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삭귀개'
의외의 만남은 늘 같은 모습을 요구한다. 발걸음을 멈추고 자세를 한껏 낮춰 주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다. 그것도 카메라의 확대ㅈ기능을 활용해야 겨우 눈맞출 수 있다. 어찌 반갑지 않으랴.


작고 여린 꽃이 자박자박 물기가 올라오는 습지에 피어 있다. 독특한 모양새가 예사롭지 않다. 자주색 꽃잎이 활주로를 만들어 놓고 누군가 오기만을 뜬눈으로 기다리고 있는 것만 같다.


'이삭귀개'는 습기가 많고 물이 얕게 고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물펴룩 등과 같은 벌레를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실 같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주걱 같은 잎이 군데군데에서 무더기로 나오고, 뿌리에는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린다.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꽃받침은 넓은 타원형이며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빽빽이 난다. 꽃잎에는 아랫입술꽃잎 길이의 2배 정도 되는 꿀주머니가 있다.


이삭귀개는 습지가 파괴되면서 급격히 줄어들어 국가적으로 보호와 관찰이 필요한 취약 종으로 분류해 관심을 갖고 보존·추적하고 있다고 한다.


줄기 끝에 꽃이 핀 모습이 귀이개를 닮아 이삭귀개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