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적
로베르토 볼라뇨 지음, 김현균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5월
평점 :
멕시코... 한때는 광대한 영토를 자랑하던 나라. 지금은 미국에게 많은 영토를 빼앗기고, 경제도 어려워 미국으로 넘어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나라. 그런 멕시코에서도 학살이 있었다는 것. 소설을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볼라뇨 소설을 읽기 시작하다. 어느 책에선가 볼라뇨란 작가에 대한 소개를 보고 흥미를 갖게 되었는데, 그가 라틴아메리카의 현실을 소설로 구현해 냈다고 해서 어떤 작품일까 꼭 읽어봐야지 했다.
첫작품으로 [부적]을 읽기로 하다. 멕시코에서 일어난 학살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소개글을 보았다. 멕시코 대학에 군대가 진입해 학생들과 교직원들을 체포해갈 때 화장실에 숨어 13일을 버틴 사람이 있다는 것.
그 사람을 소설에서는 아욱실리오라는 여성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화장실에서 아욱실리오의 생각이 여러 곳으로 뻗쳐 나가는 모습을 소설은 표현하고 있다. 즉 아욱실리오의 독백이 소설의 주를 이룬다. 우루과이 사람인 아욱실리오가 멕시코에 도착해서 겪게 되는 일. 이렇게 라틴아메리카는 특정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고 라틴아메리카라는 대륙을 공통 배경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소설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 이야기는 공포물이다. 탐정 소설, 누아르 소설, 호러 소설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말하는 사람이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말하는 사람이 나 자신이고, 그래서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잔혹한 범죄 이야기다.' (9쪽)
이미 소설의 시작에서 선언하고 있다. 잔혹한 범죄 이야기라고. 누구의 범죄. 멕시코 독재 정권의 범죄. 1968년 9월에 멕시코 대학에 난입하고, 10월 2일에 학살이 일어났다고 한다. 하지만 소설은 멕시코에서 벌어진 학살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화장실에 갇힌 아욱실리오가 그곳에서 나올 때까지 시집을 읽으면서, 그 시들을 외우면서 또 화장지에 시들을 쓰면서 이 생각 저 생각을 하는 과정. 라틴아메리카의 생활이 생각을 통해서 드러나고, 여기에 칠레에서 일어난 1973년 피노체트의 쿠테타(또다른 9.11이다)까지도 언급이 된다. 이것들이 직접 묘사되지 않고 생각 속에서 펼쳐진다.
그렇지만 그 생각들을 통해 라틴아메리카가 겪고 있던 현실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가 있게 되는데, 독재 정권의 탄압이 바로 잔혹한 범죄가 될 것이고, 그럼에도 문학은, 예술은 부적처럼 사람들을 살아남게 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은 이렇게 끝난다.
'내가 들은 노래는 비록 전쟁과 희생당한 라틴 아메리카 젊은 세대 전체의 영웅적인 위업에 관한 것이었지만, 나는 다른 무엇보다 용기와 거울들, 욕망 그리고 쾌락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노래는 우리의 부적이다.' (180쪽)
주인공인 아욱실리오가 환상 속에서 듣는 노래. 끌려가는 젊은이들이 부르는 노래. 비록 그들은 죽음을 향해 가지만 노래는 살아남아서 라틴아메리카의 다른 미래를 이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문학(예술)은 독재 정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상을 예비하는, 독재 정권으로 인해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부적에 해당한다는 것을 소설은 말하고 있다. 문학(예술)을 아무리 죽이려 해도 문학(예술)은 죽지 않음을 아욱실리오의 예언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으니 말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이러한 문학(예술)의 부적 역할을 생각하면서 우리나라 시인 김남주를 떠올렸다. 아니, 자연스럽게 아욱실리오에 겹쳐 김남주가 떠올랐다. 이 소설과 연관지을 수 있는 김남주의 시가 있을까 찾아보다 '시인의 일'이란 시를 만났다.
'수천의 시민을 학살하여 / 양키의 이익을 지켜주고 / 그 대가로 세자책봉의 영광을 누리는 것이 / 장군인 너의 일이라면' (김남주, '시인의 일' 1연. 김남주 시집. 조국은 하나다. 남풍. 1988년 초판. 304쪽.)으로 시작하는 시.
첫연에서 바로 너의 일은 독재다. 잔혹한 범죄다. 그러나 그것은 그들의 일이다. 이런 이에게 동조하는 이들도, 찬양하는 이들도 모두 너희들, 그들의 일이다. 결코 시인은 하지 못할 일이다. 그렇다면 시인은 어떤 일을 할까? 바로 이런 일들로부터 보호해주는 부적 역할을 해야 한다.
부적은 악으로부터 사람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지 않는가. 그러므로 문학(예술)은 잔혹한 범죄로부터 사람들을, 사회를 지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지켜주지는 못할지라도 완전히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아욱실리오처럼 화장실에서 꿋꿋하게 버티는 역할을 해야 한다.
아욱실리오가 화장실에서 시를 읽고, 외우고, 쓰는 일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감옥에서 시를 쓰면서 저항 정신을 잃지 않았던 김남주 시인을 생각하게 된다. 김남주 시인에게도 시는 부적이었다.김남주 시인은 이렇게 시인의 일을 말한다. 바로 '부적'과 같은 일이다. 이 소설에서 아욱실리오가 하는 일이다. 기억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 부적은 멈춤이 아니라 전진이다.
'시인인 나의 일은? / 이 자가 저질러놓은 죄악 / 그 하나하나를 파헤쳐 / 만인에게 만인에게 만인에게 고하고 / 일깨워 민중들 일어나 단결하게 하고 / 자유의 신성한 피의 전투에 / 나아가자 나아가자 앞으로 나아가자 노래하는 일.' (김남주, '시인의 일' 마지막 연. 김남주 시집. 조국은 하나다. 남풍. 1988년 초판. 305-306쪽.)
하아, 어디 김남주 시인뿐이랴. 이런 '부적'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의 작품 중에서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 역시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은가. 이들만이 아니라 많은 예술가들이 이렇게 아욱실리오가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말한 '부적' 역할을 하고 있으니, 여전히 우리나라는 독재자들의 잔혹한 범죄를 막을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소설 전체가 아욱실리오의 독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수많은 라틴 아메리카 작가들, 그리고 언뜻언뜻 언급되는 멕시코와 칠레의 학살,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저항하는 정신이 소설 속에 잘 나타나 있다.
볼라뇨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