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들 먼로의 책은 이렇게 3권을 대출해 보았다. 위험한 과학책은 미국에서 2014년에 출간되었는데, 다독가 빌 게이츠의 이 사진으로 더 유명해진 듯하다. 우리나라 책도 이 책과 비슷한 표지에 노란색이었는데, 최근에 리커버 된 듯 하다.






 












큰애도 남편도 나도 거시기(?)하다 보니, 아롱이도 또래 남자아이들보다 인문, 사회, 역사 관련 책을 좋아하는 편이다. 그래서 좀 신경을 써서 과학책을 골라주려고 하는데, 사실 이 책은 아롱이가 아니라, 내가 보려고 대출한 책이다. 코로나 방학으로 공부는 하지 않고 시간은 무한대인 아롱이가 아무 생각 없이 내 책상 위의 이 책을 집어 들더니, “엄마, 이 거 내(가 읽을) 책이야?”하고 묻기에, 사실은 아니었지만 나는 , 맞아.” 대답했다. 내내 큭큭거리며 책장을 넘기는 아롱이. 그래, 재미있는 책 읽으면 시간이 잘 가, 그렇지? 여느 때와 똑같이 이런 중요한 말씀들은 자막으로만 처리한다.

 


나는 『더 위험한 과학책』을 읽었다. 기상천외한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이 이 책이 추구하는 바인데, 번뜩이는 질문에 꼼꼼한 계산이 더해져 읽는 재미가 솔솔하다. 이 책에서 거의 유일한 인문학적질문이 있다. <누군가와 부딪힐 확률과 친구를 만날 확률>에 대한 챕터인데, 그냥 걸어가다가 누군가를 만날 확률은 도시마다, 장소마다 이렇게나 다르고, 만난 사람이 친구일 확률은 훨씬 더 낮다고 한다(당연한 말씀).


 



친구는 어디에서 만나나? 모든 나이대에서 사람들은 새로운 친구의 20퍼센트를 가족, 친구의 친구, 종교 기관 혹은 공공환경을 통해 만난다고 한다. 나이에 따라 사람들이 친구를 만나는 곳을 조사해보니 처음에는 학교가 우세하다가 나중에는 직장이 된다고 한다. 그런 다음 은퇴할 나이가 다가오면 이웃과 자원봉사 기관에서 친구를 만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257) 일단 누군가를 만났다면 아는 사이에서 어떻게 친구 사이로 변하게 될까? 그림을 보시라. 이 기계를 보일러처럼 집에 하나씩 들이면 되겠다.

 


 


이마누엘 칸트의 말을 인용해 저자는 말한다. “인간을 이런 방식으로 대우하도록 행위하라. (…) 절대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언제나 동시에 목적이 되도록.”(258) 이를 저자의 말로 풀어보자면, ‘우정은 사람의 기분을 배려하는 것이고, 친구의 기분을 항상 알 수는 없으니, ‘그냥 직접 물어보세요가 그의 답변이다.  

 


나 같으면, 어디에서 어떤 이름으로 만났는가도 중요한 것 같다. 어떤 관계로 만남을 시작했는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는 아무래도 좋아지기 어려운 관계이고, 두렵고 무서운 시작을 함께 했던 동지들, 모든 세계의 1학년, 입사동기, 산후조리원 동기 역시 끈끈한 우정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결국은 그냥이 이유가 아닐까 싶다. 그냥, 좋은 사람이 있다. 그냥, 옆에 가면 좋고, 재미있고, 이야기를 듣는 게 행복하고, 부끄럼 없이 나를 보여줄 수 있고. 만나면 즐겁고, 헤어지면 보고싶고. 그런 사람과 친구를 해야한다. 우주의 섭리나 원칙, 작동 기준 같은 것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내 결론은 이렇다. 그냥, 좋은 사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0-07-03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단발머리님 과학관련 책 읽고 이렇게 페이퍼 써주실 때마다 진짜 세상 근사해요. 최고 멋져요. 그래서 단발머리님의 과학페이퍼 볼 때마다 저도 과학책 읽을거야, 하고 부지런히 과학관련 책을 보관함에 쓸어담고 장바구니로 옮겨도 보지만, 이상하게도 실제로 결제할 때는 자꾸 뒤로 밀려요..하아. 학교때도 과학을 못하고 커서도 과학을 못하고 늙어서도 과학을 못하고.. ㅠㅠ

제가 과학을 제일 잘했던 때는 중학교 1학년,2학년 때였는데, 왜냐하면 과학선생님을 좋아했기 때문이에요. 두 분 다 비혼의 여선생님들이었는데 너무 잘보이고 싶어서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데 겁나게 달달 외웠어요. 그래서 1학년때 점수 낮았던 과학을 뽝 올려놨어요. 어휴... 2학년 때는 제일 처음 쪽지시험에서 너무 많이 틀렸는데, 선생님이 너무 좋아서 틀린개수대로 손바닥 맞는데 너무 쪽팔린거에요 ㅠㅠ 그래서 또 미친듯이 공부했어요. 그 다음부터 손바닥 맞을 일이 없었죠... 그 뒤로 과학 선생님을 좋아한 적이 없고 심지어 싫어하는 선생님도 나오고 제 과학은 끝났습니다....


어릴적에는 학교에서 시작해 친구가 되죠. 동네에서 만나도 친구가 되고요. 그건 내가 결정했다기 보다는 ‘주어지는‘ 관계인것 같아요. 회사의 경우에는 사실 저는 그 안에서 만난 사람들과 딱히 친구로 연결되진 않았고요.
지금은 제가 선택해서 친구가 되는 것 같아요. 특히나 알라딘에서 만난 친구들은 철저하게 제가 선택했죠! 저는 알라딘 내에서 만든 친구들에 대해서 가장 후회가 없고 또 가장 잘했다고 칭찬하는 경우가 많아요. 최근에도 알라딘에서 만난 친구들 덕에 매일 웃고 지냅니다. 휴가 계획도 짜면서요. 으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여러분 사랑해요! ♡

단발머리 2020-07-03 11:15   좋아요 0 | URL
저도 학교 다닐때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이 일편단심 과학은 잘 모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자의 이 여유... 제가 위에도 썼지만 그러다 보니 과학 관련 책을 식구 중에 읽는 사람이 없거든요. 빌려오는 사람도 없고 읽는 사람도 없고, 물론 사는 사람도 없고요. 아롱이한테는 좀 많이 권하게 되는데 가끔 정말 재미있는 책들이 있더라구요. 제가 과학책을 읽을 수 있는 이유는 부담없이 대하기 때문인거 같아요. 이거를 기억해야겠다, 새로운 거를 알아보겠다,는 마음이 전혀 없으니까(어차피 다 잊어버리니까요) 진짜 편히 그 순간,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만을 즐기거든요. 순간을 삽니다. ㅎㅎㅎ 게다가 이 책은 그림이 유쾌해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학교 다닐 때는 선생님이 정말 중요한 거 같아요. 우리나라 학교라는 게 국영수 위주기는 하지만 선생님들이 애정을 갖고 수업을 하시면 다락방님의 경우처럼 선생님이 좋아서 공부할 수 있잖아요. 반대의 경우도 있지요. 선생님 때문에 수학을 포기한다거나, 선생님 때문에 영어와 이별한다거나.... ㅠㅠ

이 책 읽으면서 알라딘 친구, 알라딘 이웃들은 어떤 친구일까 저도 생각해봤어요. 아무래도 취미가 비슷한 친구일거라는 생각은 드는데, 글을 좋아해서 그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건지, 그 사람을 좋아하니 글도 좋아하는 건지는 모르겠네요. 글이 곧 사람인가? 그런 생각도 들고요. 아무튼 다락방님 사랑고백에 알라딘 친구 여러분들이 지금 흐뭇하니 웃고 있겠군요. 하하하.

비연 2020-07-03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봐야겠네요. 과학 책 좋아하는데, 요즘엔 뜸했건만, 단발머리님의 이 페이퍼가 다시금 절 불지르는..
정말.. 오늘 책 사야 하나요? =3 =3 =3 =3 =3 =3

다락방 2020-07-03 16:58   좋아요 0 | URL
7월이니 새로운 마음으로 한 번 질러야 하지 않아요, 비연님? =3=3=3=3=3

단발머리 2020-07-03 17:39   좋아요 0 | URL
적절하고 적합한 이유네요. 7월이니 이제 새로웁게 책구매를 시작해도 된다는 의견이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연 2020-07-03 17:47   좋아요 0 | URL
저 댓글 달자마자.. 샀답니다..(먼산)

단발머리 2020-07-03 20:40   좋아요 0 | URL
잘하셨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 생각엔 과학지식 & 상식이 풍부하신 분들에게 더 재미있게 읽힐것 같아요. 바로 비연님이죠~~~ from 20여년 전 문과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