do

환경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더라도
내가 어떤 사람이 되는가 하는 것은 오로지 나 자신의 책임인 것을 나는 배웠다.
밖으로 드러나는 행위보다 인간 자신이 먼저임을 나는 배웠다.
두 사람이 한가지 사물을 바라보면서도
보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도 나는 배웠다.
그리고 또 나는 배웠다.
앞과 뒤를 계산하지 않고 자신에게 정직한 사람이
결국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서 앞선다는 것을.
I've learned that sometimes you have to put the individual
ahead of their actions. I've learned that two people can look
at the exact same thing and see something totally different.
I've learned that no matter the consequences, those
who are honest with themselves get farther in life.

내가 알지도 보지도 못한 사람에 의하여
내 인생의 진로가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이제는 더 이상 친구를 도울 힘이 내게 없다고 생각할 때에도
친구가 내게 울면서 매달릴 때에는
여전히 그를 도울 힘이 나에게 남아 있음을 나는 배웠다.
I've learned that your life can be changed in a matter of hours
when a friend cries out to you, you will find the strength to help.

글을 쓰는 일이 대화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 마음의 아픔을 덜어준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나는 배웠다.
내가 너무나 아끼는 사람들이 너무나 빨리 이 세상을 떠난다는 것을
그리고 정말 나는 배웠다.
타인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과
나의 믿는 바를 위해 내 입장을 분명히 한다는 것,
이 두 가지 일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나는 배웠다.
사랑하는 것과 사랑을 받는 것을.
I've learned that writing, As well as talking, can ease emotional pains.
I've learned that the people you care most about in life are taken from
you too soon.
I've learned that it's hard to determine where to draw the line between
being nice and not hurting people's feelings and standing up for what you believe.
I've learned to love and be loved. I've learn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요새 부쩍 경제서적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예전 같았으면 쳐다보지도 않고 읽어보려 시도조차 하지 않았을 법한 책이 바로 이런 책인데 말이다. 무엇보다 나 스스로에게 유익한,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20대들을 칭하는 [88만원 세대]란 씁쓸한 이름에 반영된, 한국경제의 불안한 현실과 사태의 심각성을 깨우쳐주는 논리와 분석, 뒷받침하는 설명들이 탄탄한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대한민국을 관찰해보니 결과는 한마디로 참담했다. 이 정도일 줄이야. 진심으로 절망적인 상태로 간신히 살아 있는, 아니 이대로라면 죽는 건 시간문제인 대한민국의 경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좋을지에 대한 저자의 고민과 염려 및 대안들을 살펴보면서 점점 심란해지는 마음을 감출 순 없었다. 현실의 원인을 20대 개인의 탓으로 돌린다는 건 매우 부당하다. 본질적인 문제는 경제구조에 있는 것이니까. 일자리가 없어서 끊임없이 실업자가 양산되고, 비정규직이 일반화되는 구조 속에서 개인의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건 별로 없다. 약자는 힘이 없으니까 말이다.  

승자독식 게임만 남고 패자부활전은 사라진 한국사회가 떠안은 사안들이 앞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귀결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힘에 겨웠지만 그래도 위기를 극복해서 지금보다는 나은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 아니면 지금보다 더 참혹한 미래만이 기다리는, 망하는 길을 선택하게 될지는 확신하지 못할 테니까 말이다. 작더라도 단단한 국민경제를 이룰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세대 간 경쟁이란 불균형을 어떻게 균형으로 바로잡을 수 있을까. 판단은 정확했고 외국 성공사례를 들어가며 제시한 방법대로만 바뀐다면 별 걱정이 없을 것 같다. 

노력한 만큼은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바란다. 돈이든 기회든지 간에,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라는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두가 된다면 어쩌면 문제는 간단하게 풀릴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현실적인 가능성을 운운하기에 앞서 현실은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먼저일 테다. 속내를 들여다보는 시도가 중요한 것이다. 절망 속에서 희망을 발견한다고 하지만 솔직히 그다지 희망적이진 못했다. 다분히 절망적이었다. 하지만 상황이 비관적일 때는 비관적인 시선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 젊은이들이 어렵지 않게 취업하고, 자기 앞가림을 할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의 재정비가 긴급하다.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지 몰라서 난감할 때가 종종 생기지만 고민하고 고민하다 보면 언젠가 적합한 방법을 찾게 되기도 하니까. 나는 그때를 소망한다. 경제란 큰 틀의 면면을 알게 되었고, 나름 꽤나 심각하게 읽은 수준 있는 독서에 속한다. 체계적인 방법대로, 변화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상황은 지금보다는 분명 나아질 거라고 믿고 싶다. 가치를 잃고 전락해가는 현실이 두렵지만 명확한 주제의식을 담긴 책으로 인해 비로소 현실을 보았기에 막연한 두려움은 쫓을 수 있었다. 지금 당장의 선택과 그 선택의 결과가 중요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트 피플 - Smart Peopl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나의 취향과 부합하는 영화를 만나게 되었을 때의 감동이란 항상 반갑고 기분이 좋아지는 느낌을 선사해준다. 내겐 [스마트 피플]이 바로 그런 영화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매끄럽게 잘 만든 영화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비교적 작은 규모의 영화로 가족과 사랑이 등장하는, 일상적인 모습들이 잘 표현된 영화를 선호하는 나로서는 이런 류의 영화들에게 항상 편파적일 수 밖에. 

우선 각각의 캐릭터를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영화의 이야기 자체보다는 캐릭터들이 극을 끌어가는 형국이니까. 진짜 스마트하지만 부족한 사람인 웨더홀드 교수가 정말 오랜만에 다시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맺는 과정과 함께 늘상 끊임없이 티격태격 부닥치게 되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여러 관계들에 조금씩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일상적으로 그려서 보여주는 영화다. 정말 내용은 별거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내겐 전혀 그렇지 않았다. 은근한 매력이 있는 유쾌한 영화다. 아기자기한 상황과 대사가 주는 유머가 웃음을 자아낸다. 또 배우들 연기의 조합도 좋았다. 

<주노>이후로 엘런 페이지의 연기를 다시 볼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앞으로 더 좋은 배우로 성장할 싹이 보이는 배우니까 말이다. <사이드 웨이>를 보진 못했지만 간간이 이 영화와 우연치 않게 엮이게 된다. 입양된 동생 '척'의 역할을 한 배우도 <사이드 웨이>에 나온 배우라고 하니 더 관심이 생겼다. 부녀가 똑 닮아서 하는 짓도 똑같다. 두 이야기의 축이 나란히 돌아가고 있다. 

아무리 똑똑하고 잘난 사람이더라도 인간관계 혹은 가족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을 피할 수는 없다. 과연 문제 없이 사는 사람, 결점 없는 사람이 있을까? 있다 해도 극소수일 뿐이다. 능력이 없거나 소질이 부족해서 매번 어렵게 생각되는 취약한 부분은 모두가 가지고 있다. 가장 약한 부분은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는 법이다. 사랑도 공부하듯이 알아가면서 차차 배우며 익히는 과정에서 얻게되는 것인가 보다. 잘 못하더라도 말이다. 박장대소까지는 아니더라도 싱긋 미소짓게 만드는 유머와 사랑스러움이 담겨 있다. 누구나 살면서 자연스레 하게 되는 그런 갈등과 고민들을 따뜻한 정서와 겸비한 채 소통을 다룬 웰메이드 드라마를 채우고 있다.  

비범할 데 없이 평범하지만 동시에 개성있는 면이 분명히 존재한다. 어쩌면 다른 장르보다 이런 드라마를 잘 만들기가 오히려 더 어려울지 모른다. 결과적으로 비슷비슷한 닮은 영화들이 많은 탓에, 뻔해 보여서 어필하기가 더 쉽지 않을 테니까. 보고 있으면 행복해지는 영화다. 결말이 보여도 행복해지는 데는 무리가 없다. 잔잔한 가족영화 좋아하시는 분들은 이 영화 좋게 보실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티드 - Wanted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작년부터였지 싶다. 제임스 맥어보이에 대한 여심이 본격적으로 고양된 시기가 말이다. 물론 나도 그 중에 한 사람인 이유로 해서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예고편을 보면서 가장 놀라웠던 장면은 아무래도 총알이 휘어진다는 발상에 있었다. 다른 영화에서는 본 적도 없었고 생각해본 적도 없었던 면이었더지라 신기했다. 간단하지만 기발한 발상이 차이를 만든다. 

이 영화는 직딩들을 위한 액션영화였던가? 아무튼 몇몇 화려한 액션장면은 볼만하다. 하루하루 연명하기 위해 직장에 나가 비루한 생활을 해야만 하는 생활인들. 지금껏 유약했던 웨슬리는 폭스와의 만남으로 자신도 몰랐던 내재된 킬러 본능에 눈뜨게 된다. 제임스 맥어보이 '붐'이 일었던 당시에 봤다면 더 재미나게 봤었을까. 영화에 대해 너무 많은 걸 알고봐서 그런지 새로움보다는 확인 차원에서 본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 역시 영화는 아무것도 모르고 봐야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영화평론가였나? 기자였나?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영화들을 '순 뻥쟁이 시네마'라고 한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물리학적으로는 현실 불가능하지만 영화는 때론 그 불가능을 실현하는 장이니까 말이다. 안젤리나 졸리의 등장이 영화 자체에서는 득이였던 것 같다. 워낙 남다른 포스를 자랑하시니까 말이다. 안젤리나 졸리는 어떤 역할로 나오더라도 기가 세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 것 같다. 제임스 맥어보이도 뭐 나름대로 다양한 준비와 노력을 쏟았겠지만 개인적으로 멜로영화에서 샤방하게 미소짓고 연기하는 모습이 더 어울리고 좋다는 생각이다. 

내 삶을 통제하고 스스로 선택하는 삶을 살게 되는 날이 과연 언제가 될까.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을 탈피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게되는 날을 희망만 하고 결코 바꾸지는 못한 채 또 하루를 살아간다. 확 뒤집어엎을 일은 뒤집어엎고, 질질 끄는 일은 당장 딱 잘라버렸으면. 실망스러울 것도 없고 엄청 놀라울 것도 없는 평이한 수준의 액션영화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09-05-22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인공이 유명한사람이었나봐요, 전 이 영화 보면서 처음 봤는데 완전-_-; 빠졌었어요;;
ㅋㅋ 무지 훈훈하던데요 ♡.♡

전 이거 보면서 너무 신났어요; 직딩들을 위한 영화라니까요 ㅠㅠ

거친아이 2009-05-22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도 유명한데요. 앞으로 더 대성할 배우예요~잘생겨서 그런지 인상이 선하고 좋죠?^^
[페넬로피][어톤먼트]에도 나왔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원티드]쪽보다는 훨씬 더 좋았죠.
나중에 한번 보세요. 영화 괜찮거든요. 특히 [어톤먼트]는 더 좋아요.
 
아무도 모른다 - Nobody Know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우연히 머물게 된 블로그에서 알게 된 영화였다. 약간의 정보도 미리 얻었고 내심 기대도 가졌었지만 게으름으로 인해 찾아볼 기회는 없었다. 그러다 방송에서 해줘서 작년에 한번 그리고 며칠 전에 또 한번 다시보게 됐다. 두 번째로 봐서 그런지 작품에 대해서 더 깊은 인상을 받을 수 있었다. 맨 처음 영화를 보는 내내 이만한 깊이로 가슴이 먹먹해지는 영화일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것이 무엇일까. 슬픔에도 물론 여러 가지가 존재하겠지만 '버려진 아이들'이 아닐까 싶다. 그것도 세상 아무도 모르게 버려진 아이들 말이다. 자신의 행복과 삶을 찾아서 즉, 남자를 찾아 엄마는 아이들 곁을 떠났다. 장남 아키라에게 모든 것을 내맡긴 채로. 엄마의 사고방식과 행동에는 분명 문제가 있다. 행복해질 권리를 있다는 엄마의 말은 틀린 말은 아니지만 아이들을 낳은 엄마가 된 이상 절대적으로 양육이 필요한 아이들에 대한 책임지기를 회피하고, 무책임하게 제 자식들을 버리면서까지 찾아야하는 그 알량한 행복과 삶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엄마란 사람이 이해가 안 된다. 이 영화를 아이를 둔 부모가 본다면 더더욱 이해받지 못할 것이다.  

무책임과 무관심이 이렇게 마음 아픈 것인지를 비로소 간접적으로나마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아키라 역의 야기라 유야의 눈빛과 표정이 생각난다. 잊히지 않을 그 눈빛이. 야기라 유야는 정말 연기 같지 않은 자연스러운 훌륭한 연기를 보여준다. 네 아이들이 아무도 모르게 서로를 보듬어가며 생활하는 모습들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고 변하게 되면서 맞딱뜨리게 되는 변화들을 영화는 놓치지 않고 세심하게 표현하고 있다. 초반부에선 동생들을 챙기는 일에 대해서도 능숙하게 처음부터 제 일인 양 책임지는 맏이의 모습이 보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활고라는 점점 고통스러운 환경과 상황에 놓인 어린 소년은 많이 지쳤고, 홀로 감당하기에 버거운 현실은 회복 불가능한 상태 그 자체로 남겨져 있을 뿐이다.  

감정의 과장 혹은 과잉 없이 그저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게 전달되는 영화였다. 오지 않을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들. 생각해보면 엄마가 보고 싶다며 떼쓰거나 울지 않는 아이들이라서 더 슬펐던 것 같다. 울어도 소용이 없다는 걸 알아버린 눈물을 쏟지 않는 네 아이들. 슬픈데도 울지도 않고 담담하게 묵묵히 자기들끼리 생활하는 장면들이 생각이 난다. 슬프기만 한 영화도 아니고 작정하고 그렇게 만든 영화도 아니건만 그 슬픔이 워낙 짙게 내 마음에 닿아서 거듭 슬픔이란 단어를 떠올리게 되는 것 같다. 잔잔한 따뜻함과 뭉클한 감동이 있는, 잊을 수 없는 특별한 영화라고 생각한다. 빈번하게 벌어지는 일은 아니지만 엄연히 현실에서 일어나는 삶의 여러 슬픔 중 하나일 테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9-05-27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당선 축하드려요.
제목만 봤던 영화인데 별 다섯이네요.
다음 기회에 찾아볼 수 있으면 봐야겠어요.

거친아이 2009-05-27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레이야님,감사합니다.^^ 글도 잘쓰지 못했는데 리뷰 당선이라니요.
기분 좋으면서도 한편으론 당황스러워요.
이 영화의 장면장면이 잊히지가 않아요.
전 별 다섯을 줘도 아깝지 않았는데요.
영화는 너무 많은 기대를 하고 보면 실망하게 되잖아요.
기대하는 맘은 조금 줄이시고 나중에 시간 나실 때 꼭 한번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