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침묵속에서의 자유
크리슈나무르티 / 문조사 / 1996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늘 끊이지 않는 생각 속에서 살아간다. 한 생각에 꼬리를 물고 또 다른 생각으로 넘어가면서 때로는 그 생각이 함박눈 내린 세상 산을 타고 내려오는 눈덩이처럼 불려져서 자신을 온통 에워싸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우리는 늘 끊이지 않는 생각으로 고통스러워 하고 쾌락을 추구하고 사랑을 한다고 생각하고 그런 생각들이 인류를 위대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한 번도 그런 생각의 고리를 끊어보지 않아서 생각이 끊긴 세상과 지금 세상과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고요한 침묵은 그러한 생각의 고리가 끊기는 것을 말한다. 단지 말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탈출하여 영원한 시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을 벗어나 영원한 곳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자아의 허울을 벗고 나의 의식이 온 우주로 확장됨을 의미한다. 생각을 헤아리는 것으로서 우리는 진리를 추구하지만 그 진리는 바로 헤아리려고 하는 그 생각이 멈출 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인류의 영적 스승 크리슈나무르티는 일반인들을 위한 명상록에서 평화와 자유는 우리 삶에서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그런 평화가 없는 곳에서는 아무것도 자랄 수 없고 자유가 없는 곳에서는 진정한 평화는 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런 평화와 자유가 고요한 침묵 속에서 사랑으로서 피어나고 있다고 그는 말한다.

  그는 인간의 욕구를 누리며 사는 속세의 삶도, 그 욕구를 억제하면서 그 저항과 부정에 자신의 삶의 에너지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피안의 삶도 모두 버리라고 충고한다. 따라서 마음에서 어떤 이상이나 깨달음에 대한 상을 만들어가는 것이나 인격을 절대화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 거부한다. 그리고 어떤 인격자나 영적지도자 절대자에 대한 의존 또한 거부한다. 하지만 이런 그의 의견은 "지도무난 유혐간택"의 증도가 사상과 어긋나지 않는다. 마음 속에서의 선과 악에 대한 어떤 기준을 버리게 되면 통연히 진리는 명백하게 드러나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어떤 절대적인 인격자나 신의 권위를 거부했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그를 신격화하고 영적인 지도자로 따른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그의 문제는 아니지 않는가? 사회적으로야 자신이 절대화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이 나름대로 있을 수도 있지만 언제까지나 그는 자신을 지도자의 권위로 무장하지 않았고, 그의 뜻을 따른 사람들의 마음의 문제일 뿐이지 않는가? 그들 또한 도매급으로 취급되어 그렇지 그 중 많은 사람들이 그의 뜻을 취하지 드러난 형체를 취하지 않는다면 그게 무슨 문제가 될 것인가?

  그의 글에서는 참된 진리를 향한 글을 일상생활의 잔잔한 이야기를 통해서 하고 있다. 그의 마음의 눈으로 읽어낸 세상에 대한 묘사가 자신의 말 뒤에 부연설명되어 있는데 가만히 읽어보다보면 그것이 깨달은 자의 마음으로 들여다본 세상이다. 자아가 사라진 자리에 보이는 세상에 대한 묘사는 나의 마음을 묘사에 머물게만 하지는 않았다. 그가 찾는 진리가 무엇인지 그의 마음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으로 나를 이끌었다.

  마지막 부분에 나와 있는 명상록 부분은 조용한 아침에 자신을 고요한 침묵으로 이끌고자 할 때 한 편 한 편 곰곰히 글을 따라가면서 마음을 맞추기엔 안성맞춤이다. 출근시간이 이른 내가 강변로를 따라 학교를 오며 보는 풀, 버들, 갈대, 강, 산을 보면서 학교에 도착해서 창문을 열고 풀벌레소리를 들으며 한결 차가워진 바람을 맞으며 읽기엔 참 좋은 구절들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둔이 2005-09-09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Do you know what time is? Not by the watch, not chronological time, but psychological time? It is the interval between idea and action. An idea is for self-protection obviously.

결국 시공이란 자아를 가두는 굴레라는 뜻이겠지요. 자아로부터의 자유는 시공의 초월이고 관념과 생각으로 부터의 해탈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 모든 것 크리슈나무르티의 깨달음에서 빌어온 이야기입니다.

글샘 2005-09-09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It is the interval between idea and action.
그렇네요. 시간이 그 짧은 간격의 적분임을 깨닫게 되네요. 두 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