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기 - 팔레스타인 민중봉기의 현장에서 보내온 생생한 일상의 기록
레티시아 비카이으 지음, 정재곤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책 표지에 이스라엘 탱크를 향해 돌멩이를 던지는 팔레스타인 소년의 사진이 있다. 이 소년의 무모한 행동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앞날에 불운한 전망을 드러내고 있다. 프랑스 보르도 2대학의 정치학교수로 팔레스타인 문제 전문가인 레티시아 비카이으는  바쌈과 나지, 사미라는 이름을 가진 30대 전후의 팔레스타인 해방군의 삶을 밀착해서 취재하였고, 그들의 성장과정과 삶을 통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들의 원인과 문제점, 해결전망의 어려움들을  보다 가까이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인티파다(Intifada)'는 민중봉기를 뜻하는 아랍어다. 이 말은 팔레스타인 민중이 이스라엘의 학정에 맞서 자발적으로 대항했던 두 차례의 사건을 지칭한다. 첫 번째 봉기는 1987년 12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있는 자발리아 난민수용소에서 시작되어 전 지역으로 퍼졌으며, 두 번째 봉기는 2000년 9월 예루살렘에 있는 알 아크사 이슬람 사원에서 비롯되어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1987년 12월 9일 차할군(이스라엘군을 지칭함) 지프차 한 대가 이스라엘로 일 나가는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을 태운 차량과 추돌사고를 내었고, 이 사고로 자발리아에 거주하는 노동자 4명이 즉사했다. 이 소문이 순식간에 퍼져 몇 시간 후 가자지구 북쪽에 있는 자발리아 수용소에서는 폭동이 일어났고, 이스라엘군 관측소들이 수백 명의 팔레스타인 젊은이들에게 공격당했다. 폭동은 다른 수용소와 거류지, 가자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 전역으로 퍼져갔다. 이렇게 우발적으로 시작된 폭동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에 의해 봉기로 발전했고, 이후에는 산발적 폭력투쟁도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시민불복종의 형태를 띠고 이스라엘 상품 불매운동, 관공서나 경찰관의 사직 등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야세르 아라파트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정부 대표와 비밀협상을 가지게 되었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들어서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팔레스타인 내부에 도사리고 있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지도자들의 부르주아적 생활로 인해 민중들과의 계층간 계급간 격차와 소외감을 가져왔으며, 그들의 사유재산 추구와 부정부패로 인해 순수한 민족해방을 위한 열정을 가진 인티파다의 주역들은 그 혜택들로부터 소외되어버렸다. 나아가 이스라엘 군벌과 정치인들과의 야합으로 자치정부 지도부는 민중들로부터 괴리되어 갔으며, 이후에 벌어지는 사건들에서 현명하고 옳은 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되었다.  한편 팔레스타인 자치구의 경제는 이스라엘의 분리정책과 변화된 통제정책으로 이스라엘에 종속적인 경제구조를 만들어냈으며, 많은 수의 노동자들이 이스라엘 기업가가 운영하는 일터로 나가 그들의 생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상당부분이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를 이유로 자신의 삶을 지탱하는 현실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들의 과거의 공적을 인정받지 못하고 오히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로부터 감시받고 박해받게 되었으며, 앞으로의 전망에서 낙관적인 희망마저 잃은 해방군은 더욱 파괴적이고 폭력적으로 이스라엘의 통치에 대응하는 오류를 범했다. 그리고 그러한 행동은 이스라엘로 하여금 자치구를 유폐시키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대규모 공습과 무차별 공격을 낳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인티파다 알 아크사는 아라파트의 실추 속에 계속되는 지도자의 암살로, 나아가 청렴하고 유능한 지도자의 부재로 인한 해방투쟁의 방향성 상실로 더욱 분열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민족의 장래에 대한 불투명하고도 절망적인 상황은 젊은 해방군들로 하여금 과격하고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하였다. 그래서 결국엔 자살테러소동으로 인해 이스라엘의 군인과 민간인이 무차별 살상되고, 그 보복으로 더욱 많은 살상이 팔레스타인 주민을 대상으로 저질러지고 있는 것이다.

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나마 다행인 것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내에서 조심스레 무장투쟁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런 방법이 팔레스타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하였다는 점과,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무고한 국민의 희생속에 전쟁과 살인이 더 이상 우리에게 행복한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하는 목소리가 생겨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들의 목소리를 덮을 정도로 극단주의자들의 목소리 또한 높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역사는 피를 통해 평화에 이른다고 했던가? 팔레스타인 지역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60여년간의 대량학살과 전쟁은 이미 충분할만큼의 인류의 피를 뿌렸지 않았는가?

타자를 받아들이는 방법에 관심이 없었던 20세기가 남겼던 수많은 비극과 학살을 돌아보면서 21세기에 팔레스타인 지역에 따뜻한 평화가 깃들기를 간절하게 바래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4-10-19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예전에는 팔레스타인의 문제는 단순히 이스라엘과 연계된 문제인줄로만 알았어요. 그런데 내부 기득권자들의 잘못된 부정부패로 인하여 문제가 점점 더 확대 된다는 사실을 알고나서부터는 아라파트같은 지도자의 숭고한 리더십을 의심하게 되었죠. 항상 문제는 외부보다는 내부적인 요소가 더 강하다는 진리를 이럴때 써먹어야 한다는 일이 참 속상합니다. 리뷰 정말 잘 쓰셨습니다.^^

달팽이 2004-10-20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이젠 철지난 과일이 되어버렸지만 포도의 그 싱그러움으로 아침 시작할 수 있게 해주어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