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가 안동김씨 표정있는 역사 4
김병기 지음 / 김영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중 사학(門中史學)이라는 말은 한 가문의 역사를 말합니다. 이 책은 조선의 대표적인 세도가였던 안동김씨 가문에 대한 역사입니다.

'문중'이라는 말의 어감 자체가 전근대적이고 고루한 냄새가 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당장 한 집안의 가계를 설명하는 책인 '족보'가 생각나는 것도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역사의 거대한 담론은 결국 이런 각각의 문중의 역사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것 역시 올바른 태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이 책은 또 하나 재미있는 사실이 저자 김병기씨가 안동 김씨가 아닌 배천(白川)김씨이기 때문에 자신의 문중에 대한 역사를 후손으로서 저술했다는 편견을 없애고, 다른 가문의 역사를 그래도 제3자의 입장에서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안동 김씨는 조선 중기 정조때 부터 조선말기까지 왕가의 외척(外戚)으로서 '세도'를 누리던 가문으로 지금도 안동에 가면 이 가문의 종가가 수백년의 세월을 품은 체 그대로 서 있습니다.

조선의 22대 임금인 정조는 자신의 둘째 아들인 순조를 안동김씨인 김조순의 딸과 결혼시킴으로써 이 가문이 장차 조선 후기까지 세도를 떨치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이후 조선은 안동김씨 집안에서 23대 순조비인 순원왕후 (김조순의 딸), 24대 헌종비 효현왕후(김조근의 딸) 그리고 25대 철종비 철인왕후 (김문근의 딸)를 연속으로 맞이하고, 이 집안의 세도는 그 끝을 알수 없게 커져갑니다.

조선은 왕조국가인 동시에 사대부 국가이기 때문에 원래부터 선비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지대했으나, 안동 김씨의 경우 세번 연속 왕후를 배출했기 때문에 심지어 이씨왕조의 실제 지배자는 김씨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그 위세가 대단했습니다.

하지만 안동 김씨는 세도정치만을 편 것은 아니었습니다. 조선에서 가장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집안이었으며,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도 이 집안에서 많이 나왔습니다.

그런 면에서 좋든 싫든 안동김씨 가문의 역사는 조선 중기 이후 조선의 정치사, 권력투쟁사와 동전의 양면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한번 쯤 들여다볼 필요는 있습니다.

지금 한국은 성리학의 나라가 아니지만, 아직도 한국은 성리학의 사고방식과 영향력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나라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작지만 재미있는 역사책입니다. 얇지만 내용은 상당히 탄탄하다고 생각이 드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