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대담 시리즈 3
임지현.사카이 나오키 지음 / 휴머니스트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과거의 기억을 전유하기 위한 갈등과 투쟁의 결과 형성된다. 그 과거란 개인에게 있어 사건발생 후 어느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 기억되면서 새롭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 개인의 기억들이 뭉쳐진 집단적 기억인 역사도 마찬가지로 새롭게 형성되어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역사적 기억에 관한 것이다. 근대 이후 세계사의 큰 축을 형성해왔던 '제국주의'와 '민족주의'라고 하는 것이 사실은 그 이데올로기에 의해 집단적인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위와 이익을 누려왔던 사람들이 만들어낸 기만적인 환상이라는 것이다.

임지현 교수와 사카이 교수의 대담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사회과학 분야에서 흔치 않는 별 다섯개를 주었다.

첫째로는, 국민국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이다. 근대화의 과정과 민족주의가 형성되는 과정 그리고 제국주의로의 발전과 팽창에서 야기되는 식민주의의 문제, 선진자본주의와 후진 자본주의의 문제, 선진 자본주의 내, 후진 자본주의 내에서의 차별과 배제 억압의 논리가 이끌어 온 왜곡된 세계사에 대해 그것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창출되고 또 재배치되면서 그 이익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음을, 그리고 그 이익을 보다 영속화시키기 위해 대중집단을 국민국가의 형성을 통해 그 틀 속에 묶어두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사회주의에서도 러시아와 후발 사회주의 간의 지배 종속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과 일본의 구체적인 역사에서도 드러난다는 것을 밝혀내고 있다. 식민지 국가에서의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가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를 그대로 재현해내고 있다는 그들의 관점은 우리 나라의 일제 식민지와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근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역사 조명이 필요함을 말해준다.('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일본식 근대화를 이루는 것이 민족의 발전을 위하는 길이라고 생각한 이광수를 포함한 친일파나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대부분이 내셔널리즘적 국가주의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동소이하다는 생각이다.) 식민지 내에서의 제국주의의 내면화는 안토니오 그람시에 의하면 '헤게모니'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고찰해본다면 이전의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은 국민국가의 형성과정에서 드러난 약간 상이한 두 길일 뿐인 것이다.

나아가 정보화 혁명이후의 세계화 현상과 다국적 자본의 해외진출, 지역경제의 블럭화 현상을 포함하여 미국의 이라크 침공, 9.11테러 이후의 미국 사회의 보수주의화 물결 등 현실적 문제에 접근하는데 있어서도 이러한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민국가를 자명한 것으로 전제하고 그 틀안에서 사유와 실천을 가두어 놓았던 과거의 대안 추구방식을 비판하고 그것이 가진 한계를 드러내어 거기에서 새로운 역사를 시작해보자는 의도를 담아내었다.

둘째로는, 번역이라는 공동작업을 통해 외국어를 자국어로 바꾸어냄으로써 타인의 사고를 자기의 것으로 전유하는 방식을 배우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열린 대화를 통해 보다 성숙한 방법으로 타인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 대담에서도 결국엔 두 사람이 역사를 인식함에 보편적인 부분에 공감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공감의 접점을 통해 역사는 새롭게 인식되어지고 여기에서부터 역사적 실천을 위한 새로운 사유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그 새로운 사유가 바로 당면한 역사적 모순과 갈등을 해결하고 대화와 상생의 역사를 펼쳐가는 데 있어 출발점이 된다는 생각이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면 과거의 기억을 전유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각 각 다른 시각들의 접점에서부터 우리들은 열린 대화의 장을 만들어 나가야 하며 그 접점에서 집단적 기억은 타인의 피가 아니라 사랑과 용서에서 시작되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aia327 2004-11-25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간쯤까지 읽다가 책장에 영구보관되고 있는책인데....

살인자와 인터뷰인가 기억인가에서 사람들은 책을 거의 읽지 않는다고 하죠

아니면 읽어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더거나, 이해해도 금방 까먹어 버린다는데.

책 두께가 주는 중압감과 더불어 긴 내용의 책을 띄엄띄엄 읽다 보니 연계성이

없어 중간에 포기 했는데, 님의 글을 보니깐 다시 책을 잡아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달팽이 2004-11-25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완독하시고 글 남겨주세요...둘러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