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 내가 원하는 대로 꾸기
스티븐 라버지 지음, 김재권 옮김 / 인디고블루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인간이 처하는 마음의 상태를 크게 분류하면 깨어있는 상태, 꿈꾸는 상태, 숙면의 상태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우리의 무의식과 현실의식이 서로 공존하며 우리 삶의 특별한 메세지를 전달해주는 공간인 꿈은 아주 특별하다. 꿈은 우리의 마음이 마음속에 창조해내는 이미지와 형상이지만 그것을 경험하는 우리에겐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똑같은 체험의 흔적을 우리 뇌속에 남긴다.
우리가 잠드는 과정은 죽음의 과정과 비슷하다고 한다. 먼저 우리의 몸의 감각들이 이완되어가고 마비되며 그 다음 의식도 점차 해체되어 간다. 그런 육감이 해체되고 나면 일반적으로 우리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의 존재를 지켜보는 무엇인가가 있다. 꿈이든 잠이든 죽음이든 현실이든 우리가 그 우리의 본래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면 윤회의 미혹에 시달리게 됨은 매한가지다.
이 책은 심리학적인 연구방법에 의해 우리가 가진 표면의식을 한 껍질 벗겨낸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우리가 깨어 있을 때 느끼고 생각하는 의식만이 이 세상인식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현실인식 너머의 세상과 그것을 아는 나의 본래의 존재성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그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는 책이다.
꿈은 우리의 현실인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창조적으로 생성되는 시뮬레이션이며 그것은 우리 삶의 문제점들을 상징과 은유로서 보여주기도 한다. 저자가 우선 강조하는 것은 '꿈 알아차리기'이다. 이것이 꿈임을 먼저 안다면 그 꿈에 능동적인 대응 뿐만 아니라 꿈의 조작 역시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실의 문제점이나 과제를 꿈에서 선험적으로 다루어볼 수 있고 그 똑같은 선험체험을 바탕으로 현실에서의 과제와 문제를 보다 잘 다룰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꿈을 통한 우리 마음과 몸의 치유 뿐만 아니라 더 깊은 자신과의 만남으로 향하는 문이 있음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다만 학문적 구성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보이지 않는 세상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하고 있지 못하지만 적어도 현실인식 아닌 다른 세상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존재성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것이 엄존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는 점에서 보여줄 것은 다 보여주고 있음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