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 간서치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들려주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풍경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진정한 책벌레였던 그, 『이덕무를 읽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동서양 지식인을 연구하게 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저자는 그 연구 이후로 자칭 '이덕무 마니아'가 되었다고 한다.

이덕무는 자신이 글을 쓰는 근간에 어린아이의 천진함과 처녀의 순수함이 자리하고 있어서 '진정' 그대로임을 말한다.
천진함과 순수함은 가식이나 인위가 아닌 진정성을 공통분모로 삼는다. 다시 말해 이덕무에게 창작의 원동력은 다름 아닌 진정성이다. 
글쓰기를 좋아한 이덕무는 틀에 얽매여있지 않았으며 순수하고 천진난만했다고 한다. 또한, 그는 호기심이 많아 두루두루 다양한 방면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책에 나온 그의 작품들을 보면 글쓰기를 참 좋아했다는 것이 문장 속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18세기 지식인들 사이에서 '벽'에 대한 예찬과 '치'에 대한 애호가 한창 터져나오기 시작한다.
당시 이덕무의 벗이자 학문적 사상동지인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등 그들 또한 각각의 벽이 있었다.
예를 들면 화가 김덕형은 종일내내 꽃만 바라보는 벽이 있었고 이덕무의 벗인 서상수도 골동품, 서화를 수집하여 감상하는 벽이 있었다.
그럼 이덕무의 벽은 무엇이었을까? 예상했듯이 책과 관련된 벽이 있었다. 바로 책을 베껴 쓰는 벽(癖於抄寫)이였다.
책을 살 형편이 되지못해 이덕무는 직접 책을 베껴 써서 수집했던 것이다. 이덕무는 책에 미친 진정한 책벌레이자 애서가였다.

책 속 이덕무의 작품을 들여다보면서 그가 추구했던 글쓰기 철학, 더 나아가 당시의 인문 철학까지도 엿볼 수 있었는데 꽤 흥미로웠던 것은 그의 벽이였다.
벽어초사, 얼마나 책이 좋았으면 책을 다 베껴 써서 소장하고 있었을까?
물론 형편이 좋지못해 돈 주고 사서 소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지만, 책 한 권을 베껴쓴다는 것은 진정으로 책을 좋아해야만 할 수 있는 행동이다.
이덕무, 그는 정말 책으로 완성된 사람이 아닐까싶다. 정말 많이 읽었고 정말 많이 탐구하며 파고들었다.
그는 진정한 책벌레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