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ㅣ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의 심판은 준엄한가?
역사의 심판이 준엄하다면 무엇으로 증명될까? 일본제국주의자들에게 나라를 팔아먹은 사람으로 기억되는 이완용을 비롯한 친일세력은 역사의 심판을 받았을까? 그래서 오늘날까지 떵떵거리며 살아가는 것일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역사가 준엄한 잣대로 심판한다고 하더라도 그와 무관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공염불이나 매 한가지 아닐까?
현실정치무대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보면서 그들도 준엄한 역사의 심판이라는 말의 가치는 알 것으로 본다. 하지만, 그들이 벌이는 모습은 그와는 동떨어진 모습이 전부라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듯싶다. 그들에게 역사는 무엇일까?
공영방송의 드라마를 선두로 해서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이 주목받고 있다. "미리 경계하여 후환을 대비한다." 징비록은 치욕의 역사를 잊지 말자는 취지에서 출발한다. 치욕의 역사 그 무엇이 치욕이며 그 치욕을 잊지 않는다는 것은 또 어떤 의미를 가질까? ‘징비록’을 쓴 류성룡의 간절한 마음이 오늘의 현실을 본다면 또 무엇을 징비하자고 할까?
홍익출판사 간행 징비록(懲毖錄)은 류성룡의 징비록을 해석하고 그 사이에 보다 깊이 있는 징비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열 일 곱 가지의 ‘징비록 깊이 읽기’를 새로이 추가하였다. ‘징비록’은 7년여에 걸친 임진, 정유 전란 동안 조선의 위정자들이 보여준 비굴한 모습을 밝히고 백성들이 겪어야 했던 참혹한 상황을 기록하고 일본의 만행을 성토한다. 더불어 그러한 비극을 피할 수 없었던 조선의 문제점을 낱낱이 파헤침으로써 후대에 교훈을 주고 있다.
류성룡이 이렇게 징비록 속에 자세한 전쟁의 상황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전쟁의 중심에서 전쟁을 이끌었던 장본이기에 가능한 것이다. 위로는 임금을 보좌하고 아래로는 백성의 안위를 살피면서 전쟁의 빠른 종식을 위해 그가 했던 일들의 기록이기도 하다.
치욕의 역사, 그것을 잊지 말자는 이야기는 언제나 누구에게나 유용하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 말이 가지는 가치는 어떤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대지만 이 말을 금과옥조로 여겨야할 이들(정치인, 지식인, 사회지도층이라 자부하는 모두)은 강 건너 불구경이다. 그들에게 역사의 평가는 자신이 죽고 난 후의 일이기에 상관없는 듯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렇게 사는지 이해할 수 없다.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한다는 것은 단죄해야할 것은 반드시 단죄해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우리에게 단죄해야할 1순위는 친일이 그렇고 친미가 그렇고 분단이 그렇다. 징비록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고 본다.
세월호 참사 1주년이 되어간다. 지난 1년 동안 세월호 사건과 관련하여 벌어졌던 일련의 행위에 대해 훗날 역사는 무엇이라 기록할까? 침략전쟁으로 민족이 경험했던 치욕의 전란이라며 류성룡이 징비록을 남겼듯 누군가는 이 내부적으로 더 치욕스러운 사건에 대해 기록을 남길 것이다. 훗날 사람들이 징비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