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무슨 말이냐 하면 - 깨달음의 노래, 이현주 시집
이아무개 (이현주) 지음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말이 많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말이 많아지면 보통 우리는 그 말이 꼬리내리는 곳을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 속에 꼬여 있는 부분이 많을수록 말은 많아진다. 그래서 때로는 단순하고 직설적인 말이 좋을 때가 있다. 말이 단순히 자신을 묘사하는 것으로만 그 역할을 다하는 때가 있다. 화려한 치장도 필요없다. 없는 가식도 필요없다. 모든 수식을 벗어버린 그 속으로 들어갈 때 비로소 말이 정직해진다.

  시는 언어의 압축성을 통해 세상의 진실과 존재의 진실을 보여주고자 한다. 인간의 마음 속에 담겨진 삶과 자연의 모습은 그것을 담아내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서 각양각색이다. 이현주 목사님은 시를 산문쓰듯 한다. 별다른 기교없이 별다른 비유없이 일상의 담담하고 사실적인 글들을 적어내려간다. 하지만 그렇게 적어내려가는 것 역시 하나의 기교요 비유며 기법이다. 자신의 마음을 비워내면서 물을 물 그 자체로서 느끼려고 하는 마음이 포착해내는 세상에 대한 표현이이다.

  물 스스로와의 교감을 통해 드러나는 글들, 거기에서 우리는 삶을 허공을 바라보듯 한다. 존재의 빈탕을 바라보듯 한다. 인생을 살며 쌓여가는 경험이라는 선입견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해주는 마음의 창, 그는 그 창을 통해 생활을 보려 한다. 그 창을 통해 생활을 인생이라는 직물 위에 엮어 놓으려 한다. 모르는 마음 속에 우리는 늘 현재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물을 접해 자신의 마음을 살피는 태도가 우리를 보다 성숙하게 한다.

  이 목사님의 글을 읽은 것도 이젠 몇 해가 되어간다. 그의 글들이 처음 내게 남겼던 파장을 잊지는 못한다. 하지만 글들이 단순히 표현하는 바를 떠나 그 마음으로 들어가서 보아야 할 숙제는 독자들 각각의 몫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무개님의 익숙해지고 늘 대하는 표현방식에 무디어져 간다. 뭐랄까 그의 글에서 좀 더 확 가슴이 열리는 경험들을 찾고 있는 것일까? 표적을 향해 쏜 화살과도 같은 날카로운 명중을 바라는 것일까? 왠지 가랑비같이 젖어오는 촉촉함의 맛도 맛이지만 때로는 장대같이 쏟아지는 몸에 확실하게 느껴지는 시원함의 느낌도 그리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장대비만 맞으면 빨리 싫증이 날 것도 역시 안다. 그래서 완급의 모두가 필요한 것은 아닐까? 때로는 목사님에게서 화두와도 같은 긴박함과 날카로움 그리고 직설의 미학이 보고싶다고 생각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언뜻 언뜻 보이는 그의 시에서 가끔씩 갈증을 해소하듯 보는 그런 표현이 조금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종소리 "뎅"하는 그 한자만으로 가슴을 울려 오는 그런 직설, 어쩌면 이것도 지금 내 마음의 욕구를 나타내는 것은 아닐까? 그와는 별다른 부족함을 보는 것은 어쩌면 내가 내게서 보는 스스로의 부족함은 아닐런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5-06-13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권정생님과 이오덕, 이현주 ,전우익 이 클럽 멤버들 중에서 유일하게 이 분의 글을
읽지 못했어요. 간간이 잡지에 실린 글만 읽었을뿐 정식으로 만난게 없는데
이번에 님 리뷰로 보관함에 들어갑니다. 저처럼 말많은 여인네에게 필요한 책이군요.

달팽이 2005-06-13 2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소를 남겨주시면 남도의 끝 멀리서도 책 한 권 보내드릴까 하는데요...

2005-06-13 2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달팽이 2005-06-19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여우님에게 나의 흔적 하나를 남겼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