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유로서의 질병 ㅣ 이후 오퍼스 9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가 만약 질병에 걸린다면 그 질병이 감기에 걸리는 것처럼 감기가 주는 육체적 이상상태 이외의 정신적, 은유적 짊을 드리우지 않는다면 우리가 어떤 질병에 걸리든 그것이 원래 가진 것 이상의 짊을 질 필요가 없을텐데....하지만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어떤 질병들은 질병 자체가 가진 고통보다도 훨씬 더 감당하기 힘든 고통과 짊을 드리웠다. 결핵과 암이 지금까지 그래왔고, 현재는 에이즈라고 불리우는 질병이 그러하다.
사회암적 존재라는 표현, 내부로 침입한 외부적 존재라는 관점, 적의 제거만이 지상과제가 되어 전쟁터인 우리 몸도 파괴되는 것을 보지 못하는 생각, 문학적 표현에서 드러난 각종 질병을 둘러싼 은유적 표현들과 질병을 둘러싼 은유는 특정 질병이 그 원인도 해명되지 못하고 치료법에 대한 사회적 대책이 없을 때 비로소 생겨나게 되지만 그것은 때로는 정치적 의도로, 군사적 목적으로, 인종적 차별의 모습으로, 계급구별로, 자문화중심주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우리들의 삶에 굴레를 씌워온다.
수잔 손택은 자신이 유방암과 자궁암을 겪으면서 그리고 자신의 친한 벗을 에이즈라는 병으로 잃는 과정에서 정작 자신이 가진 병보다는 그 병이 가진 은유적 짊에 의해서 더욱 고통받고 좌절받게 되는 현실세계의 왜곡과 변형을 목도해왔으며 이후로 존재나 현실 그 자체가 은유에 의해 해석에 의해 현대에는 더욱 이미지라는 수단을 통해 가해지는 허구적이고 환상적이며 부가적인 고통에 대해 거부하는 삶을 고집하였다. 나아가 자신의 삶에 주어진 질병을 직접 대면할 수 있게 되고 거기에서 인생의 교훈과 삶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 현실의 삶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삶의 은유에 의해 왜곡되고 변형된 허상들의 세계, 메트릭스의 세계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한 허상들에 의한 이미지를 떨쳐 내고 삶의 진정한 실존과 마주칠 수 있는 길은 나에게 있어 어떤 것일까? 물론 그 허상을 떠나 우리는 살 수 없다. "사람들은 물론 은유없이 사고할 수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자제하고 피하려 애써야 할 은유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물론, 모든 사고는 해석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해석에 반대한다는 것이 언제나 옳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그녀의 말에서처럼 그 속에 살면서도 그것에 휘둘리지 않는 삶, 응무소주 이생기심의 마음이 우리에겐 필요하다.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그녀가 가진 독특한 매력속에서 내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삶의 은유로부터 내가 해방되고 그래서 내 삶을 보다 온전하고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그 길을 나의 내면에서 찾아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