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평전 미다스 휴먼북스 8
양구오롱 지음, 이영섭 옮김 / 미다스북스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동래 향교를 찾았다. 부산의 역사와 정체성을 아는 것은 동래의 역사를 무시하고서 이루어질 수 는 없는 것이었다. 그 중 동래의 중등 공교육기관이었던 향교에는 조선 500년의 역사가 숨쉬고 있고 그 500년의 역사를 바탕으로 이어온 부산이라는 공간은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때 정책적으로 육성되었던 왜관과 남포동을 중심으로 한 부산부라는 또 하나의 근 현대의 역사와는 동전의 양면을 이루고 있었다. 명륜당의 대문을 지나 바로 눈 앞에 들어오는 큰 현판이 '명륜당'이란 글씨다. 윤리를 밝히는 집이란 말의 이 글이 바로 맹자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맹자에 의해서 인간의 이성은 윤리적 성격을 띄게 되었고, 공자의 인 사상은 인, 의, 예, 지의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춘추시대를 살았던 공자, 자신의 사상을 펴기 위해 여러 국가를 돌아다녔지만 세상의 그 어느 곳도 자신의 이상을 제대로 펼 수 없었던 운명은 맹자에게도 숙명으로 이어졌던 것일까? 전국시대의 백가쟁명의 혼란시대에서 양주와 묵적의 관점을 신랄하게 비판하여 유가정신으로 시대의 혼란상을 통일시키려 했던 한 사상가이자 실천가인 맹자 역시 그 시대가 담을 수 없는 그릇이었던 것일까? 자신의 이익을 위해 움직였던 사회 속에서 군주에게 이익 대신 인의 이념으로 세상을 통치하라고 가르쳤던 그의 사상은 이미 이해관계 속에 시비와 인정도 사라져버린 세상에 대고 외치는 공허한 울림 뿐이었을까?  

   하지만 역사는 말한다. 시대의 혼란 속에서 순결한 이상을 품었던 한 사상가의 외침을 하늘과 땅은 잊지 않았다. 전국시대의 혼란 상이 지나고 대륙의 역사를 보다 길게 쓰기 위한 움츠림은 아니었을까? 진시황제의 분서갱유의 탄압 속에서도 그의 사상은 은거했던 이름없는 선비의 가슴 속에서 가슴으로 이어졌고, 한대에서도 정증, 조기, 고유, 유희, 정현 등의 학자들에게 면면히 이어졌으니 말이다. 조기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맹자는 분량이 7편, 261장, 34,685자이다. 맹자는 여기서 천지와 만물을 두루 포괄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인의, 도덕, 성명, 화복에 대해 밝히고 있다. 제왕이나 공후가 이 가르침을 쫓으면 천하를 안정시키고, 조정을 기릴 수 있게 된다. 경대부가 이 가르침을 따르면 임금과 아비를 존경하고 충신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지조를 엄하게 지키는 자가 이것을 따르면 절개를 높이고 소인배에 맞설 수 있게 된다. 책 속에는 국풍의 시들의 지은이가 사물에 의탁한 뜻, 대아, 소아의 바른 말들이 들어있는 데, 곧으면서도 오만하지 않고, 굽어 있지만 굽히지는 않고 있으니, 그를 두고 운명에 통달하고 위대한 업적을 남긴 큰 인재라고 일컬을 만하다." 주희 대에 와서는 주지하다시피 맹자는 공자와 더불어 유가사상의 성인으로 추앙되었으며 우리나라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실에 대고 맹자는 말한다. 과연 세상을 살면서 우리는 이해관계에 따라 살 것인가? 감정적인 지식에 따라 충실해 살 것인가? 아니면 이성의 원칙에 따라  살 것인가? 아니면 몸이 가진 구멍을 막고 이성작용이 멈춘 곳에서 참된 진리를 구할 것인가? 하고 말이다. 이 시대의 자신의 삶에 대한 관심으로 올바른 길을 걷고 싶은 사람이라면 맹자의 삶의 고민 역시 우리들의 고민이 된다. 그의 사상이나 관점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자 했고, 또 자신이 옳다 여기는 이상을 통해 혼란상의 시대를 구해보고자 했던 맹자의 마음씀을 배워보는 것은 어떤가? 자신의 욕망의 그늘에 파묻혀 주위와 세상을 둘러볼 여유조차 없이 사는 우리들에게 과연 그대는 어떤 인생의 의미로 목적으로 살고 있는가? 하고 맹자는 묻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1-08-09 0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맹자를 읽으며 '측은지심'에 공감했었지요.
달팽이님 평안하시지요. 하하





달팽이 2011-08-09 12:30   좋아요 0 | URL
더운 날씨, 안녕하신지요? 측은지심은 인의 정신이니...인생을 다 살아 그것을 알 수 있다면...의미있는 삶이라 할 수 있겠지요. 오랫만에 한사님을 뵈니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