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실미도'를, 그리고 어제는 '태극기..'를 보았다. 나도 한국영화 천만관객 시대에 일조한 셈이다. 두 영화 모두 완성도가 뛰어난 건 아니었지만 그럭저럭 기대이상으로 재미있었다. 무엇보다 이제 우리도 지난 역사에 대해 보다 유연한 시각으로,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 하는 안도감에 뿌듯했다.

그런데 '실미도'를 보고 뒷 맛이 그리 개운하지 않은 찜찜함이 남아 있던 것이 '태극기...'를 보니 되살아났고, '태극기...' 역시 마찬가지인 부분이 있었기에, 그 이유를 좀더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거니 싶었다.

'실미도'는 "중앙정보부가 국가냐"라는 통쾌한 대사를 날릴 정도로 국가와 개인의 문제에서 국가의 무한 권력이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것을 비판하고 나선다. 하지만 관객들은 인권을 짓밟힌 684부대원들에게 감정이입을 하는 과정에서 결국 그들을 영웅시하고 더 나아가 "그 때 북한침투를 했더라면"하는 일말의 감정을 갖게 된다. 인권과 평화가 아닌 폭력을 기대하게 되는 것이다. 군대 훈련 과정을 통해 부대원들이 "인간병기"로 태어나는 과정 역시 폭력적, 비인간적으로 그려지지 않고 "인간승리"처럼 묘사된다.

"태극기..."는 이념 대립을 떠나 인간적인 관점에서 전쟁의 비참함을 묘사한다. 전후 세대들은 이 땅에서 불과 50년전에 일어났던 전쟁의 공포에 대해 끔찍한 화면들을 통해 보다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에서 남는 것은 오직 "가족"외에는 없다. 가족이 왜 수난당해야 했는지, 625가 과연 어떤 전쟁인지에 대한 고찰에 대해 영화는 무관심하다. 공부잘하는 아들이 서울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가족의 꿈이었는데, 그 가족애와 개인의 일생이 무참히 짓밟혀 버린 것을 통해 관객들이 강요받는 것은 휴머니즘과 아울러 가족주의 아닐까? 이 영화가 지금 이라크에서도 그와 똑같은 일들을 일어난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할 수 있을까?

국가와 역사의 굴레에서 짓밟혀온 개인의 권리와 행복을 앞세우며 부당한 힘의 폭력을 말하려고 하는 두 영화는 그러나, 아쉽게도, 그 폭력의 테두리 안에 갇혀 버린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영화가 말하는 개인은 감상적 휴머니즘에 갇혀 그러한 폭력을 불러일으킨 역사적 원인과 개인들이 다시 꿈꾸어야 할 공동체의 밑그림에 대한 물음을 마비시킨다. 이 때 폭력적인 복수는 정당하다고 느끼게 되고 개인의 문제는 사회와의 연결고리 없이 오직 개인의 것으로 환원되고 마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발~* 2004-03-07 1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독일 신문에서 이스라엘 좌파들이 팔레스타인에 태도를 바꾸어 팔레스타인 축출에 가세한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그 근거는 내 가족이 이대로 죽어가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다... 는 것. "나는 정의를 옹호한다.그러나 정의를 옹호하기 전에 내 어머니를 지킬 거다." 폭력적인 복수를 정당화할 생각에서 토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다시 개인에게 사회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게 합니다...
 

왠지 모를 천박함이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웰빙"이라 표현해도 매한가지다.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현재의 행태들을 보면 더욱이 그렇다. 소득수준이 높아져 먹고 사는 문제 뿐 아니라 "잘" 먹고 "잘" 사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는 현상은 경제개발만이 지상 최대의 가치로 여겨졌던 옛날과는 확실히 다른 양상이다. 돈을 모으는 것에만 급급하고 인생을 즐길 줄 몰랐던 대부분의 이전 세대들에 비해 긍정적인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역시 돈이 모든 가치의 기준인 자본주의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듯 하다. 우리 사회에서 외치는 웰빙이란 결국 즐기면서, 오래도록 건강하게 잘 살자는 말. 우리 사회의 웰빙을 위해선 중산층 이상 수준의 재화가 필요하다. 단지 그 필요한 재화를 이제는 삶의 질을 고려하면서 잘 써보자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 덕담처럼 말해지는 "부자 되세요"라는 말과 "웰빙"이 별다르지 않아 보인다. 

우리 사회 어디에서고 공동체에 대한 관심들은 찾아보기 힘들어간다. 나만, 우리 가족만 잘 먹고 잘 살면 그만이다. 슈퍼에서 유기농 야채를 장바구니에 담고 경치 좋은 곳으로 주말여행을 떠나고 깔끔한 펜션에서 쉬면 그 뿐, 자연을 살리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는 관심 영역 밖의 일일 뿐이다.

우리 사회에서 웰빙이라 불려지는 삶의 형태는 과연 웰빙(well-being)일까. 잘 먹고 잘 살겠다는 욕망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꿈꾸던 것이었을 뿐, 이러한 욕망의 21세기형 모드에 붙여진 멋들어진 이름은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앙일간지를 일일이 확인해보지는 못했지만 조선, 경향, 대한매일이 그러했으니 아마 1월 26일자 대부분의 일간지들이 1면 톱기사로 이 문제를 다루고 있는 듯 하다.

학력이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사실은 더이상 새로울 것도 없는, 교육사회학에서의 정설이다. 더이상 계급사회가 아닌 계층사회라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부모의 계층은 세습되는 것이고 특히 학벌사회인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계층을 더욱 공고화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해왔다. 과외 한 번 안하고 학교 공부에 충실하기만 했는데 명문대에 수석입학을 했다는 수험생의 인터뷰 내용은 이미 잘 알려진 거짓말 중 하나이며 더이상 우골탑이니, 개천에서 용났느니 하는 말은 들을 수도 없다. 

그런데 어떤 근거로 학벌을 통한 계층의 세습 문제와 평준화 제도를 연결시킨 건지, 평준화가 오히려 계층 세습을 조장시켰다는 그들의 주장은 논리적으로 아무런 근거를 찾을 수가 없다. 신문기사에서도 이는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평준화를 무조건 유지하라는 말이 아니다. 다만 부자 부모를 둔 자녀들이 서울대에 더 많이 입학한다는 객관적 사실에 대한 사회적 비판의식은 논외로 이를 평준화 철폐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언론의 비논리적이고 비상식적인 태도에 대해 다만 뜨아해 할 뿐이다. 평준화를 실시해도 좋은 고등학교, 좋은 중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돈 많은 사람들은 중학교, 초등학교부터 엄청난 돈으로 선행교육을 시킬 것이 뻔하다. 그들의 논리대로 우격다짐으로 나간다면 그나마 평준화 제도 때문에 경제적 조건에 따른 학력 격차가 덜 한 결과가 그 정도에서 멈췄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울대 연구팀과 언론사의 간부들이야 대부분 일류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출신들일테니 예전의 그 화려했던 명성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개인적인 심정이야 십분 이해한다. 하지만 평범한 부모의 자녀들이 공정하게 경쟁해서 서울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평준화를 폐지시키자고 주장하는 사람들, 이러한 연구자료를 내놓고 모든 언론을 대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그들은 과연 평범한 부모들일까. 그들은 이미 학벌을 통해 사회적 계층을 자녀들에게 물려주고 있는 장본인들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학벌의 계층 세습과 평준화 제도를 한 문제로 엮어가며 얻고자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