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 한문화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국어시간에 배운 글 잘 쓰는 "비법"은 매우 간단명료했다.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의 세 가지 원칙, 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이었다. 사실 알고 보면 참 쉽다. 독특하고 까다로운 노하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능력있는 선생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그저 혼자서 열심히 노력하면 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왜 글쓰기는 그렇게 힘들까. 글쓰기, 라면 고개를 절래절래 흔드는 대다수 사람에서부터, 한 때 문학소녀, 문학청년을 꿈꾸었다고는 하지만 문법조차 맞지 않는 사춘기의 감상 나열에 불과한 글에 만족하는 이들, 그리고 글 좀 쓴다고는 해서 시작했지만 글쓰기의 "프로패셔널" 칭호, "작가" 타이틀을 따기는 그리도 힘든 습작생들에 이르기까지...

이문열은 책을 200권 읽으니(어떤 책이었는지, 그가 의미하는 바가 뭔지는 사실 잘 모르겠다. 사실 누구든 200권 읽고 작가가 될 수 있다면 그 누가 200권 읽으려는 노력을 못하겠냐만은) 자기만의 이야기가 생각났다고 하고 신경숙은 다른 작가들의 글을 필사하는 과정을 통해 글쓰는 법을 배웠다고 한 걸 보면, 그리고 여느 작가들의 작가되기 과정을 대충 들어보면 귀납적으로 볼 때 다독, 다작, 다상량의 고래적 원칙이 확실한 것 같기는 하다.

그런대도 불구하고 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계속 출간되는 것은 무슨 이유이며, 이 책이 내게 또다른 깨우침을 준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건 바로 "나 자신을 믿고 솔직하게 표현하라. 그리고 부단히 쓰라"는 뻔한 가르침이-책 내용의 일부처럼 저자의 진심이 담겨 독자를 움직였는지 어쨌는지-마음을 움직이고, 이를 실천하게끔 하는데 그 어느 책보다 도움을 준다는데 있다.

뛰어난 연주자, 무용가, 화가가 되기 위해서는 아주 어렸을 적부터 시작해 근 몇 년간을 하루에 몇 시간 이상 피나는 노력을 해야 가능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인정한다. 그건 천재라도 마찬가지다. 설령 연습하는 시간이 남들보다 좀 더 적게 들었을 천재들이 있다손 치더라도 배우지도 않고 저절로 원숙한 수준의 피아노를 칠 수 있게 된 신동이 있던가, 그냥 생각날 때 드문드문 여흥으로 그림을 그린 화가가 있던가, 연습하지 않고 무대에 서는 무용가, 배우가 있던가. 하지만 사람들은 "작가"라는 예술가에 대해서는 유독 연습이란 걸 도외시한다. 아마도 그건 많은 사람들이 읽고, 쓰고 할 수 있으니 그런 것이겠지만 말이다.

이 책이 주는 가르침은 바로 그것이다. 부단히 쓰는 연습을 하면, 자기 자신을 믿고 쓰고 또 쓰다보면 언젠가는 잘 쓰게 되리라는, 어찌보면 결국 누리게 될 당연한 결과를 깨우쳐 주고 이를 희망으로 드러내주는 것. 그리고 이는 별 유명한 작가는 아니더라도 글쓰는 일과 관련해 밥 먹고 사는 일을 꾸려나가는 저자의 꾸준함을 보건대, 그리고 그런 그가 오랜기간 주장해온 말들이 책이라는 형식으로 나와 많은 이들의 가슴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보건대 더욱 신뢰가 가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무늬 2004-04-13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마음을 잡아당겨서 서평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어릴적에는 글쓰는 것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었죠. 그러다 사춘기를 지나면서 깊은 절망을 경험했는 긴 터널 속에서 미처버릴 것 같았던 아픔을 풀어낼 유일한 길이 글을 통해서 쏟아내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어쩔 수 없이 글을 쓰기 시작했던 것이 이제는 제 삶에서 중요한 숨통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젠 너무나 잘쓴 글을 보면 시셈이 나고 욕심이 생기기까지 하네요. 그럴 때면 그냥 스스로를 비춰보는 자기 만족의 자유를 잃지 않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뼈 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자신을 믿고 솔직하게 써라"...이 책을 읽은 것도 아닌데 마음에 깊이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