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점 정리
초기 그리스도교에서 참회 예식은 행위가 아니었고, 참회자는 여러 특징을 드러내는 하나의 신분 상태(70쪽)일 뿐이며, 엑소몰로게시스는 죽음의 상연과 자기 포기의 극적 상연(75쪽)을 통해 드러난다. 수도원에서의 자기 점검이란 행위보다는 사유를 가리킨다(82쪽).
2. 엑소 vs 엑사
참회자가 자신의 죄인의 상태를 일종의 공적인 현시 내에서 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엑소몰로게시스이고, 영적 아버지의 의지에 전적으로 복종하는 관계 속에서 행해지는, 사유의 분석적이고 계속적인 구두 표현 행위가 엑사고레우시스이다. (92쪽)
3. 주제 문장
심지어 엑사고레우시스에서 파생된 이 해석학적 기술들 내에서조차도 진실 생산은, 기억하시겠지만 매우 엄격한 조건 없이는 달성될 수 없었습니다. 그 엄격한 조건이란 자기희생을 내포하는 자기해석학입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 이건 심층적인 모순이거나 아니면 이렇게 말해도 괜찮다면 자기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테크놀로지의 어마어마한 풍부함입니다. 그것은 바로 자기희생 없이는 진실도 없다는 것입니다. (95쪽)
4. 느낀 점
1) 자기 희생 없이는 진실도 없다.
2) 두 번의 강연과 두 번의 대담을 엮은 책인데, 뒤쪽의 두 대담이 코믹하다. 한 대담의 사회자 이름은 나와 있고 한 인터뷰어의 이름은 못 찾겠는데, 아무튼 두 대담이 흥미진진하다. 좋은 질문이다, 네 그렇습니다, 라는 푸코의 답이 있기도 하지만, 더 임팩트 있는 시작은, 글쎄요, 그 강연에 (당신이) 참여했던가요, 아니요, ** (사회자의 언급)이 결코 아닙니다,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뭐, 이 정도면 멱살 잡아야 한다. 비는 부슬부슬 내리고 내용은 재미없고 머리 위로 잠은 쏟아지는데, 두 분이 나를 살렸다.
3) 잠깐 쉬었다가 다음 책은 『광기의 역사』로 한다.
그 결과 이 두 실천의 공통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원리, 즉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 두 경험에서 자기 자신에 관한 진실의 폭로는 자기 자신을 포기해야 하는 의무와 분리될 수 없다는 원리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자기 자신과 관련된 진실을 발견하기 위해 자기를 희생해야 하고, 자기 자신을 희생하기 위해서는 자신에 관한 진실을 발견해내야 합니다. 진실과 희생, 우리 자신에 관한 진실과 우리 자신의 희생, 이것들은 심층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희생을 삶의 양식의 근본적 변화로 간주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정식, 요컨대 너는 실제적인 신체와 실제적인 삶으로서의 네가 소멸하는 오직 그 순간, 그런 너를 네 스스로 파괴하는 오직 그 순간에만 너는 진실을 현시하는 주체가 될 것이라고 하는 정식으로부터 결과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 P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