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의 선
오이겐 헤리겔 지음, 정창호 옮김 / 삼우반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은 "활쏘기의 선"이다. 즉 활과 선의 관계를 이 책은 쫓아가고 있다. 독일인 저자 오이겐 헤리겔이 일본에 와서 선을 배우기 위해 활쏘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겪는 체험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이 이야기가 그가 독일로 돌아가 유럽에 동양의 선을 소개하는 안내서로 역할하게 된다. 활쏘기의 선이 유럽사회에 끼친 충격은 오랫동안 유럽사회를 뒤흔들게 된다.





활쏘기의 기예를 배우는 것은 "기예없는 기예"를 배우는 것이다. 그것은 선에서 "깨달음없는 깨달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활쏘기의 기술을 연마하는 것과는 다르다. 따라서 분절된 동작과 연습 속에서 자신을 뛰어넘는 '그 무엇'을 발견할 수 없다면 그 분절된 행동과 연마는 단순히 반복에 지나지 않게 된다.





저자가 활쏘기를 배워가면서 바뀌는 마음의 변화가 이러한 것을 잘 설명해준다. "내적으로 또는 궁사 자신에게 올바른 발사는 마치 이제 새로운 인생이 시작된 듯이 느껴진다. 올바른 발사 이후에 궁사는 모든 올바른 행위와 더 중요하게는 모든 올바른 무위를 행할 마음의 준비가 되었다고 느낀다. 이러한 마음의 상태는 크나큰 즐거움을 준다."그 경험을 하지 않는다면 동양적 선을 배우려는 그가 이렇듯 5년이 넘게 활쏘기를 계속 배울수는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마음의 변화는 궁극의 자리, 즉 깨달음없는 깨달음까지 이어져야만 한다. 오직 갈 뿐이다. 그렇게 해서 활쏘기가 완성되는 지점에 달하면 "토끼의 뿔과 거북이의 머리카락으로 쏠 수 있는 사람, 즉 활과 화살없이 명중시킬 수 있는 사람"이 비로소 가장 진정한 의미에서의 명인이 되는 것이다.





스승 아와 겐조가 어둠속의 사선에서 두개의 화살을 정확히 과녁에 명중시킬 때 비로소 그는 이렇게 외친다. "이 두 개의 화살로 선생은 분명히 나도 명중시켰다. 밤새 마치 다른 사람이 된 듯 나는 더 이상 내 화살에 대해서, 그것이 어디로 가는지 걱정하려는 유혹에 빠지지 않았다." 하지만 선에서 진정한 선은 행동으로 드러나지 않는 마음의 자리에서 바로 알아차려야 한다. 결국 이러한 현실적 확인은 깨달은 자의 눈에는 필요없는 사족에 불과할 뿐이다.





이렇게 기예없는 기예는 선의 궁극적인 깨달음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 깨달음에서는 그것이 어느 기예로 나아가든지 대가를 이루게끔 되어 있다. 검도든, 유도든, 시든, 화든, 꽃꽃이든.....





어떤 기술이 예술이 되고, 또 그 예술이 종교적으로 승화되기 위해서 과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그것이 마음 속의 비밀의 문이 되고, 그 문을 통과해서 나온 세상엔 어느 것 하나 버릴 것이 없다. 어느 것이나, 어느 행동이나 선이 아닌 것이 없다. 삶의 어떤 영역이 한 단계 승화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 속에 참된 삶의 의미와 아름다움이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caru 2004-12-09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예없는 기예, 깨달음 없는 깨달음, 분절된 동작과 연습 속에서 자신을 뛰어넘는 '그 무엇'을 발견할 수 없다면 그 분절된 행동과 연마는 단순히 반복에 지나지 않게 된다는 것...

도라 말하면 도가 아닌 경지.... 정말 알다가도 모를 그 경지...어렵습니다~~



근데 님도...비알테그의 압박에 놓여 계시나 봅니다.... 저도 그런데요... 한 줄 떼어 줬을 뿐인데.... 대여섯 줄씩 떨어져보이는 저... 여백들...!!!


달팽이 2004-12-09 1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래서였군요...님이 후에 좀 가르쳐주세요...벗어나는 방법을...

남들의 글이면 그 여백 속에 또 다른 무엇인가를 찾아보겠습니다만....

나의 글이라 이미 글과 글 사이 행간의 여백을 충분히 알고 있어서....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