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읽을 겁니다 - 삶과 책에 대한 사색
어슐러 K. 르 귄 지음, 이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1월
평점 :
르귄의 글들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일 때가 많다. 그래, 그렇지 감탄하면서 읽는다. 자꾸 르귄의 책을 찾아 읽게 된다. 소설도 생각할 거리가 많지만, 이렇게 수필이나 서평을 쓴 글을 통해서도 생각할 거리가 많아진다.
페미니즘이라고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르귄은 여성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한다. 여성이 차별받지 않는 사회뿐만이 아니라, 모두가 동등한 인간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래서 '여자들이 아는 것'이라는 글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우리가 여자들에게 무엇을 배우느냐는 질문에 답해 볼까요? 제가 첫 번째로 내놓을 거대한 일반화는 우리가 인간이 되는 법을 배운다는 겁니다' (149쪽)
바로 이거다. 우리는 남성인 인간, 여성인 인간, 성소수자인 인간 등으로 자라는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하지만 남성의 가르침은 이렇지 않다고 한다.
'남자들의 가르침은 현 상황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자들의 가르침은 개인적이기에 더 전복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152쪽)
이런 말을 보면 여성들이 수동적이라고 하는 말은 용납이 되지 않는다. 인간이 되는 법을 가르치고 배운다면 세상이 인간을 가르고 차별하는 모습을 보면 그것에 저항할 수밖에 없다. 자연스레 전복적이 된다. 이것이 바로 여자의 가르침이다.
국가, 사회, 집단에 개인을 매몰시키지 않는다. 국가, 사회, 집단은 개인이 존재해야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인데, 남자들의 가르침은 국가를 위해, 사회를 위해, 집단을 위해 개인을 희생하라고, 개인을 내세워서는 안된다고 가르치는 경향이 많다. 이런 경향 속에서 여성의 주장은 집 안으로 국한되기 일쑤다.
하지만 르귄은 아니라고 말한다. 개인적인 가르침이 결국은 국가, 사회, 집단을 더 풍요롭게 한다는 것, 그것의 바탕은 바로 인간이 되는 법을 가르치고 배우는 데 있다고 한다. 명심할 말이다.
이 책에서 또 하나는 문학과 장르 문학을 비교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비교가 아니라 대조라고 할 수 있다. 문학에 비해 장르 문학은 수준이 떨어진다고 하는 주장.
르귄이 쓴 소설은 SF소설이라는 장르 소설로 흔히 분류한다. 그리고 SF소설은 문학에서 청소년들이나 읽는 작품으로 폄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주장에 르귄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세상에 문학과 장르 문학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겠는가?
그 많은 문학의 종류에 장르 문학이 속할 뿐인데... 이쪽 저쪽 편가르기를 하면 그것은 이미 문학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다. 사람을 남성, 여성, 기타 다른 성으로 나누어 다르게 대우하는 것이 잘못되었듯이, 문학도 이런 문학, 저런 문학 나누어 구별짓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SF소설은 단순한 공상이 아니다.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이야기를 꾸며낸 소설이 아니다. SF소설은 우리를 다른 세계로 데려가는 통로다. 나니아 연대기나 앨리스 이야기를 보면 다른 세계로 인물들이 갈 수 있는 통로가 나온다. 그 통로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다.
SF소설도 마찬가지다. SF소설을 통해 우리는 현실의 다양한 면을 인식하게 된다. 오히려 SF라는 특성때문에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차분하게 다른 세계를 경험할 수도 있다. 미래의 세계나 과거의 세계를 현재로 데려오는 '타임머신'의 역할을 SF소설이 한다. 그래서 SF소설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현실적이지 못한 SF소설에 대해서는 르귄 역시 가차없이 비판하고 있다.
그러니 문학과 장르 문학을 구분하고 차별하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일이겠는가? 르귄이 그러한 구분을 참지 못하고 이 책의 여러 글에서 비판하고 있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 책에는 다양한 서평이 들어있고, 다양한 작가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마음에 드는,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작가들도 있다. 그렇게 르귄은 또다른 작품 세계로 우리를 이끌어준다.
특히 주제 사라마구. '눈 먼 자들의 도시'는 코로나19가 발생했을 때 처음 '페스트'와 함께 떠올랐던 작품. 인간은 이제 어느 한 순간에 자신들이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게 되는데, 그때 우리는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소설이었는데...
이 책 곳곳에서 르귄은 사라마구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그 중에 하나. '존엄의 예: 주제 사라마구의 작업에 대한 생각들'이라는 글을 보면 그에 대한 생각이 너무도 잘 드러나 있다.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던 르귄은 그 작품에 압도되어 읽기를 멈춘다. 작가를 알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먼저 한다. 그리고 사라마구의 책들을 찾아 읽기 시작한다.
그가 쓴 소설들을 죽 읽으면서 사라마구에 대한 믿음이 생긴 르귄은 다시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는다. 그러면서 그 작품이 왜 좋은지를 느끼게 된다. 마찬가지로 '눈 먼 자들의 도시' 이후에 나온 작품들도 찾아 읽고.
이런 태도다. 작가를 만나고 작품을 읽게 되면 그 작가에 대해 더 알고 싶어진다. 작품을 더 읽고 싶어진다. 찾아서 읽는다.
나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르귄의 작품을 하나하나 찾아 읽기 시작한다. 르귄이 '사라지는 할머니들'이라는 글에서 이런 말을 했는데, 그 말이 이제는 통용되지 않는 세상을 위해.
'나는 여자들의 소설을 문학 정전에서 한 권씩 한 권씩, 한 명씩 한 명씩 배제하는 흔한 기법이나 수법을 네 가지 알고 있다. 이 수법들은 폄하, 누락, 예외화, 그리고 질송이다. 이 넷이 쌓여 지속적으로 여자들의 글을 주변으로 밀어낸다.' (160쪽)
이 말이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진다면 여성작가란 말도 사라지겠지. 문학을 무슨 무슨 문학으로 구분짓는 것도 사라지겠고.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하는 르귄의 책이다. 그래, 이렇게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 책. 다른 작가, 다른 작품으로 인도하는 길잡이.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