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법문 -상 - 성철스님 법어집 1집 1권 성철스님 백일법문
성철 지음 / 장경각 / 199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 속의 갈증은 늘 무엇인가를 찾게 만든다. 내 스스로의 본성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눈이 밝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늘 어두운 마음은 여러 가지 생각들을 만들어내어서 본성을 가리고 그런 생각들이 나의 마음을 혼탁하게 하는 것이 느껴질 때에서야 비로소 나를 돌이킨다. 그래서 또 무지한 나는 책을 든다. 더 모르는 마음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불교에 대해 관심이 많아진 것은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길지 않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내 삶에 미친 영향을 아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내가 나의 본모습을 알지 못하고서는 아무것도 온전히 경험할 수 없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마음공부를 가리키는 모든 말들이 나에게 들어맞는 것도 아니다. 비록 짧은 시간의 공부를 거쳤지만 내가 이른 결론은 내 마음이 가리키는 대로 스스로 만들어가는 공부가 중요하다는 깨달음이었다.

  성철 스님의 백일법문은 불교의 역사에서 나타난 네 가지의 교학을 중도 사상의 관점에서 꿰어낸 것이다. 근본 불교, 원시 불교, 부파 불교, 선 불교의 내용을 부처님의 중지라 할 수 있는 '중도'의 관점으로 모아낸 것이다. 마음이 짓는 모든 생각들이 '있다'와 '없다'로 모아진다. 그 모든 것이 아니다. 양변의 생각을 떠난 뒤에라야 비로소 현묘한 지혜가 모습을 드러낸다. 하지만 그간에 단편적으로밖에 잘 몰랐던 중도의 개념에 대해서 성철스님의 마음의 경계로서 언어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명쾌한 설명으로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렇다하더라도 개념적인 이해가 중도에 대한 깨달음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음도 아니요 물건도 아니요 부처도 아니니 이것이 무엇인가? 하는 말처럼 양변을 떠났다고 해서 그거을 떠난 어떤 것이 또 실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증득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 책이 나에게 준 모든 것이 이 하나의 화두로 모아진다. 세상은 마음으로 그려진대로의 세상이다. 성철스님이 가진 마음으로 설한 교학이 어찌 학문에만 바탕을 두었겠는가? 스님의 마음이 지향한 바대로이지 않겠는가? 

  세상이 활활 타올라야 한다. 그 타오르는 세상 속에 모든 것이 재가 되고 남은 것이 없어야 비로소 열린다. 모든 것이 타오르고 없다는 그 마음마저 없어야 한다. 오직 이 뿐이다. 이것은 무엇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혜덕화 2005-09-29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일 법문, 사다 놓고는 아직 읽지 못하고 있습니다. 너무 어려운 느낌이 들어서....

달팽이 2005-09-29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능력에도 벗어난 책입니다...
그저 읽으면서 마음을 쫓을 뿐입니다.
마음이란 놈은 참 요상해서 우주와도 같은 프리즘을 갖고 있어서
맞추다보면 따라가는 면도 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