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 한문화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국어시간에 배운 글 잘 쓰는 "비법"은 매우 간단명료했다.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의 세 가지 원칙, 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이었다. 사실 알고 보면 참 쉽다. 독특하고 까다로운 노하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능력있는 선생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그저 혼자서 열심히 노력하면 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왜 글쓰기는 그렇게 힘들까. 글쓰기, 라면 고개를 절래절래 흔드는 대다수 사람에서부터, 한 때 문학소녀, 문학청년을 꿈꾸었다고는 하지만 문법조차 맞지 않는 사춘기의 감상 나열에 불과한 글에 만족하는 이들, 그리고 글 좀 쓴다고는 해서 시작했지만 글쓰기의 "프로패셔널" 칭호, "작가" 타이틀을 따기는 그리도 힘든 습작생들에 이르기까지...
이문열은 책을 200권 읽으니(어떤 책이었는지, 그가 의미하는 바가 뭔지는 사실 잘 모르겠다. 사실 누구든 200권 읽고 작가가 될 수 있다면 그 누가 200권 읽으려는 노력을 못하겠냐만은) 자기만의 이야기가 생각났다고 하고 신경숙은 다른 작가들의 글을 필사하는 과정을 통해 글쓰는 법을 배웠다고 한 걸 보면, 그리고 여느 작가들의 작가되기 과정을 대충 들어보면 귀납적으로 볼 때 다독, 다작, 다상량의 고래적 원칙이 확실한 것 같기는 하다.
그런대도 불구하고 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계속 출간되는 것은 무슨 이유이며, 이 책이 내게 또다른 깨우침을 준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건 바로 "나 자신을 믿고 솔직하게 표현하라. 그리고 부단히 쓰라"는 뻔한 가르침이-책 내용의 일부처럼 저자의 진심이 담겨 독자를 움직였는지 어쨌는지-마음을 움직이고, 이를 실천하게끔 하는데 그 어느 책보다 도움을 준다는데 있다.
뛰어난 연주자, 무용가, 화가가 되기 위해서는 아주 어렸을 적부터 시작해 근 몇 년간을 하루에 몇 시간 이상 피나는 노력을 해야 가능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인정한다. 그건 천재라도 마찬가지다. 설령 연습하는 시간이 남들보다 좀 더 적게 들었을 천재들이 있다손 치더라도 배우지도 않고 저절로 원숙한 수준의 피아노를 칠 수 있게 된 신동이 있던가, 그냥 생각날 때 드문드문 여흥으로 그림을 그린 화가가 있던가, 연습하지 않고 무대에 서는 무용가, 배우가 있던가. 하지만 사람들은 "작가"라는 예술가에 대해서는 유독 연습이란 걸 도외시한다. 아마도 그건 많은 사람들이 읽고, 쓰고 할 수 있으니 그런 것이겠지만 말이다.
이 책이 주는 가르침은 바로 그것이다. 부단히 쓰는 연습을 하면, 자기 자신을 믿고 쓰고 또 쓰다보면 언젠가는 잘 쓰게 되리라는, 어찌보면 결국 누리게 될 당연한 결과를 깨우쳐 주고 이를 희망으로 드러내주는 것. 그리고 이는 별 유명한 작가는 아니더라도 글쓰는 일과 관련해 밥 먹고 사는 일을 꾸려나가는 저자의 꾸준함을 보건대, 그리고 그런 그가 오랜기간 주장해온 말들이 책이라는 형식으로 나와 많은 이들의 가슴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보건대 더욱 신뢰가 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