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그림 속 우리 얼굴>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옛 그림 속 우리 얼굴 - 심홍 선생님 따라 인물화 여행
이소영 / 낮은산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그림속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이 그대로 담겨 있다. 기록 그림은 우리나라가 어떠한 방식으로 살았는지, 어떤 방식으로 궁궐에서 지냈는지, 또한 유명한 인물의 초상은 어떠했을까 등의 주제로 다양한 기록들이 남아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선조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알 수 있고, 우리가 이 자리에 있게 해준 위대한 인물의 모습 또한 어떠하였는지 이 그림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자, 그럼 선조들이 그린 옛그림 속에서 조상들의 특징을 잘 살펴보자. 

초상화는 그림들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그림중 하나이다. 인물에 대한 미세한 특징 하나라도 변하게 된다면, 이 초상화는 더이상 그 인물이 아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상화는 인물의 미세한 티 하나라도 정확히 잡아내야 하는 것이다. 채제공의 초상화를 살펴보면, 그의 초상화를 그린 밑그림과 진짜 그림은 비슷해 보여도 같은 인물이지만 그 정교함이 다르다. 

옛사람들은 어떤 풍속을 지녔을까? 우선 그들은 지금의 우리와는 다르게 배꼽을 중요하게 여겼다. 서양에서도 그러하고 지금의 인도가 그러하듯이, 배꼽을 사람의 중심으로 생각해서 드러내놓고 다니지 못하는 것이었다. 도리어 가슴은 자식을 많이 낳은 다산의 상징이므로 드러내놓고 다녔다. 풍속에 많이 변화되었다는 점을 실히 느낄 수 있던 점이었다. 

미인도라 적힌 그림을 보면, 미인의 기준도 많이 변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아마 미인은 시대상에 따라서 보기 드문 여자를 택하는 경우일 것이다. 과거에는 식량이 부족해서 몸이 풍만한 여자가 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몸이 풍만한 여자야말로 미인이였을 것이고, 지금은 많이 먹고 살이 찌는 것이 매우 쉬운 일이어서 마른 체형의 여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같은 주제를 그린 그림일지라도 어찌나 그 주제가 달라보이는지는 당연지사다. 표정의 미묘한 변화와 색채의 자그마한 변화만으로도 그림의 전체적인 느낌이 달라지니 말이다. 하마선인의 이야기에 대한 그림 두 가지를 비교해보자면 하나는 두꺼비를 화가 난다는 듯이 줍는 표정이고, 다른 하나는 마치 타이르듯이 줍는 표정이다. 이 차이는 전체적인 붓터치의 느낌과, 인물의 미묘한 표정 변화로 인해 나타난다. 

그림은 참으로 신기한 것 같다. 선 하나하나가 그림의 전체적인 느낌을 결정하니 말이다. 옛 그림속에서 찾는 우리 민족의 특징을 모두 살펴볼 수 있어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