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감정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이 뒤바꾼 자폐의 삶
존 엘더 로비슨 지음, 이현정 옮김 / 동아엠앤비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아스퍼거 증후군의 삶에 대해 들어보실래요?, 『나는 감정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신이 있다면 가장 바라는 게 무엇입니까?

부모님에게 그리고 형제·자매에게 가장 바라는 게 무엇입니까? 태어나는 아이에게 혹은 아이에게 바라는 게 무엇입니까?

이런 질문을 듣는다면 당신은 무엇이라고 답하겠는가? 나는 단연 '가족의 건강'이다.

내가 살아온 삶이 긴 삶도 아니지만 세상을 보면서 느낀 것은 건강이 최고라는 것이다.

건강하지 못하면 자신을 위해 혹은 사랑하는 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것에 대해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건강치 못한 이들이 아픔과 고통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면 그들은 진정 영웅이 아닐까싶다.

 

저자 또한 영웅이다. 이유는 모르지만 자라면서 남들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는데 40대에 들어서 아스퍼거 판정을 받게 된다.

남들과 왜 달랐는지 이유를 알고나니 저자는 해방감을 느꼈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과 나누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친동생도 책을 냈는데 남들이 손가락질 하는 게 무슨 대수이겠는가. 그는 그렇게 책을 쓰고 세상과 소통을 하게 된다.

어느 날 강연을 마치고 베스 이스라엘 병원의 포닥 연구원이라는 린지 오버만 박사가 명함을 내밀게 된다.

그녀는 자폐에 관한 연구를 하고있으며 감성지능 강화 프로젝트에 대한 성인을 모집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TMS라는 새로운 기술을 실험중인데 자폐 증상의 완화법을 찾는 게 그녀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TMS란,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약자로 전자기장을 이용해 뇌 피질에 신호를 유도해 자폐인들이 타인의 감정 능력을 읽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뇌 과학을 통해 타인의 감정 능력을 읽을 수 있다는 말에 저자는 결국 그 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음악이란 알고 보면 멜로디와 비유의 조합이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내 음악에 대한 이해는 TMS 실험으로 확실히 강화되는 중이었다. …… 그런 생각에 또다시 눈물이 차오르는 게 느껴졌다. '기쁨의 눈물일까? 아니면 흥분? 그저 혼란스러워서일까?' 나는 생각했다. 또다시 내 감정을 설명하기 힘들었다. 내 안의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린 듯 했다. 그래서 감정적인 면에서 '이건 이렇다'고 단언하기 어려웠다. TMS는 확실히 나를 다음 목적지가 어디인지 모를 새로운 여정으로 이끌었다. 50년 동안 논리에 매여 살아온 내가 아닌가. 그런 내게 이런 두서없는 경험은 정말로 큰 변화였다.

과연 저자는 TMS라는 실험을 통해 상대방의 내면의 감정들을 잘 읽어낼 수 있게 될까?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 그것은 우리 모두에게 도전일 수밖에 없다.

어떤 일이든 '처음'인 상황이면 기대감도 있겠지만 두려움과 불안함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저자에게 사회적인 관계를 맺어나간다는 것 자체가 큰 도전일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대개 자폐라는 병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말한다. 자폐는 질병이 아닌 삶의 방식이 다른 것이라고.

그의 이야기를 읽고나니 그는 진정한 그의 삶 속에서 진정한 영웅이자 주인공이었음을 깨닫는다.

무엇보다 그의 이야기를 읽고선 자폐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인식이 많이 바뀌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