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마지막 그림 - 화가들이 남긴 최후의 걸작으로 읽는 명화 인문학
나카노 교코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그림 속 인문학, 『내 생애 마지막 그림』

 

 

 

 

  

『하나, 책과 마주하다』

 

음악을 클래식과 대중음악으로 분류하듯 미술 또한 예외는 아니다.

17-19세기 아카데미에서는 최고 등급을 역사화 이어서 초상화, 풍속화, 정물화, 풍경화로 등급을 정했다.

역사화가 가장 높은 지위를 얻은 이유는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 효과적인 채색, 다수의 인물 배치와 딱 들어맞는 움직임을 동반한 화면 구성 등 폭넓은 교양과 기량이

필요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등급이 낮은 주제에는 그런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단정이기도 했다.

그림만 봐도 이야기가 떠오르는 신화화의 황금기는 예상했다시피 이탈리아 르네상스이다. 이탈리아에서 황금기를 맞을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제약이 없었는데 그와는 반대로

에스파냐에서는 매우 제약이 심해 화가들이 '누드'자체를 그리는 것을 금했다고 한다.

이 때, 크게 제약이 없었다면 에스파냐에서도 아름다운 작품들이 단 몇 점이라도 탄생했으리라 믿어의심치 않는다.

기독교 회화인 종교화는 처음 카타콩이라는 지하묘지에서 탄생했는데 신도들끼리만 아는 상징적 기호를 통해 신을 그렸다고 한다.

후에 이 모든 것은 세상밖에 나와 기독교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는데 사용하였다고한다.

책 속 등장하는 15명의 화가(보티첼리·라파엘로·티치아노·엘그레코·루벤스·벨라스케스·반다이크·고야·다비드·비제 르브룅·브뤼헐·페르메이르·호가스·밀레·고흐)는

자신이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리기보다는 주문을 받아 그림을 그리기 일쑤였다. 대개 교회에서 많이 후원한 편이여서 기독교와 관련된 많은 작품들이 탄생하였고 후에 왕권이 강화되면서

왕과 귀족들은 자기 권위를 높이기위해 초상화를 많이 요청했다고한다.

이렇듯 그림을 보면 전반적인 그 시대의 특징을 알 수 있다.

 

보티첼리·라파엘로·티치아노·엘그레코·루벤스·벨라스케스·반다이크·고야·다비드·비제 르브룅·브뤼헐·페르메이르·호가스·밀레·고흐

학창시절 미술시간에 적어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예술가들이다.

나의 그림실력은 영 젬병인데 그림 그리는 것도 좋아하고 특히 작품감상하는 것을 꽤나 좋아한다. 그래서 미술관만 가면 기본 전시회 2개는 보고온다.

페르메이르의 작품인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는 너무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인데 작품이 모티브가 되어 스칼렛 요한슨을 주연으로 한 영화도 챙겨봤었다.

깨끗한 눈망울에 검은 눈동자 그리고 붉은 입술, 이 소녀를 계속 보고있자면 그 매력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런 명작을 탄생시킨 페르메이르는 처음부터 끝까지 꽤나 미스터리했다고한다.

그를 아는 주변 사람들은 그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고 자손들 또한 작품을 가치있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15명의 화가가 남긴 작품,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한번 책 속으로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중간중간 나오는 그림에 푸욱 빠져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