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오류들 - 고장 난 뇌가 인간 본성에 관해 말해주는 것들
에릭 R. 캔델 지음, 이한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7월
평점 :
『하나, 책과 마주하다』
전형적인 문과인 내게 있어서 과학은 참 친해지기 어려운 과목이었다.
허나 과학이 다 싫은 것 아니었다. 정확히 말하면 생물과 화학 분야라 할 수 있겠다.
그 중에서 관심있는 분야는 지금까지도 책을 통해 접하고 있는데 바로 지구과학과 뇌과학이다.
단순히, 매일같이 쳐다보는 밤하늘이 좋아 그 관심도가 지구과학까지 이어져 지구과학 관련된 책은 읽고 또 읽어도 그 재미가 배가 된다.
뇌과학은 조금 뜬금없을 수도 있는데 단순히 CSI를 보다가 흥미가 생겨 지금까지 괜찮은 책들이 출간되면 심리학과 더불어 함께 읽고 있다.
정말 신기하지 않는가!
수천억 개의 신경세포가 보내는 신호에 의해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과거서부터 여러 철학자들은 자아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노력했다.
앞서 말했듯이 수천억 개의 신경세포가 보내는 신호들이 어떤 과정을 어치며 어떻게 사랑, 언어, 예술을 낳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무엇보다 그렇게도 복잡하고 복잡한데 어떻게 우리의 정체성은 발전, 성장하는 동시에 일정하게 자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일까.
우리가 이를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문제의 틀을 바꾼다면 말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정상적인 행동들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에 고장난 뇌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장났을 때, 그 기능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원리로 이해하면 된다.
즉, 뇌 장애는 전형적이고 건강한 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유리창인 셈이다.
여러 세대들에 걸쳐 뇌 장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아낼수록, 뇌 회로들이 제 기능을 수행할 때 어떻게 작동하는지 깊이 이해할수록,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우울증과 양극성장애, 조현병, 치매, 뇌 질환, 파킨슨병과 헌팅턴병, 불안, 외상후 스트레스, 중독, 젠더 정체성, 의식과 같은 주제로 뇌 장애에 대해 분석하며 뇌 과학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예로서, 치매를 살펴보자.
갈수록 치매 환자가 급증한다는 소식을 접한 적이 있었다.
치매를 살펴보면 기억, 자아의 저장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새로운 지식을 얻는 과정인 학습과 지식을 계속 보유하는 과정인 기억이 점점 떨어지며 생겨날 수 있는 병이 바로 치매이다.
지각부터 행동에 이르는 모든 뇌 기능의 일부인 기억, 우리는 이를 끊임없이 이용하며 만들고 저장하고 수정한다.
그렇기에 기억이 교란되면 핵심적인 정신 기능에도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즉, 기억은 우리 정신생활을 하나로 엮는 접착제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책에는 실험 과정이 자세히 나와있는데 결론만 말하자면 노화 관련 기억 감퇴는 알츠하이머병과 뚜렷이 구별되는 장애이다.
노화로 인한 기억 감퇴를 알츠하이머병과 착각해선 안 된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다른 영역에서 다른 과정들에 작용한다.
이렇듯 뇌 과학의 범위는 광대하고도 복잡하면서 참 신비로운 분야이다.
특히, 몇 십년동안 빠르게 발전하였고 지금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뇌 과학이다.
읽는 내내 밑줄을 치며 '재미있게' 몰입하며 읽었던 것 같다.
(다음 달에 재독한 뒤에 좀 더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또 한번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