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요새 부쩍 경제서적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예전 같았으면 쳐다보지도 않고 읽어보려 시도조차 하지 않았을 법한 책이 바로 이런 책인데 말이다. 무엇보다 나 스스로에게 유익한,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20대들을 칭하는 [88만원 세대]란 씁쓸한 이름에 반영된, 한국경제의 불안한 현실과 사태의 심각성을 깨우쳐주는 논리와 분석, 뒷받침하는 설명들이 탄탄한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대한민국을 관찰해보니 결과는 한마디로 참담했다. 이 정도일 줄이야. 진심으로 절망적인 상태로 간신히 살아 있는, 아니 이대로라면 죽는 건 시간문제인 대한민국의 경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좋을지에 대한 저자의 고민과 염려 및 대안들을 살펴보면서 점점 심란해지는 마음을 감출 순 없었다. 현실의 원인을 20대 개인의 탓으로 돌린다는 건 매우 부당하다. 본질적인 문제는 경제구조에 있는 것이니까. 일자리가 없어서 끊임없이 실업자가 양산되고, 비정규직이 일반화되는 구조 속에서 개인의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건 별로 없다. 약자는 힘이 없으니까 말이다.  

승자독식 게임만 남고 패자부활전은 사라진 한국사회가 떠안은 사안들이 앞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귀결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힘에 겨웠지만 그래도 위기를 극복해서 지금보다는 나은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 아니면 지금보다 더 참혹한 미래만이 기다리는, 망하는 길을 선택하게 될지는 확신하지 못할 테니까 말이다. 작더라도 단단한 국민경제를 이룰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세대 간 경쟁이란 불균형을 어떻게 균형으로 바로잡을 수 있을까. 판단은 정확했고 외국 성공사례를 들어가며 제시한 방법대로만 바뀐다면 별 걱정이 없을 것 같다. 

노력한 만큼은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바란다. 돈이든 기회든지 간에,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라는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두가 된다면 어쩌면 문제는 간단하게 풀릴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현실적인 가능성을 운운하기에 앞서 현실은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먼저일 테다. 속내를 들여다보는 시도가 중요한 것이다. 절망 속에서 희망을 발견한다고 하지만 솔직히 그다지 희망적이진 못했다. 다분히 절망적이었다. 하지만 상황이 비관적일 때는 비관적인 시선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 젊은이들이 어렵지 않게 취업하고, 자기 앞가림을 할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의 재정비가 긴급하다.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지 몰라서 난감할 때가 종종 생기지만 고민하고 고민하다 보면 언젠가 적합한 방법을 찾게 되기도 하니까. 나는 그때를 소망한다. 경제란 큰 틀의 면면을 알게 되었고, 나름 꽤나 심각하게 읽은 수준 있는 독서에 속한다. 체계적인 방법대로, 변화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상황은 지금보다는 분명 나아질 거라고 믿고 싶다. 가치를 잃고 전락해가는 현실이 두렵지만 명확한 주제의식을 담긴 책으로 인해 비로소 현실을 보았기에 막연한 두려움은 쫓을 수 있었다. 지금 당장의 선택과 그 선택의 결과가 중요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