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 청동기 비밀을 풀다 - 다뉴세문경, 비파형 동검, 신라 범종 재현기(再現記)
이완규 지음 / 하우넥스트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주물 장인이 팬을 든 사연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보면 그 시대 이런 걸작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하는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이런 의문의 기초엔 현대문명과 비교하여 비문명사회라는 잣대에 의한 결과라는 것이다. 특히, 현대문명으로 도저히 풀지 못하는 제작비결 앞에서 불가사의한 물건으로 치부하고 마는 결과를 낳게 된다. 현대사회의 시각으로 옛 시대를 판가름하는 기본시각에 이제는 문제제기를 해야 하지 않을까?

 

오롯이 한 길을 걸어오며 자신의 분야에서 우뚝 선 기술자를 장인으로 부른다. 그들이 가진 기술력뿐 아니라 그들이 보여준 삶의 열정과 집념에 주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장인들의 위상은 그에 맞는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모습은 특히 강단의 학자들 사이에서 더욱 심하다. 인정받기보다는 냉대 당하거나 외면당하기까지 하는 오늘날 장인들의 열정과 집념에 대해 장인들이 스스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의 문화유산 청동기 비밀을 풀다의 저자 이완규는 주물분야 장인으로 자신의 일생동안 수많은 작품과 선조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옛 방식으로 재현해낸 사람이다. 그가 전문 학자들이 풀지 못하는 무엇으로 치부했던 다뉴세문경’, ‘비파형 동검’, ‘신라 범종등을 옛 방식으로 재현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출간한 책이다. 선조 장인들이 글을 몰라 그들의 기술을 기록으로 남기지 못해 후손에게도 기술이 제대로 전승되지 않았다는 역사적 조건에 대한 대안이기도 했다. 장인은 서럽다고 술회하는 이완규는 얼마나 답답했을까?

 

그가 재현한 국보 제 141호 다뉴세문경은 지름 21.2에 삼각형과 사각형, 동심원을 활용한 13000개가 넘는 정교하고 섬세한 선이 0.3간격으로 그려져 있다. 그동안 이를 재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무수히 많았으나 번번이 실패를 거듭하게 된다. 그 결과 만들 수 없는 신비한 거울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저자는 수많은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옛 제작방법을 밝혀내고 이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런 성과를 두고도 전공자와 학계에서는 인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스스로 재현한 과정을 상세하게 그려간다. 사진과 함께 수록된 재현과정은 기록으로 남아 후손들에게 전해지길 기원한다. 재현과정에 대한 기록뿐 아니라 유물에 대한 용도를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각종 청동유물이 의식용일 것이라는 기존시각을 뒤엎고 전투과정에서 분명하게 쓰였을 무기로 본다는 것이다. 이는 학자들이 만들어보지 않고서 생긴 모양이나 재질 등을 보고서 일방적으로 이름을 짓고, 용도를 단정해 버린다그러면서 제작 과정도 추정해 버리면서 역사에 오류가 발생 한다고 주장한다.

 

수없이 반복되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옛 방식으로의 재현을 위해 보여던 저자의 열정과 집념에서 알게 된 장인의 혜안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학자와 기술자가 머리를 모아 유물에 대한 올바른 성격규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장인 이완규가 당시 장인은 어떻게 만들었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유물들과 끝임 없이 대화하였던 이유가 여기에 있엇을 것이다. 그가 꿈꾸는 범종의 재현에 마음 모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