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의 남편
방현희 지음 / 푸른영토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편들의 존재방식을 들여다 보다

사회적 관계의 기본 구성은 가족이다. 가족의 사전적 의미는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로고 정의된다. 여기서 당연 중심이 되는 것은 바로 남편과 부인인 부부다.

 

부부 중심이던 가족이 어느덧 자식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졌다. 유치원이나 초등학생 등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 맞는 일상이 꾸려진다는 것이다. 어느덧 고등학생이 되면 가족의 모든 중심은 그 아이에게 주목함에 절정에 이른다. 이 모든 과정에 엄마가 조역을 맡고 남편 즉 아빠는 조연이다. 그렇게 가족에서 점점 소외되는 존재가 남편인 것이다. 그런 남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긴 했다. 그나마 아버지, 중년, 기성세대 등의 이름으로 주목받았던 저변에는 역시 가족, 사회로부터소외되는 존재라는 점이었다. 요즘은 그런 관심마저 사라져 버린 듯하다.

 

소설가 방현희는 바로 그런 남편에 주목한 이야기를 내 놓았다. 남편에 주목하지만 남편을 바라보는 중심 시각은 아내의 눈이다. 남편이 처한 사회적 조건을 아내가 바라보는 남편의 심정에 대한 이야기로 풀어간다는 것이다. 어렴풋이 보고 들은 이야기가 아니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주변에 아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를 재구성한 것이다.

 

남편의 이야기는 주로 가족, 직장 등에서 겪는 존재감에 주목하고 있다. 부부사이, 자녀와의 관계, 남편의 해외근무, 기러기 아빠, 사업의 실패, 별거 등 우리 이웃들이 직접 겪은 이야기들 속에서 갈등하는 남편이 지나온 자신의 삶을 구체적으로 돌아보면서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구체적 행동으로 도출하고 있다. 남편들이 겪는 현실적 고통의 반영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딛고 일어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이 점이 소설가 방현희가 가족을 짊어진 남편들의 힘든 삶을 한번 들여다보자 했던 의가라고 보인다. 이렇게 들여다 본 각각의 사례들 사이에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놓은 부분을 함께 실었다.

 

아는 사람의 삶의 구체적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은 이야기를 한 누군가의 삶에 개입한다는 것이다. 그 개입이 쉽지 않은 일을 만든다. 듣고 흘려버릴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듣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내 문제로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공유한다는 것은 때론 힘든 과정이 된다. 소설가 방현희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고 고백한다. 그만큼 진솔한 만남이었다는 것이리라.

 

결국, 남편들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따라가다 보면 만나는 공통점은 존재방식에 관한 문제가 아닌가 한다.가족, 부부 등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가에 따라 자신의 처지는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가 된다. ‘우리 모두의 남편은 나는 어떤 방식으로 부부, 부자 사이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일까?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길 권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